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병원종사자의 공공서비스동기와 조직행태 : Hospital worker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Behavio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혜정

Advisor
유명순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2020. 2. 유명순.
Abstract
조직 안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행동은 다양한 동기의 공존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 대다수 병원조직이 경험하고 있는 인력관리 문제와 관련한 논의는 인력확보를 위한 물리적 보상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현재까지 표면적으로 나타난 인력 부족 문제의 원인은 과도한 업무량, 낮은 임금으로 축약될 수 있다. 인력확충과 관련한 문제의 원인과 해결에 있어서 외적보상을 통한 접근은 필수적이지만, 개별 의료기관이든, 아니면 정책적으로든 현실적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와 더불어 병원종사자의 대부분은 전문직으로 이들의 행동은 내적/외적 동기 이외에 전문직 직업윤리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의료는 공공성을 지닌 사회적 성격이 강한 서비스이다. 병원은 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개인의 건강권이라는 사회적 가치와 헌법을 통해 보장받는 개인의 기본권을 실현하고, 공공선을 달성하는 조직이며, 이는 특히 공공병원 기능과 역할에 강조되어 온 핵심특성이기도 하다. 병원의 사회적 책임은 도덕적 의무차원으로 조직의 자원과 능력을 공공선에 이바지하도록 하여야 하며, 병원의 이러한 사회적 책임은 전문직으로 구성된 병원구성원들을 통해 의료서비스 제공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 병원구성원은 병원 입사 전에 환자의 건강과 생명, 안녕을 최우선의 목표로 두고, 헌신하겠다는 전문직업윤리 선서를 한다. 이는 의료의 공적이고 이타적 성격을 보여줌과 동시에 이를 생산, 제공하는 병원조직과 그 구성원들 역시 의료의 공공성을 공유한다는 뜻이다.

병원조직 특성 중 하나는 서로 상충하거나 동시에 추구하기 어려운 가치와 비전을 추구하는 조직체라는 점이다. 조직의 가치체계는 구성원 개인의 가치체계와 신념, 태도, 나아가 행동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병원조직과 구성원에게 의료의 공공성 가치는 이들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병원구성원의 조직행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재 의료인력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충족되어야 할 외적동기와 더불어 의료라는 공공서비스에 대한 개인의 가치와 신념, 태도 등 다양한 요인을 함께 살펴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병원조직의 인력관리를 행정학의 공공서비스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개념을 활용하여 살펴보고,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실무적으로는 병원조직의 효과적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정책적으로는 보건의료인력의 공공서비스 가치 함양 방안을 제안하고, 학술적으로는 보건의료조직 연구의 방법론과 연구주제를 확장해보고자 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우리 보건의료 사회가 잊고 있었거나, 아니면 우선순위가 낮아서 미루어져 있던 동기관리의 중요성을 되새겨 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료는 수도권 소재 공공병원 1곳과 민간병원 1곳의 종사자 전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였다. 우리나라 병원시장의 규모와 보건의료조직 종사자의 수를 고려할 때,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극히 일부분이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미리 밝혀둔다. 연구대상이 2개의 개별병원으로 한정적이긴 하지만, 공공과 민간이라는 병원유형 구분이 가능하고, 병원 내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보건의료조직 연구에서는 자료획득이 어려운 의사직을 포함, 다양한 직종을 모두 포함되어 있다. 연구자료의 이러한 특성은 본 연구가 살펴보고자 한 병원종사자의 전문직 특성과 PSM을 통한 조직행태 분석에 필요한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본 연구가 동기연구라는 점에서, 개인의 동기는 조직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개인의 조직행태에 영향을 준다는 개인-환경 적합성 이론의 기본가정을 PSM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공공서비스에 대한 개인의 이타적이고 친사회적 동기인 PSM과 병원조직의 조직가치 간 적합성이 개인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익창출, 효율성 향상, 질 향상, 공공성 향상이라는 동시에 추구하기 어렵거나 상충할 수 있는 가치체계의 수립을 요구받는 공공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들과 조직의 PSM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개인과 조직의 PSM 적합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졌다. PSM 하위영역에서는 공공서비스 호감과 동정심 및 자기희생 영역에서 개인과 조직이 높은 수준에서 일치할수록, 그리고 조직의 공공서비스 호감이 개인보다 높을 때 개인의 조직몰입이 유의하게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공공병원이 원래 수행해야 하는 고유기능, 즉 공공병원이라면 마땅히 해야 할 역할에 충실하고, 병원의 내․외부를 향하여 조직이 추구하는 공공가치와 미션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공유하는 모습을 구성원들에게 보여줌으로써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병원종사자의 PSM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영향요인 중에는 병원종사자의 전문직 특성에 주목, 이들의 전문직 정체성과 조직 정체성에 주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화 관련 요인, 특히 병원 입사 전 경험한 일반사회화 요인인 전문직동일시의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은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로, 개인의 PSM 형성에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전문직의 비중이 매우 높은 조직인 점, 그리고 민간병원에서 특히 그 영향력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 점은 개별 병원조직의 인적자원관리 차원을 뛰어넘어 우리나라 보건의료인력 교육과정에서 주목할 부분이다. 전문직으로의 사회화 과정은 조직입사 전, 즉 고등교육기관에서부터 시작되어 조직입사 후에도 전문직종별 보수교육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의과대학, 간호대학 및 대학 내 보건 관련 학과 교육과정과 더불어 전문협회에서 주관하는 보수교육 등에 의료의 공공성, 또는 공공의료와 관련한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포함된다면, 병원종사자의 PSM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 세 번째 연구에서는 병원종사자의 PSM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병원종사자의 PSM은 내적, 외적동기와는 구별되는 동기요인이며, 간접적으로 병원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PSM의 효과는 병원유형(공공-민간)과 직종(의료-비의료)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또한, 개인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동기요인은 보상과 관련한 외적동기였다. PSM 함양과 더불어 이들의 처우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직종별 비교연구에서 PSM 하위영역 중 자기희생(SS) 영역의 효과가 의사와 간호사, 즉 의료직에서 지속적으로 유의하고, 설명력의 크기도 큰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병원종사자, 특히 의사와 간호사를 중심으로 한 의료전문직의 PSM은 자기희생이라는 이타적 동기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전문직의 PSM 관리방안 모색의 중요한 지점을 알려줌과 동시에, 학술적으로 PSM의 하위영역인 자기희생 영역과 의료전문직의 직업윤리 간 개념적 구분, 의미 등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본 연구는 첫째, 공공서비스와 관련한 의료서비스 고유의 가치를 개인의 동기에 접목하여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병원 내 인력문제가 임금인상과 같은 구조적 접근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음을 보여준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동기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PSM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그동안 논의되어 온 내적, 외적 동기부여 외에 개인의 동기부여를 위해 공공서비스와 관련하여 조직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함으로써 병원 인사관리와 나아가 보건의료 인력관리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any hospitals have been confronted with a difficulty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in South Korea. Although individual behavior in organization is the result of coexistence of various motives, causes and countermeasures for manpower shortage in hospitals are discussed mostly in terms of material compensation. To date, excessive workload with low wages or low medical fees are pointed out as the main problems in manpower shortage. Approaches through extrinsic reward are essential in current workforce problems in hospitals, but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in hospital or healthcare policy. In addition, as medical professional workers, their behaviors are influenced by professional ethics in addition to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Healthcare services are social service with a character of public goods. Hospitals are the organizations that fulfill the individual right to health and achieve the public goodness through the provision of healthcare services. It is especially a key feature that has been emphasized and demanded as the role of public hospital in Korea. Social responsibility of hospital should be a moral obligation to contribute the hospitals resources to the health of individual as the public goodness. In addition, professional hospital workers take the oath of professional ethics to make a commitment to health and well-being of patients prior to work in the hospital. This means that the public and altruistic nature of healthcare service, as well as the hospital and the its professional employees also share the publicness of healthcare service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is that they pursue conflicting organizational values and visions. An organizations value system can influence the values, beliefs, attitudes and even behaviors of each individual worker. This means that the public value of healthcare service for hospital and their worker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their organizational behaviors. Therefor,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al behavior of hospital workers, various factors such as individual values,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the publicness in healthcare services are need to examine together with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at must be firstly fulfilled in order to solve the current problem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hospital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 in hospitals using the concep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ursue the effective alternative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hospitals, and to cultivate the public service value of health workforce in public health policy, and to extend the research topics and methodology in healthcare organization research. In addition,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importance of the motivation that has been forgotten or given a low priority in healthcare organization in Korea.

The survey data of total employees in one public and one private hospital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used. Considering the size of the Korean hospital market and the number of workers in healthcare organization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general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because the study subjects are very small. Although the research subjects are limited to two individual hospitals, the study fulfilled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analyzing the organizational behavior of professional workers in hospital through PSM in two aspects. First, the type of hospital – public and private – can be distinguished and compare to each other. Second, sin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all members of the hospital, various occupations including physician are included and compared.

The first study is based on the proposition of the person-environment fit theory, that individual attitude and behavior in organization are the product of interactive dynamic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 and person-environment f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search on the effect of PSM. Public hospitals in South Korea have been forced to pursue or change the organizational goals and values similar to those of private hospitals under the influence of new public management paradigm.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hanged organizational goals or values in public hospital interacts with the individual employees PSM and how it affects the individuals job attitude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Polynomial regression and response surface analysis are conducted by sub-dimensions of PSM by using survey data of 686 public hospital workers in Seoul.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PSM fit led to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ts strength is different by sub-dimensions. Specifically, individual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more strongly affected by the organizational instrumental motives when there is discrepancy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SM. In other words, when the public hospital performs the inherent and imperative role as the public hospital, and clearly shows the public value and mission of the organization, it can increase the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econd study investigates the antecedents of individual hospital workers PSM by using the survey data of 1,489 employees in two hospital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 workers on PSM based on the social identity theory. Among job-related, organization-related, and socialization- related factors of hospital workers, the socialization factors have a strong effect on individualʼs overall and all sub-dimensions of PSM. Whil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prominent in the public hospital, professional identification is more powerful in the private hospital. As the professional hospital worker, their process of socialization as a profession starts from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before organizational recruitment and continues after the organizational recruitment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PSM of hospital work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publicness of healthcare service or public health in the medical colleges, nurse colleges, and other colleges related to healthcare as well as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organized by each professional associations.

In the third study, the effect of PSM on various outcomes related to organizational behavior is investiga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PSM of hospital professional workers is a motivation factor distinguished from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dividual PSM increases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rectly through the effect of person-organizational value fit, and also indirectly de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main motivational factor for turnover intention is extrinsic motivation related to compensation. It means that the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s for hospital workers is important as the cultivation of their PSM. Also, in the sub analysis using multi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effect of the self-sacrifice dimension of PSM is consistently significant in medical job group, and the size of explanatory power is also large. It means that the altruistic motivation, that is self-sacrifice,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PSM of medical professional in South Korea. Study findings point out the critical point in managing the PSM of professional workers in hospitals, and the further researches on the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self-sacrifice as the sub-dimension of PSM and occupational ethics of professional workers in hospitals are needed.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there is other way to improve the motivation of hospital professional workers besides structural approach through the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 such as wage increase. Also,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clues about what hospital to do to motivate their professional workers in relation to public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urriculum for publicness of healthcare should be developed and included in formal medical education process an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of various medical professional association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evaluation items related to employees PSM to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for public hospitals. In this way, public hospitals will be more actively search for and perform practical management programs to increase professional workers PSM.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94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7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