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생활세계의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 : Static Phenomenology and Genetic Phenomenology of the Life-worl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남인-
dc.contributor.authorChen, Ching-De-
dc.date.accessioned2020-05-19T07:56:12Z-
dc.date.available2020-05-19T07:56:1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5963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78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634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2020. 2. 이남인.-
dc.description.abstractAbstract:It is well known that the life-world (Lebenswel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Husserl's philosophy. The origins of the concept of the life-world can be traced back to the 1913 work Ideas I, where it is first introduced as the "surrounding world." Later on, just as Husserl would sometimes refer to the life-world as the "surrounding life-world" (Lebensumwelt), we suggest that the life-world is the same as the "surrounding world." For this reason, our investigation into the life-world using Husserl's major works starts with Ideas I, then moves on to Ideas II, Cartesian Meditations and finally the Crisis. By investigating these works we seek to analyze the life-world from a static and genetic phenomenological standpoint.
The life-world is an important topic to elucidate in Husserlian phenomenology for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if present-day academia is to overcome the crisis it is faced with, it must show not only how the scientific world-view owes its validity and genesis to the life-world, but also illustrate how "objectivism" covers up and makes us forget about its origins in the life-world.
Second, Husserl's awareness and development of the problem of the life-world is closely related to his continued attempts at supplementing some of the limitations in his phenomenological analysis. Though Husserl was able to develop the essential meaning of static phenomenology in Ideas I, he was aware that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would have to develop in yet another direction, namely genetic phenomenology. In other words, after Husserl published Ideas I, he developed static and genetic phenomenology separatel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presented in Ideas I. It is within the context of this approach that the life-world takes on its full significance.
Chapter 1 sets down the paper's aim and outline. Chapter 2 then discusses static and genetic phenomenology in the context of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nd how the "phenomenology of the life-world" can be approached using the two phenomenological methods. Static and genetic phenomenology can be distinguished primarily by their differing approach to foundational relations. Whereas static phenomenology seeks to clarify the timeless foundational relations of validity (Geltungsfundierung), genetic phenomenology seeks to clarify the foundational relations of genesis (Genesisfundierung) of intentional acts. In order to apply and develop these two approaches to the constitution of the life-world, we must refer to other phenomenological methods, such as the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duction, the life-worldly reduction, dismantling (Abbau), and construction (Aufbau).
Chapter 3 examines the phenomenology of the life-world in Ideas I. It is clear that Husserl did not explicitly refer to the concept of the life-world, nor did he distinguish between static and genetic phenomenology when he wrote Ideas I. Nevertheless, I argue that Husserl's concept of the "world" developed throughout Ideas I can be treated as a predecessor to the life-world.
To properly demonstrate the conceptual similarities between Husserl's concepts of "the surrounding world" and "the life-world", we must first critically examine one-sided approaches to the world.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naturalism and experimental psychology", as well as "historicism and Weltanschauung". In particular, we critically examine the idea of the "natural world" expounded by R. Avenarius, who had a large influence on Husserl. We show the shortcomings of the aforementioned approaches and how they fail to elucidate what Husserl called the primal world, or the life-world. From the Husserlian point of view, Avenarius' concept of the "natural world" is fundamentally limited because it remains entrenched in the "natural attitude," which unquestioningly assumes the existence of the world.
Though Husserl did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static and genetic phenomenology, this paper still argues that the concept of "world" in Ideas I is open enough to fruitfully develop along these two different directions in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In particular, the paper focuses on Husserl's discussion of the multiple "levels" of the world in Ideas I. First, he distinguishes between "my surrounding world" and the "intersubjective world". "My surrounding world" refers to the world as it is perceived by me as an individual, while the "intersubjective world" refers to the world as it is perceived by me as an individual and others. Furthermore, Second, Husserl distinguishes between the "natural surrounding world" and the "ideal surrounding world". The "natural surrounding world" refers to the sensory, cultural, historical, etc. worlds, worlds which we perceive in our ordinary lives. The "ideal surrounding world", on the other hand, refers to the world of mathematics and physics.
These two standards by which we can distinguish the relations of the world "levels" can be analyzed from the standpoint of timeless validity-foundation as in static phenomenology, or from the standpoint of genesis-foundation as in the genetic phenomenology. Thus, even if we grant that Husserl did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static and genetic phenomenology when he made the distinction of the various "levels" of the world in Ideas I, we argue that the fact Husserl develop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tatic and gene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life-world right after publishing Ideas I is proof enough that the origins of these two approaches to the life-world can already be found in Ideas I. Though the phenomenology of the life-world as developed in Ideas I was prior to the distinction made between static and genetic phenomenology, we can nevertheless interpret works such as Ideas II, Cartesian Meditations and Crisis as the systematization and concretization of the phenomenology of life-world developed in Ideas I.
In chapter 4 we look at how Husserl approached the various forms of the life-world from the static phenomenological standpoint. The first section analyzes and compares the validity foundations between "my surrounding world" and the "intersubjective world" based on the Cartesian Meditations, while the second section compares the validity foundations between the "natural surrounding world" and the "ideal surrounding world" based on the Crisis.
In chapter 5, we clarify the genetic foundational relations of the various forms of the life-world and thereby achieve a genetic phenomenology of the life-world. In Husserl's Ideas II, he analyzes the genetic foundational relations between "my surrounding world" and the "intersubjective surrounding world", while in Crisis he performs the same analysis between the "natural surrounding world" and "ideal surrounding world." In the first section of chapter 5, we look at how Husserl analyzes he genetic foundational relations between "my surrounding world" and the "intersubjective surrounding world" in Ideas II and, in the second section of chapter 5, we look at how Husserl analyzes the genetic foundational relations between the "natural surrounding world" and the "ideal surrounding world" in the Crisis.
Chapter 6, based on the discussions above, concludes the dissertation by pointing out several important problems regarding the distinction between static and genetic phenomenology of the life-world that must be solved in the future.
-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초 록:주지하다시피 생활세계는 후설 현상학의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다. 우리는 생활세계라는 개념의 뿌리를 이미 1913년 출간된 『이념들I』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생활세계는 환경세계라는 개념으로 등장한다. 후설이 후기에 생활세계를 생활환경세계(Lebensumwelt)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위기』에서 등장하는 생활세계는 곧『이념들I』에서 제시되었던 그 환경세계와 동일한 것이다.
바로 그런 이유에서 필자는 후설의 초․중기 저술인 『이념들I』에서부터 『이념들II』를 거쳐 후기 저술인 『데카르트적 성찰』, 『위기』에 이르기까지 생활세계를 연구 주제로 삼는 후설의 주요 저술들을 고찰하면서, 생활세계의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에 대한 논의를 진행시켰다. 후설의 현상학에서 생활세계가 중요한 해명의 대상으로 등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당대 학문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세계가 자신의 타당성과 발생을 빚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객관주의에 의해 은폐되고 망각되어 버린 근원적인 삶의 세계를 조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러한 문제의식은 후설 자신이 수행한 현상학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려는 지속적인 동기와 밀접하게 결합된 형태로 전개된다. 후설은 『이념들I』에서 자신이 전개한 정적 현상학의 고유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방향에서 초월론적 현상학을 전개해야만 할 필요성을 감지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발생적 현상학이다. 말하자면 후설은 『이념들I』을 출간한 이후에 현상학을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으로 나누어 전개하면서 자신의『이념들I』에서 전개된 현상학의 한계를 보완해 나갔는데, 이와 관련하여 생활세계의 현상학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서 본 연구는 1장에서 논문의 목표와 개요를 정리한 후, 2장에서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이라는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의 이념을 논하면서, 생활세계의 현상학이 두 가지 이념에 따라 어떻게 다른 모습으로 전개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의 근본적인 구분은 그것이 해명하고자 하는 지향성 사이의 정초관계의 차이에 있다. 정적 현상학이 지향성 사이의 초시간적 타당성 정초관계를 해명함을 목표로 하는 반면에, 발생적 현상학은 지향성 사이의 발생적 정초관계를 해명함을 목표로 한다. 그에 따라 생활세계의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은 각각 생활세계의 구성과 관련하여 지향성 사이의 초시간적 타당성 정초관계와 시간적인 발생적 정초관계를 해명함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필자는 생활세계의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을 전개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현상학적 방법, 즉 초월론적 현상학적 환원, 생활세계적 환원, 헐어내기(Abbau)의 방법, 쌓아나가기(Aufbau)의 방법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이어 3장에서는 『이념들I』에 나타난 생활세계의 현상학을 고찰하였다. 물론 후설은 『이념들I』에서 명시적으로 생활세계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적 현상학의 이념과 발생적 현상학의 이념을 구별하지도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설은 『이념들I』의 여러 곳에서 세계에 관한 문제를 논의하고 있는데, 여기서 이루어진 세계에 관한 논의가 차후 생활세계에 관한 논의로 발전하는 중요한 단초가 된다.
후설의 세계, 환경세계, 생활세계의 개념적 동일성을 올바로 드러내기 위해서는 세계에 대한 일면적인 철학적 이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해야만 한다. 그에 따라 필자는 3장에서 자연주의 및 실험심리학의 세계 이해와 더불어 역사주의 및 세계관철학의 세계 이해를 살펴보고, 나아가 후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친 아베나리우스의 자연적 세계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위에서의 다양한 세계 이해가 지닌 문제점과 더불어, 그것이 결국 후설이 해명하려고 하는 근원적 세계, 즉 생활세계에 도달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해명하였다.
또한 필자는 초․중기 후설이 비록 명료한 형태로 초월론적 현상학의 두 이념을 구분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념들I』에서 수행한 세계에 대한 분석이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이라는 두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는 이론적인 여지를 풍부하게 함축하고 있다는 사실을 해명하였다. 이점과 관련하여 필자는 후설이 『이념들I』에서 세계의 문제를 다루면서 세계의 층들에 대한 구별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우선 그는 1) 나의 개인적인 세계의 층과 상호주관적인 세계의 층을 구별하는데, 나의 개인적인 세계의 층은 나에 의해 경험된 세계를 뜻하며, 상호주관적인 세계의 층은 나와 타인들이 함께 경험하는 세계를 뜻한다. 나아가 후설은 2) 자연적 환경세계와 이념적 환경세계를 구별한다. 여기서 자연적 환경세계는 지각세계, 문화세계, 역사세계 등 우리가 경험하는 일상적 세계를 뜻하고 이념적 환경세계는 수학의 세계, 물리학의 세계 등을 뜻한다.
그런데 이러한 두 가지 기준에 따라 각기 구별되는 세계 층들의 관계를 우리는 한편으로는 초시간적 타당성 정초관계라는 정적 현상학의 관점에서 해명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간적 발생적 정초관계라는 발생적 현상학의 관점에서 해명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후설이 『이념들I』에서 이러한 두 가지 구별을 수행하면서 세계에 대한 분석을 명료하게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으로 나누어 수행한 것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이념들I』의 출간 후 후설이 생활세계의 현상학을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으로 나누어 전개하고 있다는 점은 이미 『이념들I』에 생활세계의 현상학의 두 이념이 배태되어 있음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말하자면 『이념들I』에서 전개된 생활세계의 현상학은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의 구별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전개된 현상학이지만, 그럼에도 그것은 『이념들II』, 『데카르트적 성찰』, 『위기』에 나타난 생활세계의 현상학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체계화되고 구체화된다.
필자는 4장에서 후설이 다양한 유형의 생활세계 사이의 타당성 정초관계를 해명하면서 전개하는 생활세계의 정적 현상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 1절에서는 『데카르트적 성찰』을 중심으로 나의 환경세계와 상호주관적 환경세계 사이의 타당성 정초관계에 대한 분석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고, 4장 2절에서는 『위기』의 3부를 중심으로 자연적 환경세계와 이념적 환경세계 사이의 타당성 정초관계에 대한 분석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우리는 이처럼 『데카르트적 성찰』과 『위기』를 중심으로 생활세계와 관련한 타당성 정초관계에 대한 분석을 살펴보면서, 통상 생활세계에 대한 발생적 현상학으로 이해되는 후설의 후기 현상학에서 생활세계에 대한 정적 현상학적 탐구가 어떻게 가능한지 해명하였다.
5장에서는 후설이 다양한 유형의 생활세계 사이의 발생적 정초관계를 해명하면서 전개하는 생활세계의 발생적 현상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후설은 『이념들II』에서 나의 환경세계와 상호주관적 환경세계 사이의 발생적 정초관계를 분석하면서 생활세계의 발생적 현상학을 전개하고 있다. 그리고 『위기』에는 자연적 환경세계와 이념적 환경세계 사이의 발생적 정초관계를 분석하는 부분들이 제시된다. 필자는 5장 1절에서 『이념들II』에서 후설이 자연적 태도에서 나의 환경세계와 상호주관적 환경세계 사이의 발생적 정초관계를 어떻게 분석하는지 살펴보았고, 5장 2절에서는 『위기』에서 후설이 초월론적 태도에서 자연적 환경세계와 이념적 환경세계 사이의 발생적 정초관계를 어떻게 분석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고, 생활세계의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의 구별과 관련하여 앞으로 해결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문제들을 지적하면서, 전체적인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장 논문의 목표와 개요 1
1절 논문의 목표 1
2절 논문의 개요 6
3절 생활세계 개념의 기원과 그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 9
4절 기존의 연구와 본 연구의 의의 13

2장 생활세계의 정적 현상학의 이념과 발생적 현상학의 이념 17
1절 초월론적 현상학의 두 가지 유형으로서의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 17
2절 생활세계의 정적 현상학의 이념과 발생적 현상학의 이념 19
3절 생활세계의 현상학의 방법: 현상학적 환원, 헐어내기, 그리고 쌓아가기 분석 등 다양한 현상학 방법 22

3장 『이념들I』에 나타난 생활세계의 현상학 27
1절 세계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의 출발점: 자연주의적 세계관(世界觀)에 대한 후설의 비판 27
2절 아베나리우스(Avenarius)의 자연적 세계 개념과 문제점 30
3절 『이념들I』의 세계 개념들 34

4장 생활세계의 정적 현상학 50
1절 『데카르트적 성찰』에서 나의 환경세계와 상호주관적 환경세계 사이의 타당성 정초관계 분석 50
2절 『위기』에서 자연적 환경세계와 이념적 환경세계 사이의 타당성 정초관계 분석 62

5장 생활세계의 발생적 현상학 73
1절 『이념들II』의 나의 환경세계와 상호주관적 환경세계 사이의 발생적 정초관계 분석 73
2절 『위기』에서 전개된 생활세계의 발생적 현상학 89

6장 결론: 연구의 의의와 앞으로의 과제들 105
1절 연구의 정리 105
2절 연구의 의의와 앞으로의 과제 109

참고문헌 113
Abstract 120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90-
dc.title생활세계의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
dc.title.alternativeStatic Phenomenology and Genetic Phenomenology of the Life-world-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진경덕-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20-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9634-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5963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