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소설 『서유기』의 한국어 번역 및 수용 양상
박태원, 김용제, 최인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Cui, You Xue

Advisor
방민호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2020. 2. 방민호.
Abstract
ABSTRACT

Korean Translation and Acceptance Patterns of
Chinese Novel Journey To The West
―Focus on Park Tae-won, Kim Yong-je and Choi In-hun―

Cui, You Xu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the 1940s to the 1970s, translators who translated the classical Chinese novels, Journey To The West, into the Korean, could rarely be active novelists. Park Tae-Won (朴泰遠, 1910-1986), Kim Yong-Je (金龍濟, February 3, 1909-June 21, 1994), Choi In-hoon (崔仁勳, April 13, 1936-July 23, 2018), the three were translators of Journey To The West, and also knows as creative novelists related to Journey To The West. This study focus on the Korean translators, Park Tae-Won (朴泰遠, 1910-1986), Kim Yong-Je (金龍濟,1909-1994), Choi In-hoon (崔仁勳, April 13, 1936-July 23, 2018), who translated the classical Chinese novel, Journey To The West, into the Korean and actively created their works related to Journey To The West, in order to analyze the feature of their translations and the relevance of their creations.
Journey To The West, the version translated by Park Tae-Won, was continuously published in 21 episodes in the magazine of New Era from June 1943 to February 1945. After recovery, it was serialized in children's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e form of children's literature, but it failed to become a single edition. The version translated by Kim Yong-Je,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as unknown author and unknown publisher in 1949. And the version translated by Choi In-hoon, was included in Choi In-hoons collected edition 9, named The Governor's Voice, which was published in 1976.
The versions translated by the three, Park Tae-won, Kim Yong-je, and Choi In-hoon, were compared with the original text, and the author's translation style and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detail.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ir translated versions, Journey To The West, and their creative novels, we can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both two sides.
Park Tae-won is a popular novelist and translator in the South and North Korea. He translated a large number of Chinese novels. The version translated in the end years of Japanese invasion, Journey To The West, was serialized to 21 episodes in one year and nine months from June 1943 to February 1945. Although, it was a work of concise edition, Journey To The West has just translated one-third of the total volume if you look at the article length. After the liberation, it was serialized three times in the Children's Newspaper under the name of Sun Wukong (June 15,1946; June 22,1946; June 29,1946), and eight times in the magazine of Azalea (February1949-December1949). His translation of Journey To The West, although has not published as a book, but it occupied an important place in his work. The feature of Park Tae-won's translation is faithful and creative compare to the original text. From the specific point of view, it can be found that some topics are deleted, line feeds are frequently used, and long-distance articles, brief translations, idioms, proverbs are also used during the translations. The version translated after liberation was targeting young readers that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ening readability, using simple words, and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Journey To The West is heavily related to Park Tae-won's novels. His creative novels, such as Gap-o Farmers War, Geum-eun Tower, Hong-gil-dong, and Shim-cheong-jeon, showed a lot of relevance to Journey To The West.
Kim Yong-je is a poet, critic, novelist, translator and a Pro-Japanese. He was a Pro-Japanese literature poet in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and was Pro-Japanese poet in the last of Japanese invasion. The novel of Kim Satgat Wanderi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after recovery. Kim Satgat's wandering became a best-selling book on behalf of 1950s, and Kim Yong-je became an expert of Kim Sagat. The Korean translation of Kim Yong-je's Japanese books, and the Japanese translation of Kim Yong-je's Korean books are also carried out, but the main translation was the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works. In 1949, Kim Yong-Je translated and published Journey To The West as a book. Other translations include Geum Byeongmae (金甁梅), Hongrumong (紅樓夢), Samgukji(三國志), and Red Gate. One of the representative novels created after Liberation is Kim Satgat's wandering. In addition, there are Kim Satgat's heresy, Itaebaek's Wandering, and Sowol's Wanderingetc. Kim Yong-je's concern for old female novels, legends, stories and serial wor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translation, Journey To The West, show features such as the deletion of the title of each session, the free chapter sharing, the bold deletion and the abbreviation translation, and the creative consciousness of reality. His representative novel, Kim Satgat's Wandering (1950) and Kim Satgat's heresy(1959), are related in many ways to his original translation, Journey To The West. Kim Yong je's original novels, Kim Satgat's wandering Kim Satgat's heresy, Sowol's Wandering, and Itaebaek's Wandering showed many relevance to Journey To The West.
As a Vietnamese writer, Choi In-hoon is considered to one of the best postwar artists in Korea, the best Vietnamese artist in Korea, and the best peak of Korean modern spirit. His best known works include the medium-length novel of The Square (1960) , and the short novel of Laugh (1966). Choi In-hoon's Journey To The West comes in two forms: the translation novel of Journey To The West and the creative novel of Journey To The West. Choi In-hoon said in a short essay that is the translator's introductory book of Journey To The West, Oh Seung-un's Journey To The West is a novel theory written in fiction. He paid close attention to Journey To The West and created the novel of Journey To The West with the same name. Choi In-hoon's Journey To The We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ppearance and features of translation, the deletion and free sharing of the topics, the bold deletion and abbreviated translation, the additional translation, the realization of creative consciousness, modernization of terms and expressions, nationalization and framing features such as paintings are revealed among the novels by Choi In-hoon, Journey To The West, and Guun-mong were deeply related to the Chinese classic novel of Journey To The West.
The foll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revealed by comparing the translation features of the three works by Park Tae-won, Kim Yong-je and Choi In-hoon. The three writers are all based on the writer's creative consciousness, mainly on free translation. We can clearly figure out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of the writer, according to the reasons of the times and the personality.
Park Tae-won translated solemnly and seriously, which may also means that he was affected by the high-pressure situ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Kim Yong-je pursues humor, and "reality emerges", that is, contemporary international politics and contemporary reality, strengthens the intervention of writers' intention, strengthens the creative free translation of interest, while Choi In-Hoon conducted translations to reflect humor, language modernization, Korean traditions, and to enhance fun and interest.
The works of Park Tae-won, Kim Yong-je, and Choi In-hoon show the relevance of the works of Journey To The West, which they have translated directly. In the case of Park Tae-won, as a parody of Park Tae-won's classical literature, he parodied and re-created Korean classics, Hong Gil-dong and Shim Cheong-jeon, both of which showed a connection with Journey To The West. In addition, it can be found that works such as Gyemyeongsancheon is brightening, Gap Farmers' War and Geumeun Tower have various connections with Journey To The West.
In the case of Kim Yong-je, Kim Satgat's novels Kim Satgat's wandering (Wandering Poet), Wandering Kim Satgat and Kim Satgat's heresy, have a strong connection with Journey To The West. The three works have similarities in mobility, wandering, hustle, and fantasy. In particular, Kim Satgat's heresy is more relevant in that it was divided into the world of soul and the world of human. Other novels related to the Wandering Period, Itaebaek's Wandering and Sowol's Wandering, are also related to Journey To The West.
In the case of Choi In-hoon, the classic novel of Journey To The West influenced Choi In-hoon's creative novel of Journey To The West, and Guuun-mong, in terms of narrative structure, fantasy, friendliness, and symbolism.
국문초록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중국 고전소설 『서유기』의 번역가들 중 문학창작활동까지 왕성하게 한 소설가를 겸한 경우는 보기 드물다. 朴泰遠(1910-1986), 金龍濟(1909년 2월 3일-1994년 6월 21일), 崔仁勳(1934-2018)은 『서유기』의 번역가 겸 소설가인 데다 『서유기』를 전유하여 창작소설들에서 『서유기』와 연관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고전소설 『서유기』를 한국어로 번역한 한국의 번역가들 중 문학창작도 활발히 진행하였거니와 창작작품이 『서유기』와 연관성을 보이는 소설가들인 박태원(朴泰遠, 1910-1986), 김용제(金龍濟. 1909-1994), 최인훈(崔仁勳, 1936년 4월 13일-2018년 7월 23일 )을 중심으로 그들의 『서유기』 번역특징과 그들의 창작작품들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박태원 역의 『서유기』는 1943년 6월에서 1945년 2월까지 21회에 걸쳐 『신시대』 잡지에 연재되었으며 광복 후에 아동문학의 형태로 어린이 신문과 어린이 잡지에 약간 회를 연재하였지만 단행본으로 출간되지는 못하였다. 김용제 역의 『서유기』는 1949년 발행지 불명, 발행자 불명으로 출판되었으며 최인훈 역의 『서유기』는 1976년에 출판된 『최인훈 전집9』인 『총독의 소리』에 수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박태원, 김용제, 최인훈 세 작가가 번역한 『서유기』의 역문 텍스트를 원문 텍스트와 대조 분석함으로써 역자의 번역 양상 및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그의 번역소설 『서유기』와 창작소설들 간의 비교를 통해 양자 간의 상관성도 살펴보았다.
朴泰遠은 남북한에서 다 사랑을 받는 소설가, 번역가이다. 그는 대량의 중국소설들을 번역하였는데 그가 일제 말에 번역한 『서유기』는 1943년 6월부터 1945년 2월까지 1년 9개월 동안 21회에 걸쳐 『신시대』 잡지에 연재되었다. 축약번역으로 이루어진 작품이긴 하지만 원작의 횟수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서유기』는 전체 분량의 약 3분의 1쯤 번역하였다. 광복 후에도 『손오공』이라는 이름으로 『어린이신문』에 3회 연재하였으며(1946.6.15; 1946.6.22; 1946.6.29), 잡지 『진달래』에 8회 연재하였다( 1949.2-1949.12). 그의 『서유기』 번역은 비록 단행본으로 출판되지 못했지만 그의 작품세계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박태원의 『서유기』 번역 양상과 특징은 원문충실의 번역과 창조적 번역의 변주곡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회의 제목을 삭제한 것, 잦은 行바꾸기와 장거리문장의 병용, 삭제 및 축약 번역방법의 대량 사용, 헐후어, 속담, 성구 등의 번역에서의 번역방식의 다양화 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광복 후의 해방공간에서 번역한 『서유기』는 어린이를 독자대상으로 설정하였으므로 가독성 강화, 쉬운 용어 사용, 해학성 강화 등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서유기』와 박태원의 창작소설들은 많은 관련성을 갖고 있다. 『갑오농민전쟁』, 『금은탑』, 『홍길동전』, 『심청전』 등 창작소설들이 『서유기』와 많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金龍濟는 시인, 비평가, 소설가, 번역가, 일제말기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일제 강점기의 프로문학 시인이었으며 일제 말에는 친일 시인이었다. 소설 『김삿갓 방랑기』가 광복 후 대표작의 하나이다. 『김삿갓 방랑기』는 1950년대를 대표하는 베스트셀러가 되어, 김용제는 일약 김삿갓 전문가로 부상하였다. 김용제는 일본 서적의 한국어번역, 한국 서적의 일본어번역도 일부 진행하였지만 주된 번역은 중국작품의 한국어 번역이었다. 김용제는 1949년에 『서유기』를 번역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하였다. 그 밖의 번역서로 『금병매(金甁梅)』, 홍루몽(紅樓夢)』, 『삼국지』, 『붉은 대문(大門)』 등이 있다. 광복후 창작한 대표적 소설로는 『김삿갓 방랑기』를 손꼽을 수 있다. 그 밖에 『異說 김삿갓』, 『이태백 방랑기』, 『소월 방랑기』 등이 있는데 김용제는 여로형 소설, 전기류, 야담에 대한 관심과 연작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번역소설 『서유기』의 번역 양상 및 특징을 살펴보면 각회 제목의 삭제 또는 축약 번역과 자유로운 장절나누기, 대담한 삭제 및 축약 번역, 첨가번역에서 작가 개입 및 현실부연의 창작의식 등 특징이 나타나 있다. 그의 대표적 소설인 『김삿갓 방랑기』(1950)와 그의 연작이라고 할 수 있는 『異說 김삿갓』(1959)은 그가 직접 번역했던 『서유기』와 여러 면에서 연관성을 갖는다. 김용제의 창작소설들인 『김삿갓 방랑기』, 『異說 김삿갓』, 『소월 방랑기』, 『이태백 방랑기』 등이 『서유기』와 많은 관련성을 보이었다.
崔仁勳은 월남작가로서 한국 평단에서 한국 최고의 전후작가, 최고의 월남작가, 한국 근대정신사 최고의 봉우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의 널리 알려진 대표작으로는 중편소설 『광장』(1960)과 단편소설 「웃음소리」(1966)가 있다. 최인훈의 『서유기』는 번역소설 『서유기』와 창작소설 『서유기』 이렇게 두 가지가 있다.
최인훈은 번역소설 『서유기』의 번역자의 서론격인 짧은 글에서 오승은의 『서유기』는 소설로 쓴 소설론이다라고 할 정도로 『서유기』에 대해 깊은 관심을 할애하고 있으며 직접 동명의 창작소설 『서유기』를 창작하였다. 최인훈의 『서유기』 번역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면 각회 제목의 삭제와 자유로운 회나누기(分回), 대담한 삭제 및 축약 번역, 첨가번역으로 창작의식의 구현, 용어 및 표현의 현대화, 자국화와 골계(滑稽)화 등의 특징이 드러난다. 최인훈의 창작소설들 중 『서유기』와 『구운몽』이 중국 고전소설 『서유기』와 연관성이 깊었다.
박태원, 김용제, 최인훈 세 작가의 『서유기』 번역 특징을 비교해본다면 다음과 같은 유사성과 차이점이 드러난다. 세 작가 모두 작가라는 창작적 의식으로 하여 번역에서 직역보다는 의역 위주로 번역문의 유려함을 추구하는 번역을 진행하였다. 차이점이라면 시대적인 원인도 있겠지만 각자의 작가적 개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박태원은 일제말기의 고압적인 정세의 원인도 작용하겠지만 다소 엄숙하고 진지한 번역을 하였다면, 김용제는 해학성을 추구하고 현실 부연 즉 당대 국제정치와 당대 현실을 투영시키고 작가의 의도적인 개입을 강화하고 재미와 흥미를 강화하고자 하는 창작적인 자유로운 번역을 하였으며, 최인훈은 해학성과 골계미, 언어의 현대화, 한국과 한국어의 고유한 전통을 반영하려는 번역과 재미와 흥미를 강화하고자 하는 번역을 진행하였다.
박태원, 김용제, 최인훈 세 작가의 작품 세계는 그들이 직접 번역하기도 했던 『서유기』의 작품세계와 여러 가지로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다. 박태원의 경우 박태원의 고전문학의 패러디로서 한국의 고전작품인 『홍길동전』과 『심청전』을 패러디하여 재창작하였는데 이 두 작품은 모두 『서유기』와 연관성을 나타내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계명산천은 밝아오느냐』, 『갑오농민전쟁』과 『금은탑』 등 작품도 『서유기』와 여러 가지로 연관성을 갖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김용제의 경우 김삿갓 계열의 소설들인 『김삿갓 방랑기(방랑시인)』와 『방랑 김삿갓』, 『異說 김삿갓』은 『서유기』와 강한 연관성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동성(방랑성), 해학성, 골계미, 환상성 등에서도 이 세 작품은 유사성을 갖는다. 특히 『異說 김삿갓』은 영혼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로 나누어 서술했다는 점에서 관련성이 더욱 강하다. 그 밖의 방랑기 계열소설들인 『이태백 방랑기』, 『소월 방랑기』도 『서유기』와 연관성을 갖는다.
최인훈의 경우 고전소설 『서유기』는 최인훈의 창작소설 『서유기』와 「구운몽」에 대하여 서사 구조, 환상성, 우의성, 상징성 등 면에서 영향을 미쳤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79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3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