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임상 일반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 측정 도구 개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선미

Advisor
김정은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대학 간호학과,2020. 2. 김정은.
Abstract
보건의료 환경에서의 정보통신기술 사용이 증가하면서 간호사는 빠르게 변하는 의료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급변하는 디지털 의료환경에서 안전하고 질 높은 간호를 위해 간호정보역량은 간호사의 필수 역량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연구에서는 외국에서 개발된 간호정보역량 측정 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면서 간호정보역량의 수준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국내 임상 상황에 적용 가능한 도구가 필요하여,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 일반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국어로 된 도구를 개발하였다.
도구는 개발과 평가의 과정을 거쳐서 개발되었다. 먼저 도구 개발과정에서는 혼종 모형을 이용하여 간호정보역량의 개념을 분석하고, 개념분석의 결과로 나타난 속성을 기반으로 도구의 초기문항 52개를 도출하였다. 초기문항에 대해 전문가 6인의 내용타당도 검정과 간호사 20명의 문항검토 과정을 거쳐 35개 문항의 도구로 수정되었다. 다음으로, 도구 평가 과정은 개발된 35개 문항을 이용하여 간호사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도구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정인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5개 요인의 20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은 기초적인 ICT 사용 3문항, 간호정보 활용 5문항, 전문가적 책임과 윤리 5문항, 간호에서의 ICT 사용 4문항, 간호정보학에 대한 태도 3문항이었다. 도구에 대한 신뢰도는 Chronbach의 값 .91로 나타나 도구의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 일반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과가 후속 연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효과 측정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어 간호정보역량을 향상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s the use of ICTs in healthcare environments increases, nurses face a rapidly changing healthcare environment. In this digital healthcare environment,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is recognized as one of the nurse's essential competencies for safe and quality nursing care. However, domestic researches have difficulty while using translations of the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foreign languages accurately measure the level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Therefore, a tool that can be applied to a Korean clinical situation is needed. Thus, this study developed a tool for measuring the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of Korean clinical general nurses.
The tool was developed through a process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First of all, in the tool development process, the concept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was analyzed using a hybrid model, and the initial 52 items of the tool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ncept analysis. After content validity by 6 expert and item evaluation by 20 nurses, the scale was revised to include 35 items. Next, psychometric testing of the developed tool, 127 nurses were surveyed by using 35 developed items. Structural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item evaluation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0 items of 5 factors were extracted. The extracted factors were Basic ICT use (3 items), Nursing information use (5 items),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nd ethics (5 items), ICT use in nursing (4 items),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informatics (3 items).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scale was evaluated by Chronbach's alpha of .91, confirming the stability of the tool.
In this study, a self-administered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tool with 20 items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by being us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follow-up studies,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measuring educational effec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81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2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