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가 인식한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상사지원 및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Design Factors, Meaningfulness of Learning, Transfer Self-Efficacy, Supervisor Support, and Training Transfer Perceived by Participants of Corporat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규태

Advisor
김진모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2020. 2. 김진모.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design factors, meaningfulness of learning, transfer self-efficacy, and training transfer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or suppor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er self-efficacy and training transfer perceived by participants of corporat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is participants of the corporat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Data collecting was conducted by two period. The first data collecting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survey platform during the week right after the training. The second data collecting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survey platform during the week after 1 month later of the training. A total of 282 responses of participants of 5 leadership programs of 4 corporates was returned. SPSS Statistics 23.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raining design factors, meaningfulness of learning, transfer self-efficacy, and training transfer had influenc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4 out of 5 training design factors—contents validity, participatory training methods, competency of trainer, and planning training transfer plan—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meaningfulness of learning; 2 out of 5 training design factors—contents validity and planning training transfer plan—and meaningfulness of learning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ransfer self-efficacy; meaningfulness of learn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raining transfer; transfer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aining transfer. Second, meaningfulness of learning and transfer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ining design factors and training transfer. Specifically, meaningfulness of learning had no significant single-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4 out of 5 training design factors and training transfer; transfer self-efficacy had single-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2 out of 5 training design factors—contents validity and planning training transfer plan—and training transfer; meaningfulness of learning and transfer self-efficacy had double-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4 out 5 training design factors—contents validity, participatory training methods, competency of trainer, and planning training transfer plan—and training transfer. Third, supervisor support ha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self-efficacy and training transfer.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urther study should explore more variables that act as media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design factors and training transfer. Second,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effect of transfer self-efficacy that workers acquire once they get back to work from training program, as well as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transfer self-efficacy. Third, the effects of training design factors aft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identified. Fourth, the designers of leadership program have to find the alternatives encouraging transfer self-efficacy of trainees. Fifth, the designers of leadership program have to analyze the needs of participants before design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feedback after the leadership program is finished.
이 연구는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가 인식한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와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가 인식한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관계 구명, 둘째,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가 인식한 교육훈련설계 속성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에서 학습 유의미성 및 전이효능감의 매개효과 구명, 셋째,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가 인식한 전이효능감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 구명을 연구목표로 설정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에 부합하는 연구대상으로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를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자체적으로 리더십 교육을 개설 및 운영하는 기업을 선정하기 위해 자체 리더십 교육체계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되는 대기업의 목록을 확인하였다. 그중에서 첫째, 중간관리자 대상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둘째, 가능한 다양한 단위 조직(예를 들어, 사업부, 부서 및 팀)의 학습자들이 참가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셋째, 소프트 스킬(soft skills)에 관한 내용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A사, B사, C사, D사 등 4개 기업의 5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교육훈련 직후와 교육훈련 종료 1개월 후로 두 차례에 걸쳐 수집하였다. 교육훈련 직후 설문은 사전정보 구체성, 교육내용 타당성, 참여적 교수방법, 강사능력, 현업적용계획 수립,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등 7개 변인에 대한 45개 문항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었으며, 교육훈련 종료 1개월 후 설문은 교육훈련 전이, 상사지원 등 2개 변인에 대한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교육훈련 직후와 교육훈련 종료 1개월 후로 두 차례에 걸쳐 온라인 설문조사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두 설문에 모두 응답한 284명의 응답자료 중 이상치 2개를 제외한 282명의 응답자료를 가지고 분석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3.0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교육훈련 전이는 서로 간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육훈련설계 속성 중 교육내용 타당성(=.263, p<.01), 참여적 교수방법(=.162, p<.01), 강사능력(=.157, p<.05), 현업적용계획 수립(=.175, p<.01)은 학습 유의미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훈련설계 속성 중 교육내용 타당성(=.207, p<.01), 현업적용계획 수립(=.165, p<.01)과 학습 유의미성(=.316, p<.001)은 전이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유의미성은 교육훈련 전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112, p>.05), 전이효능감은 교육훈련 전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426, p<.001). 둘째, 교육훈련설계 속성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에서 학습 유의미성의 단일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훈련설계 속성 중 교육내용 타당성(B=.093, p<.05), 현업적용계획 수립(B=.069, p<.05)은 전이효능감의 단일매개효과를 통해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훈련설계 속성 중 교육내용 타당성(B=.038, p<.001), 참여적 교수방법(B=.023, p<.05), 강사능력(B=.023, p<.05), 현업적용계획 수립(B=.023, p<.05)은 학습 유의미성과 전이효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통해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이효능감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교육훈련 전이는 서로 간 영향관계에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이효능감은 교육훈련 전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육훈련 전이를 촉진하기 위해서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이 교육내용을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자신감을 불어 넣어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학습 유의미성은 전이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의 현업적용 자신감을 북돋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미감을 고취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전에 요구를 분석하거나 교육훈련 종료 후 피드백을 분석해 어떠한 점에서 그들이 참여한 교육이 가치가 있었다고 인식하였는지에 대해 확인하고, 이를 고려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보완 및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훈련설계 속성 중 교육내용 타당성, 참여적 교수방법, 강사능력, 현업적용계획 수립이 학습 유의미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 타당성, 현업적용계획 수립이 전이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교육이 의미가 있었고, 참여할만한 가치가 있었다는 인식을 제고하며, 나아가 교육내용을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자신감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교육내용을 타당하게 설계하고, 학습자의 참여기회를 확대하며, 교육내용의 효과적 전달을 위해 강사의 수준을 제고하고, 현업적용계획 수립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속성들을 고려하여 교육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 유의미성과 전이효능감은 교육훈련설계 속성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육훈련설계 속성 중 교육내용 타당성, 현업적용계획 수립은 전이효능감의 단일매개효과를 통해서 교육훈련 전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 타당성, 참여적 교수방법, 강사능력, 현업적용계획 수립은 학습 유의미성과 전이효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통해 교육훈련 전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훈련설계 속성, 학습 유의미성, 전이효능감 및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가 분절적이지 않고, 교육훈련설계 속성이 일관된 맥락에서 학습 유의미성과 전이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교육훈련설계 속성이 교육훈련 전이를 촉진하는 데 기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습자의 교육훈련 전이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습 유의미성과 전이효능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훈련설계 속성들을 탐색 및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사지원은 전이효능감과 교육훈련 전이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교육훈련 전이를 촉진하는 대표적인 업무환경 요인으로서 상사지원의 중요성이 선행연구를 통해 여러 차례 부각된 만큼, 상사지원이 교육훈련 전이 촉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방향으로 연구결과를 해석하기보다는, 교육훈련 전이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 간에서 상사지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다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설계 속성과 교육훈련 전이를 매개하는 변인들을 추가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업복귀 후 전이효능감과 그 촉진요인들에 관해 살펴보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훈련 종료 후 교육훈련설계 속성의 역할에 대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실천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 전이에 대한 학습자의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을 고안해낼 필요가 있다. 둘째,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요구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810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79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