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Child Vaccination Chatbot Based on a Real-time Consultation Messenger Service : 소아 예방접종 질의응답 챗봇 개발 및 평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영주

Advisor
김정은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소아예방접종질의응답모바일 상담실시간챗봇ChildVaccinationText MessagingRemote ConsultationReal TimeChatbot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0. 8. 김정은.
Abstract
아동은 발달 특성상 스스로 건강 행위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부모에 의해, 건강 행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모의 건강 신념이 아동의
예방접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자녀의 예방접종 누락
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정된 일정대로 예방접종이 실시 될 수 있도록 부
모에게 적시 적소에 예방접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IMB(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모델을
기반으로 생애주기별 예방접종 질의응답 챗봇을 개발하고, 개발한 챗봇을
예방접종 대상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에게 적용하여 예방접종 정보, 동기,
자기효능감, 예방행위의도 점수의 변화로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에 챗봇을 경험하지 못한 집단(대조군)과 챗봇을 경험한 집단(실험
군)으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실험군, 대조군의 경우 연구
참여시 사전조사 후 4주, 8주, 12주 추가 측정을 시행하였다. 실험에 참여
한 참가자는 챗봇을 경험하지 못한 대조군(n= 34), 챗봇을 경험한 실험군
(n= 35)의 피험자로 구성되었다.
예방 접종 지식 점수 차이에 대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의 점수를 독립 표
본 t-test한 결과 1차 시점에 있어서 대조군(M=3.34, SD=2.55)에 비하여
실험군(M=6.13, SD=2.63)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였다(t= -4.27, p= .000). 2차 시점에 있어서 대조군(M=
4.44, SD= 2.06)에 비하여 실험군(M= 8.29, SD= 2.15)이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t= -7.26, p= .000). 또
한 3차 시점에 있어서도 대조군(M= 3.88, SD= 2.14)에 비하여 실험군(M=
8.74, SD= 1.70)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또한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였다(t= -10.00, p= .000).즉 챗봇을 이용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지식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 접종 동기 점수 차이에 대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의 점수를 독립 표
본 t-test한 결과 1차 시점에 있어서 대조군(M=2.17, SD=.77)에 비하여 실
험군(M= 2.83 SD= .83)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다(t= -3.28 p= .002). 챗봇을 이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
해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시점에 있어서 대조군(M= 2.28,
SD= .45)에 비하여 실험군(M= 3.21, SD= .57)이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t= -7.19, p= .000). 또한 3차
시점에 있어서도 대조군(M= 2.45, SD= .56)에 비하여 실험군(M= 3.63,
SD= .38)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였다(t= -8.81, p= .000). 즉 챗봇을 이용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동
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 접종 자기효능감 점수 차이에 대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의 점수를
독립 표본 t-test한 결과 1차시점에 있어서 대조군(M=2.66, SD=1.23)에
비하여 실험군(M= 3.22 SD= 0.68)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 -2.26, p= .028). 챗봇을 이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시점에 있어서
대조군(M= 2.66, SD= 1.26)에 비하여 실험군(M= 3.59, SD= 0.34)이 평균
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t= -7.74,
p= .000). 또한 3차 시점에 있어서도 대조군(M= 2.43, SD= 0.82)에 비하여
실험군(M= 3.76, SD= 0.34)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t= -8.47, p= .000). 즉 챗봇을 이용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 점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접종 행위의도 점수 차이에 대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의 점수를 독립
표본 t-test한 결과 1차 시점에 있어서 대조군(M=2.69, SD=1.32)에 비하
여 실험군(M= 4.22 SD= 0.98)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 -5.23, p= .000). 2차 시점에 있어서 대조군(M
= 2.64, SD = 1.09)에 비하여 실험군(M= 4.64, SD= 0.48)이 평균이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t= -9.48, p= .000).
또한 3차 시점에 있어서도 대조군(M= 2.76, SD= 1.07)에 비하여 실험군
(M= 4.71, SD= 0.41)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또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였다(t= -9.65, p= .000). 즉 챗봇을 이용한 실험군이 대조
군에 비해 행위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소아예방접종 챗봇은 예방접종 대상 자녀를 양육
하는 부모에게 필요한 정보를 신속 정확하에 제공하여 예방접종 동기를
증가시키고, 자기효능감을 증대시켜 궁극적으로 예방접종 이행률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decrease in childrens vaccination rates resulted in outbreaks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The child vaccination chatbo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to promote immunization through
the provision of reminders and real-time consultation messenger
servi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child
vaccination chatbot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IMB) model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hatbot.
Based on the IMB model, a real-time consultation messenger service
chatbot was developed to provide answers to questions about
childrens vaccinations. The chatbot was used b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o evaluate its effects based on changes in the
measurements of vaccination inform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vaccination behavioral intention variable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chatbot. The
developed child vaccination chatbot went through the stages of
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Then, the developed chatbot was used b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who were raising
children from 0 to 35 months old and those whose children expected
to be vaccinated within three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34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had 31 participants. The ages of
children were similar in both groups. During the 12 weeks of the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vaccination schedule
reminder alarms, a real-time consultation messenger service,
information about vaccinations and motivation boosters. Also,
vaccination inform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vaccination
behavioral intention variables were measured every four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the chatbot scored higher for
vaccinaion inform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vaccination
behavioral int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results, it is
assumed that the child vaccination chatbot provided useful and prompt
information to parents raising children who needed to be vaccinated.
The child vaccination chatbot increased vaccin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vaccination rates by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to paren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06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0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