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곡의 이음성(異音性) 연구 : A study on the Heterophony of Gagok : Focused on Namchang Gyemyenjo
남창 계면조에 기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경미

Advisor
김우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대학 음악과,2020. 2. 김우진.
Abstract
가곡(歌曲)은 현악기와 관악기로 편성된 실내악 규모의 반주에 맞추어 시조시(時調詩)를 노래로 부르는 성악곡으로, 조선후기 300여년간 대표적인 가창음악으로서 시조문학의 향유 도구가 되어 오늘날까지 이르렀다. 현행 가곡은 관현반주 편성을 갖춰 부르는 형식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음악으로, 노래와 관현반주 선율이 하나의 선율적 흐름 안에서 진행되며 그 선율 형태는 노래와 동일하기도 하고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특성을 이음성 개념으로 분석하여 가곡에 나타나는 이음성의 본질을 구명하고 가곡을 구조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남창가곡 계면조 악곡 13곡을 대상으로 노래의 선율을 기준 삼아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에 나타난 이음성의 형태를 유형화하여 비교하고, 악곡 속도에 따라 나타나는 이음성의 특징을 계열별로 분석하였다.
이음성은 가곡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데, 이음성의 유형은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와 상이한 경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에 나타나는 이음성 유형은 골격음을 단위로 하여 골격음 첨가형, 골격음 생략형, 골격음 변화형, 그리고 골격음 시가차이형 등 모두 네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에 관악기군에서는 골격음 첨가형이, 현악기군에서는 골격음 생략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상이한 경우에 나타나는 이음성 유형은 선율을 단위로 하여 장인시 변화형, 변화시 장인형, 진행방향 상이형, 진행방향 동일형, 진행방향 복합형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상이한 경우에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에서 공통적으로 다섯 가지 유형 중 장인시 변화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악곡 속도 면에서 볼 때, 롱·락 계열을 제외한다면 이음성은 느린 악곡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빠른 악곡에서는 적게 나타나고 있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보아 남창가곡 계면조는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의 이음성이 주를 이루지만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에서 두드러지는 이음성 유형은 서로 다르다. 또한 롱·락 계열을 제외한다면 악곡 속도와 이음성의 연관성이 나타난다.
이음성에 관한 연구는 방대한 가곡의 변주선율 연구와 깊은 관련이 있는 분야로, 이러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면 가곡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Gagok is a vocal music that sings Sijo poetry in accord with the accompaniment of the chamber music, which is composed of wind and string instruments. It became a representative vocal music for 300 ye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as reached these days. Current Gagok ha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singing with the accompaniment of wind and string instruments, the melody of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instruments do not proceed to the same structural melody, but exhibit a unique quality that progresses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melodious f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eterophony and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heterophony in Gagok. So, this study analyzes the heterophony form of 13 pieces of Namchang(song for male) Gyemyonjo and categorizes it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Gagok by each series.
Heterophony appears in a variety of ways throughout the Gagok, and the type of heterophon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ase where the basic structure of melody between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different.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the same, the type of heterophony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 a basic musical tone: addit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omiss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variat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and time-value difference type of the basic musical type.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the same, addit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appears most in the wind instruments group and omiss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appears most in the string instruments group.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the same, the type of heterophony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 a basic musical tone: basic musical tone added type, basic musical tone omitted type, basic musical tone changed type and basic musical tone with different time-value type.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different, the type of heterophony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in a melody: type of melody change when the Jangin(a long duration of sound), type of the Jangin when the melody change, type with different direction of melody, type with same direction of melody and type with complex direction of melody.
In terms of music speed, except for the Long and Rak series, the heterophony appears a lot in slow music, and less in fast music.
In summary, Gagok of Namchang Gyemyenjo consists mainly of heterophony, which appears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instrument is the same. And the main type of heterophony differs from wind instruments group to string instruments group. Also, except for the Long and Rak serie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music speed and the heterophony.
The study of the heterophony is a field that is deeply related to the study of the variational melody of large number of Gagok, and I think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And if these studies are conducted in various ways, it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Gagok.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71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0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