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세기 가창가사(歌唱歌詞)의 존재 양상과 문학적 특징 : A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Singing-Gasa in 19th centur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해숙-
dc.contributor.author신현웅-
dc.date.accessioned2020-05-19T07:56:03Z-
dc.date.available2020-05-19T07:56:03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092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78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92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2020. 2. 조해숙.-
dc.description.abstractAs the flavor environment of the singing house changes dramatically in the 19th century, its existence patterns develop complexly and its literary characteristics vary. The main school tried to take note of that point to find out the cause and meaning of the change in 19th century Siga(詩歌) from a literary perspective. The singing house has been in charge of bifurcating the song's cigars with Sijo. Despite the importance of GachangGasa(歌唱歌詞), the overall aspect has yet to be addressed. However, 12gasa(歌詞), a sub-category of singing houses, have been illuminated since 2000 and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depth. Thus, the history of the Gasa(歌辭), ranging from Gasa(歌辭) to Gasa(歌詞), has been revealed in a dynamic and systematic manner. In the present high school, we focused on the overall 19th century singing history in order to carry on and supplement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y and to secure a macroscopic view.
Chapter II examined the environment of 19th-century housekeeping and the nature of the housekeeping before full-fledged discussion. In the first section, after examining the environment in which a person was arrested, the singing Siga were formed in upper-class singing culture around the 1820s. After 1850s, the song was composed of the singing Siga and the lyrics of the song, the song was composed of the song and the song, the song lyrics, and the song was sung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1820s, GachangGasa(歌唱歌詞), which were enjoyed in high-end culture, went through various changes as they spread to the culture below after a generation after a generation after a generation. In the second section, the general trend of 101 30 types of books contained in 19th century households was reviewed to prepare the analysis time for III and IV chapters. As a result, it has been revealed that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how abbreviations, combinations and imitations are written and subjects are implemented in order to grasp the reality of the 19th century GachangGasa(歌唱歌詞). Thus, Chapter III examined the flavor of flavour by analyzing the three techniques of abbreviations, combinations and imitations, and VI analyzed in turn how the main themes of love affairs, power sources, and Kwon Haeng-rak were implemented in detail, and how they were taken into account their attitudes toward them.
Chapter III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flavouring method, focusing on the abbreviations, combinations and the writing of imitations that stood out in the 19th century GachangGasa(歌唱歌詞). In the first verse, it was revealed that the abbreviation was intended to reduce long editorials to secure the singing ability of various songs in a limited time. In the second sec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union was the product of a ritual to treat objects or emotions in an entertainment atmosphere, using a style of Yijong as a single piece in order to avoid being immersed in the attitudes, emotions and objects of poetic narratives formed by the works of the previous generation. In section 3, it was established that imitation was used to hide the general nature of subjects, ceremonies, etc. by using upper-level language and forms.
In chapter VI, each section analyzed in detail how Ae-sangsa, Kang Ho-won and Kwon Ha-rak are implemented in the works. In the first section of the book on love affairs, the colorful feelings of painting "Emperor" through separation from meeting to parting are sometimes expressed in one piece, and newly-received sentiments such as "Tenching for solidarity" are divided into different pieces, thus identifying the tendency to fabricate the entire lyrics of "Australian Sausages." In the second section, which deals with the Gangho electric current, it was revealed that the scenery of Gangho Electric Power Station was shaped not as an experienced site but as an ideal place to experience. In the third section of the book, the instability of life, which recognizes the finite nature of life, fails to recognize it calmly, and is frustrated with expectations, was drawing attention.
Chapter V attempted to identify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lyrics based on the results of discussions between chapters III and IV.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the house containing the two fig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ging culture were arranged in a regular manner. As a result, in the 1820s, the culture of perfumes, in which the household chores and the non-family systems were called, became popular, and the GachangGasa(歌唱歌詞) were enjoyed for about a generation in the high-end entertainment culture. At this time, the unselected bowel and blackouts will be enjoyed mainly by shading, which focuses on singing while securing a separate cultural sphere of perfumes. Afterwards, a group of Gagok Primary Musicians considered Gaegokchang Bay as a "regular sound," and the GachangGasa(歌唱歌詞) are continuously enjoyed in the Sijochang Hyangyu Cultural Area, as they step down from the high-end entertainment culture. In the pursuit of the "Gagokchang-oriented" culture, pursued by the group of the family of the family of the family of the family of the family of the family of the family, the culture of the song becomes weakened over a generation, and the lyrics of the song are brought back to life. It was not until the late 1930s that the current 12 houses will be transferred to the new system.
-
dc.description.abstract가창가사의 향유 환경이 19세기 들어 급격히 변하면서 존재 양상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문학적 특징도 다양하게 변모한다. 본고에서는 그 점을 주목해 연행 문학적 관점에서 19세기 가창가사의 변화 원인과 의미를 규명하고자 했다. 가창가사는 시조와 함께 가창 시가를 양분해 담당해 왔다. 가창가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전체적인 양상이 다뤄지지 않았다. 다만 가창가사의 하위 범주인 12가사가 2000년 이후로 조명을 받으며 그 연구가 심도 깊게 진행되었다. 이로써 가사(歌辭)에서 가사(歌詞)로 이르는 가창가사의 역사가 동태적이고 계열적으로 밝혀졌다.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잇고 보완하며 거시적인 시각을 확보하고자 19세기 가창가사 전반에 주목했다.
Ⅱ장에서는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19세기 가창가사의 연행 환경과 가창가사의 성격을 전반적으로 살폈다. 1절에서 문헌의 용례를 통해 연행 환경을 살펴본 결과, 가창가사는 1820년대 전후로 여창 가곡 편가→가창가사라는 연창 방식이 상층의 가창 문화권에서 형성되어 1850년대를 지나며 여창 가곡 편가→시조창→가창가사와 여창 시조창→가창가사로 분화되다가 20세기 초 들어 어느 순간에 이러한 가창가사를 가곡창이나 시조창에 이어 부르는 연창 방식이 사라진다. 1820년대에 최고급 문화에서 향유되던 가창가사는 한 세대 정도 유행하다가 아래 문화로 퍼져나가면서 다양한 변화를 겪는다. 2절에서는 19세기 가집에 수록된 30종 101편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 Ⅲ장과 Ⅳ장의 분석 시각을 마련했다. 그 결과 19세기 가창가사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 축약, 조합, 모방의 작법과 주제의 구현 방식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따라서 이어지는 Ⅲ장에서는 축약, 조합, 모방의 세 작법을 차례로 분석하며 그 향유 양상을 고찰했고, Ⅵ에서는 주요 주제인 애정상사, 강호전원, 권주행락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되며 그것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지를 차례로 분석했다.
Ⅲ장에서는 19세기 가창가사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축약, 조합, 모방의 작법을 중심으로 향유 방식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1절에서는 축약이 긴 사설을 줄여 한정된 시간 안에 다양한 노래를 가창하려는 연창성을 확보하려는 작법임이 드러났다. 2절에서는 조합은 전대의 작품으로 형성된 시적 화자의 태도, 정서, 대상에 대해 몰입되지 않게 하기 위해 이종의 양식을 하나의 작품으로 짜는 작법으로, 대상이나 감정을 오락적 분위기로 다루려는 의식의 소산임이 밝혀졌다. 3절에서 모방은 상층 언어와 양식을 활용하여 고상하게 보여 주제, 의식 등의 통속성을 숨기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작법임이 규명되었다.
Ⅵ장에서는 애정상사, 강호전원, 권주행락이 작품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각 절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애정상사류를 다룬 1절에서는 만남에서 이별을 거쳐 임을 그리는 다채로운 감정이 하나의 작품에서 분출되기도 하고, 결연욕과 같이 새롭게 주목된 정서가 작품 별로 분할되어 애정상사류 가창가사의 전체를 다채롭게 직조하는 경향을 확인했다. 강호전원류를 다룬 2절에서는 강호전원의 풍경이 체험된 장소가 아닌 체험될 장소로 형상화되어 이상화된 공간으로써 성격을 띠고 있었다는 점이 밝혀졌다. 권주행락류를 다룬 3절에서는 생명의 유한성을 인식하되 그것을 담담히 인정하지 못하고 불안해하며 기대가 좌절되는 삶의 불안정성이 주목되고 있었다.
Ⅴ장에서는 Ⅲ장과 Ⅳ장의 논의 결과를 토대로 가창가사의 시가사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시도했다. 특히 이형을 선별해 수록한 가집에 초점을 두고, 그 가창 문화의 특징을 통시적으로 정리했다. 그 결과 1820년에 가사계 단형과 비가사계가 악곡에 얹혀 불리는 향유 문화가 유행하면서 가창가사는 그때부터 한 세대 정도 최고급 연행 문화 속에서 향유되었다. 이때 선별되지 않은 장형과 정전은 향유 문화권을 따로 확보하면서 노랫말을 중시하는 음영 위주로 향유된다. 뒤이어 가곡원류계 가악 집단이 가곡창만을 정음(正音)으로 여기며 가창가사는 최고급 연행 문화에서 물러나 시조창 향유 문화권에서 줄곧 향유된다. 가곡원류계 집단이 추구한, 가곡창 위주의 연행 문화가 한 세대 정도 지나면서 약화되고, 이로써 가창가사는 다시 부상한다. 이후 193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하규일과 임기준의 창법으로 현행의 12가사가 전승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 목적과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사 검토와 연구 방법 5
3. 연구의 범주와 대상 13

Ⅱ. 19세기 가창가사의 존재 양상 27
1. 가창가사의 연행 환경 27
2. 가창가사의 성격 41

Ⅲ. 작법과 향유 양상 56
1. 축약을 통한 연창성 확보 56
2. 조합을 통한 오락성 추구 81
3. 모방을 통한 통속성 완화 97

Ⅳ. 주제 구현 방식과 태도 110
1. 애정상사류: 다채로운 감정의 분출 110
2. 강호전원류: 이상화된 전원의 상상 134
3. 권주행락류: 삶의 불안정성 주목 147

Ⅴ. 19세기 가창가사의 시가사적 의미 159

Ⅵ. 결론 174


참고문헌 176
Abstract 186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10-
dc.title19세기 가창가사(歌唱歌詞)의 존재 양상과 문학적 특징-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Singing-Gasa in 19th centur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hin, Hyun Woong-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20-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092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6092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