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明淸交替期 文人戲曲에 투영된 현실 인식 연구 : A Study on Perception of Reality in Literati Drama of the Ming-Qing Transition : Focusing on Wang Fuzhi, Wu Weiye, and You Tong
王夫之·吳偉業·尤侗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양화

Advisor
이창숙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2020. 2. 이창숙.
Abstract
이 글은 明清交替期에 각기 다른 삶을 선택한 문인들의 戲曲에 투영된 현실인식과 정체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문인희곡의 양상 변화를 고찰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숭정제의 자결과 명 왕조의 멸망, 그리고 이민족 통치체제의 확립 등 격변의 상황은 문인들의 生死 그리고 삶의 방식에 큰 파장을 몰고 왔다. 명조가 붕괴되고 순절과 생존 사이에서 생존을 선택한 문인들은 만주족의 청조가 다양한 포섭책으로 한족 문인들의 귀순과 정치 참여를 적극 유도하자, 다시 청조를 받아들일 것인가 말 것인가를 선택해야 했다. 忠·節槪·華夷 등 다양한 이념들이 혼재하는 가운데 문인들은 각자의 지향점과 논리에 따라 청조를 받아들이거나 거부했는데, 후자의 집단을 통상 遺民이라 일컫는다. 유민으로 분류되는 집단 속에도 각자가 유민이 되길 선택한 논리의 차이와 지향하는 바의 변화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민은 끝까지 청조로의 귀순을 거부한 부류와 은거와 출사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청조를 받아들인 부류로 나뉘었다.
선택은 달랐지만 명청교체기 문인들은 삶의 방식을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나아가 선택의 결과로 인해 새로운 세상과 자신의 정체성에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이러한 내면의 갈등과 의식을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새로이 자리매김한 희곡을 통해 드러냈다.
민간에서 기원하여 주로 민간의 오락거리로 창작·상연되던 희곡은 명 중기 이후 이른바 정통 문인들이 창작에 대거 참여하면서 문인희곡이라는 새로운 조류를 형성하였다. 그들은 모종의 좌절과 역경을 겪은 후 희곡을 통해 개인적인 경험을 우의적을 드러내거나 등장인물에 빗대어 자신의 감정을 토로했다. 문인희곡의 이러한 양상은 명청교체기라는 특수한 환경과 맞물리면서 확대·심화되어, 공연을 전제로 하거나 유희적 글쓰기의 성격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작가의 내면세계와 시대의식을 표현하는 글쓰기로 변화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희곡에 투영된 명청교체기 문인들의 다양한 고민과 의식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생졸년이 명청에 걸쳐있으면서 왕조가 교체된 후 다른 삶을 선택했던 王夫之·吳偉業·尤侗 3인을 선별하고 그들의 희곡을 분석했다.
먼저, 명 유민의 길을 선택했던 왕부지는 평생을 은거하며 청조를 거부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唐 傳奇 ≪謝小娥傳≫을 각색한 雜劇 ≪龍舟會≫를 창작하였는데, 원작의 줄거리를 유지하면서 등장인물의 이력, 사건의 발생 시점과 장소 등 세부적인 사항을 바꾸어 작품 속 세상을 청초 사회로 만들었다. 그가 재현한 청초 사회는 포악무도한 이민족이 발호하는 세상으로, 이민족 제거를 통해 중원의 질서를 바로잡을 것을 주장했다. 이처럼 왕부지는 강경한 태도로 화이론에 입각한 개혁론을 주장했지만 명 유민의 길을 선택한 까닭에 그의 개혁론은 현실에 반영될 방법이 없었고, 그 자신도 무용지물의 書生이 되어야 했다. 이 때문에 그는 명 유민의 삶을 지키기 위해 자존감의 위축과 무력감에 시달려야 했는데, 이러한 내적 갈등을 희곡을 통해 표출했다.
다음으로 오위업은 명조와 청조의 경계에서 출사와 은거를 두고 갈등했던 인물이다. ≪清史列傳≫의 에 오른 명 遺臣들 중 오위업의 귀순시기가 가장 늦다는 사실은 그가 오랜 기간을 두고 명조와 청조 사이에서 갈등하였음을 말해준다. 잡극 ≪通天臺≫와 ≪臨春閣≫, 傳奇≪秣陵春≫은 그가 남명 관직에서 물러나 은거하던 시기에 창작한 작품들로, 시공간 배경이 모두 왕조교체기이며 주인공들 또한 모두 신·구왕조 사이에서 하나의 왕조를 선택해야하는 갈림길에 놓여 있다. 이를 통해 그가 청초를 왕조 교체기로 인식하였으며 은거하던 시기에도 명조와 청조를 두고 갈등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는 희곡에서 역대 왕조의 마지막 왕의 失政과 王家의 내분에 빗대어 復明의 실패 원인이 南明 弘光帝의 무능함과 명조 藩王들의 불화 때문이라는 견해를 드러냈다. 아울러 복명의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판단한 그는 명조에 대한 미련을 정리하고 청조를 받아들이려 했다. 이에 ≪말릉춘≫의 주인공이 신왕조로 출사하는 과정을 통해 출사의 논리를 표명했다.
마지막으로 우통은 왕조교체 현상보다 科擧를 통한 출사라는 문인 본연의 정체성에 충실하며 청조를 받아들인 인물이다. 그는 잡극 ≪讀離騷≫·≪弔琵琶≫·≪桃花源≫·≪淸平調≫·≪黑白衛≫와 전기 ≪鈞天樂≫ 등 총 6종의 희곡을 창작했다. 앞서 살펴본 왕부지나 오위업과 달리 우통은 희곡의 시공간 배경에 주목하지 않았다. 오히려 정치·사회 배경 특히 부조리하고 불공정한 정치·사회 배경을 강조했다. 또한 회재불우했던 인물들을 희곡의 주인공으로 선택한 후, 그들의 불우함을 더욱 부각시켰다. 그의 희곡에 특별한 시대의식이 보이지 않음은 명청 교체를 인정하고 순응했던 문인들의 보편적 인식을 보여준다. 아울러 누차 과거에 낙방하여 불우한 삶을 살았던 우통의 시각에서 청초 사회는 자신과 같은 인재가 득의할 수 없는 부조리한 세상임을 말해준다.
특정 개인이 아닌 부패한 사회가 혼란의 원인이라고 판단했던 그는 초현실계를 통해 자신이 염원하는 이상 사회 즉, 인재가 중용되는 공정한 사회를 그려냈다. 동시에 문제적 현실에서 벗어난 후, 개인의 능력과 권한을 올바르게 행사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통해 자신이 지향하는 관료의 형상을 묘사했다. 또한 희곡에서 博學과 文才를 과시함으로써 과거급제를 통해 인정받을 수 없었던 자신의 학식을 드러냈다.
3인의 희곡 분석을 통해 동시대를 사는 문인들 사이에도 현실인식의 차이로 인해 사회 혼란의 원인과 지향하는 바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들이 희곡에 투영한 당시 사회 모습과 주인공들의 행동 방식은 문인이라는 큰 범주 안에 존재했던 다양한 문인들의 정체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3인의 희곡이 이전 시기의 문인희곡과 다른 양상을 띠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그들은 개인적인 시각에서 자신과 동일한 상황에 놓여있다고 여겨지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선택하고, 나아가 인물의 이력과 작품의 시공간 배경 등 세세한 부분까지 바꾸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품 속 공간은 자신이 사는 세상으로, 작품 속 주인공은 작가 자신의 化身으로 재탄생했다.
희곡을 통해 개인의 감정과 의식을 담아내는 데 집중한 이들은 經史子集의 다양한 내용을 차용하여 唱을 통해 詩에서처럼 함축적인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추상적·비유적으로 표현하고, 白을 통해 文에서처럼 자신의 의론을 직접적·구체적으로 드러냈다. 그 결과 전반적인 작품의 품격은 이전 시기의 문인희곡에 비해 典雅해졌으며, 구성감이나 극적 긴장감은 현저히 감소했다. 이 때문에 이들의 희곡은 공연예술의 특징인 대중성과 통속성을 상실했지만, 반대로 대중적 글쓰기에서 벗어나 개인의 감정과 의식을 담아냈던 까닭에 전통적인 詩文과 마찬가지로 작가의 감정과 의식을 볼 수 있는 새로운 통로가 되었다. 나아가 이후 문인희곡 특히 문인 잡극이 마음을 담아내는(寫心) 장르로 정착하고, 작가의 화신이 아닌 작가가 직접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드러내는 희곡이 출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identity projected in dramas written by the literati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and traces changes in the genre of literati drama over time.
With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after the Chongzhen Emperor takes his own life, the Manchus of the Qing dynasty devised various schemes to encourage submiss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the Han literati. Amidst the clash of ideologies, the literati had to choose whether to remain as Ming loyalists, embrace the Qing dynasty, or to be undecided between the two. The literati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may have made different choices, but shared common ground in that they pondered over their identity in the process of discerning their way of life. They expressed their internal conflict and worldview in the form of dramas.
Dramas were originally created by commoners for their entertainment, and the genre of literati drama emerged at around the mid-Ming dynasty with greater involvement of the literati. They presented their personal experiences of despair using metaphors or by projecting themselves onto the characters.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i drama were intensifi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Ming-Qing transition, and the genre developed into an expression of writers inner worlds and consciousness of the times.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worldviews of the literati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as exhibited in dramas, this paper analyzed dramas written by Wang Fuzhi(王夫之), Wu Weiye(吳偉業), and You Tong(尤侗), who were activ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and whose years of birth and death belonged to the Ming and Qing dynasties.
First, Wang is a well-known Ming loyalist who denied the Great Qing and retired to hermitage for his entire life. He wrote the zaju Longzhou Hui(龍舟會), an adaptation of Xie Xiaoe Zhuan(謝小娥傳). He changed details such as character background, and place and time of events to recreate the Qing society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plot. He created a world where vicious barbarians caused chaos, and asserted that removing the outsiders could bring back order to society. Wangs reform theory was built upon the Hua-Yi distinction, and could not be reflected in reality since he was living in hermitage. As such, Wang himself deteriorated into a useless scholar. Through the play, Wang expressed his internal conflict and feelings of helplessness experienced as a Ming loyalist.
Next, Wu contemplated between serving the government and retiring to hermitage at the time of the Ming-Qing transition. The zaju Tongtiantai(通天臺), Linchun Ge(臨春閣), and chuan qi Moling Chun(秣陵春) were all written when he had left the Southern Ming court for hermitage. They share the same backdrop of a dynastic change, and the characters face the same dilemma of choosing between the old and new dynasty. The works reveal that Wu recognized the Ming dynasty as a transitional period, and that he contemplated betwee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his works, Wu traced the failure of the Ming revival to the incompetence of the Hongguang Emperor and discord with other Ming rulers. Seeing that there was almost no hope for the Ming revival, he began accepting the new Qing dynasty over the Southern Ming rulers. The logic behind this stance is represented through the character in Moling Chun, who decides to serve the government in the new dynasty.
Lastly, You is a member of the literati who accepted the Qing dynasty in a more conventional way, that is, by sitting for the imperial examination. He wrote a total of six dramas, namely, zajus Dulisao(讀離騷), Diaopipa(弔琵琶), Taohua yuan(桃花源), Qingpingdiao(淸平調), Heibaiwei(黑白衛) and the chuan qi Juntian yue(鈞天樂). Unlike Wang and Wu, You did not assign much importance to the time and space of his works. Instead, he emphasized the irrational, unfair sociopolitical backdrop. His characters were talented individuals who went unrecognized, and he highlighted their misfortune through dramatic settings. The lack of dynastic consciousness in his dramas reflect the general mindset of the literati, who acknowledged and accepted the Ming-Qing transition. You had failed the imperial examination several times, and he believed that society was unfair to people like him.
You blamed corruption instead of specific individuals for social chaos, and created an ideal, fair society in which talents were recognized and appreciated. In Yous view, the ideal official is one who exercises authority in an unbiased and rational manner. His works demonstrate his broad knowledge and literary talent, which were overlooked under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From analyzing the dramas of the three literati writers, it is evident that the literati perceived reality differently, which led to different views on the cause of social chaos and ideals. Their dramatized version of society and behavior of characters hinted at the diverse identities within the literati. The dramas by the three writers were also distinct compared to literati drama written in earlier periods. They created characters who were facing circumstances similar to their own, and modified details such as character background, and time and place of events. They reinvented the real world in their works, and projected themselves onto the characters.
The literati who focused on delivering their personal emotions and consciousness through dramas expressed their emotions in an abstract and metaphorical manner using the implicit language of arias, and revealed their views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prose libretti. As a result, their works became more refined compared to literati drama of earlier periods, but were not as structured and had less dramatic tension. While they had declined in popular appeal, they served as a new window to the emotions and worldviews of writers, similar to traditional poetry and prose. Moreover, they laid the foundation for the genre of literati zaju, characterized by the delivering of ones heart and the introduction of writers themselves, not surrogates, as main characte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808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9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