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 제2형 노년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in Elderly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Chin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Tang, Jiming

Advisor
김진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대학 간호학과,2020. 2. 김진현.
Abstract
Diabetes is one of the major chronic diseases in China's national prevention management policy, a disease that has a huge impact on the health of elder Chinese people. Diabetes is a lifelong disease that requires care. Around 80% complications of these chronic illnesses can be prevented through self-care of routine behavior and lifestyle (WHO, 2003). Self-care is the most economical and effective way to manage health of diabetics.
This study is based on the middle range theory of self-care for chronic diseases and preceding stud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self-care were identified. This will provide basic data for patient education and research for effective self-care performance of e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China.
The research use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65 e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o had visited hospitals and residents of the community in Jilin Province in China.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affecting self-car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self-care, diabetes knowledge, ability to understand health literacy, diabetes fatalism,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ccess to care, diabetes stress, and depression.
The study found that self-care of e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China averaged from 2.73 out of the 7 point-system, the diabetes knowledge average is 12.93 out of the 24 questionnaires, the health literacy averaged from 2.68 out of 6 as the highest level, diabetes fatalism is 2.65 out of six, and diabetes fatalism is 3.04 on the average except for religious questions. Self-efficiency average is 2.73 out of 4, the family support average is 3.51 out of 5, and access to care is measured at 3.68 out of 5. The diabetes stress average is 2.55 out of 5 and depression is 2.74 out of 5.
Self-care in e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Chin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hildren (t=2.393, p=.018), endowment insurance (t=5.157, p<.001) and living arrangement (F=4.366, p<.001), single or not (t=3.121, p=.002), and medical insurance (F=17.489 p<.001) in general characteristics. For the number of children, patient with one child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high self-care score. For endowment insurance, patient with endowment insurance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high self-care score. For living arrangement, elderly coupl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elf-care score than single, at the same time, single elder living with their childre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lower level of self-care than the elderly couple living with their children and the elderly couple who live alone but living nearby their children. For medical insurance, the elderly who has medical insurance for urban worker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high self-care score than those with medical insurance for rural residents.
Self-care in e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Chin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sting blood-glucose (F=13.960 p=.002). The elderly whose fasting blood-glucose between 110∼126 mg/dL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high self-care score than the elderly whose fasting blood-glucose is Over 126 mg/dL.
In this study, self-care of diabetic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iabetes knowledge, access to care, self-efficacy, family support, diabetes fatalism without religious belief, diabetes stress, and depression in e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China. The higher the scores of diabetes knowledge, access to care,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the higher the scores of self-care. And the higher the scores of diabetes fatalism without religious belief, diabetes stress, and depression, the lower the score of self-care.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measure the diabetes knowledge, health literacy, access to care, diabetes fatalism without religious beliefs items, diabetes stress, depression, self-efficiency, family support, gener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self-care of e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China. Access to care, depression, self-efficiency, family support and endowment insurance are the established factors describing self -care which indicate an explanatory power of 56.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sufficient bases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which will help improve the self-care of the e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China.
당뇨병은 중국 국가예방관리정책에서 다루는 주요 만성질환 중 하나로 중국 노년층의 건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질병이다. 당뇨병은 평생 동안 관리가 필요한 질병이다. 이러한 만성질환은 일상 속 행위와 생활습관을 통한 자가간호로 합병증의 약 80%를 지연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어(WHO, 2003), 당뇨병환자에게 자가간호는 환자에게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건강관리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만성질환 자가간호 중범위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제2형 노년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 제2형 노년 당뇨병환자의 효과적인 자가간호 수준을 증진하기 위한 환자교육과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편의표출방법을 활용하여 중국 길림성 지역사회 거주민 중에서 병원에 내원한 경험이 있는 제2형 노년 당뇨병환자 16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가간호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자가간호, 당뇨지식, 건강정보이해능력, 당뇨병숙명주의,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의료접근성, 당뇨관련 스트레스, 우울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중국 제2형 노년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는 7점 만점에 평균 2.73점이었고, 당뇨지식은 24점 만점에 평균 12.93점, 건강정보이해능력은 6점 만점에 평균 2.68점, 당뇨병숙명주의는 6점 만점 중 평균 2.65점이고, 종교관련 문항 제외한 당뇨병숙명주의는 평균 3.04점으로 측정되었다. 자기효능감은 4점 만점에 평균 2.73점, 가족지지는 5점 만점에 평균 3.51점, 의료접근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68점이었다, 당뇨관련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2.55점, 우울은 5점 만점에 평균 2.74점으로 측정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녀수(t=2.393, p=.018), 양로보험(t=5.157, p<.001), 거주상태(F=4.366, p=.001), 배우자와 동거여부(t=3.121, p=.002), 의료보험(F=17.489, p<.001)의 분류에 따라 자가간호 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녀수에 대해서는 자녀가 1명이 있는 대상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자가간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로보험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자가간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상태에 따라 배우자와 동거한 노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자가간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동시에 자녀와 같이 거주하는 독신노인이 자녀와 같이 거주하는 노년부부 및 자녀와 따로 살지만 가까이 거주하는 부부동거 노인보다 자가간호 수준이 통계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보험의 종류에 따라 도시근로자의료보험을 가진 대상자가 도시주민의료보험과 농촌주민의료보험을 가진 대상자보다 자가간호 수준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공복혈당에 따라 자가간호 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13.960, p=.002). 공복혈당 수치가 110∼126mg/dL에 위치하는 대상자가 공복혈당 수치 126mg/dL 이상의 대상자보다 자가간호 수준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와 예측요인 간의 관계분석결과는 당뇨지식, 의료접근성,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등과 유의하게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종교 관련 항목을 제외한 당뇨병숙명주의, 당뇨관련 스트레스, 우울은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당뇨지식, 건강정보이해능력, 의료접근성, 당뇨병숙명주의, 당뇨관련 스트레스, 우울, 자가효능감, 가족지지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및 건강관련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자가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자가간호을 설명하는 요인은 의료접근성, 우울, 자기효능감, 가족지지와 양로보험으로 설명력은 56.4%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국 제2형 노년 당뇨병환자의 자가간호 수준을 향상시키는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적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81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00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