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입원생활안내 교육동영상 제작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평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형주

Advisor
김정은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입원생활안내교육동영상애플리케이션개발기술수용모델Hospitalization guideEducation videoApplication developmentTechnology Acceptance Model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0. 8. 김정은.
Abstract
본 연구는 입원생활안내 교육동영상을 제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온라인을 통해 간호사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동영상을 제작해 보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서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델에 따라서 분석, 설계, 구현 그리고 평가 단계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분석단계에서는 실제 사용되고 있는 입원생활안내 교육동영상과 간호사의 인터뷰를 통해 필수적인 교육요소 등을 도출하였고, 설계단계에서는 위저드 오브 오즈(Wizard of Oz) 개발방법론과 유즈케이스(Use case)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설계하였다. 구현단계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제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휴리스틱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수정하였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평가는 기술수용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하여 전 과정 온라인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 간호사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2020년 4월 30일부터 5월 15일까지 110명을사용대상자를 모집하고 동의를 구한 뒤 평가방법과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동영상을 제공하였다. 사용자는 실제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입원생활안내 교육동영상을 제작하였고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사용자 평가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애플리케이션 자기효능감과 애플리케이션 불안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고 애플리케이션 유희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모두 사용의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간호사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간호업무를 간호사 스스로 참여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이 간호사의 업무를 경감시키고 질적인 간호업무 수행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research developed an application that produces hospital living guide videos for inpatients. The application was used and tested by nurses in practice, and the usability of the application was evaluated.
The application in this study was developed through four stages based on the software life-cycle model: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n the analysis stage, essential educational elements were identified from studying existing hospitalization guide videos and interviewing nurses. In the design stage, the structure of the application was developed using the Wizard of Oz development methodology and Use Case.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application was built using Android Studio. In the evaluation stage, a heuristic evaluation method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flaws of the application and improve it.
The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was carried out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ll processes were conducted online. 110 subjects were recruited and their consents were obtained through the online nurse community from 2020 April 30th to 2020 May 15th. The application manual and evaluation methods were provided to the subjects in the form of videos. The subjects used the application to produce videos and subsequently responded to an evaluation survey.
The analysis of the user evaluation showed that perceived ease of us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pplication self-efficacy and application anxie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and application playabi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tention to use.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pplications that enable and encourage nurses to creatively reconfigure repeated nursing tasks in clinical practic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ir own work.
The outcome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alleviate the demanding nature of everyday tasks required of nurses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work.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05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9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