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계획 관련 공약이 지방선거 득표에 미치는 영향
성남시장 선거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성준

Advisor
정창무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시계획지방선거공약득표거리조락성공공선택론공약예산urban planninglocal electionpromisevotesdistance decaypublic choicebudget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2020. 8. 정창무.
Abstract
이 연구는 도시계획 관련 공약, 공약 소요예산, 개발공약과 유권자 간의 지리적 거리 등이 지방선거에서 득표에 미치는 영향을 공공선택론적 관점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도시계획을 비롯한 관련 분야에 대한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표하는 지방선거 데이터 및 지자체장 후보자의 공약자료는 물론, 도시계획 관련 빅데이터 등이 활용되었으며, 연구에 적용된 통계 방법은 기술통계, t-검증, 회귀분석 등이다. 연구가설의 상당 부분은 채택되었으나, 일부 기각된 내용도 포함되어 있는데,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은 주택정책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사회복지 정책이 뒤를 잇고 있다. 지자체장 후보자의 도시계획 관련 공약은 지역주민의 주거 관련 불만과 요구사항을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자체장 후보자의 득표율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정비 및 주거개선 지원 관련 세부 공약에는 재개발 지원, 소규모 정비 지원, 노후 아파트 개선(리모델링 포함) 지원 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만, 재개발 지원과 소규모 정비 지원 공약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서 해석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자체장 후보자의 득표율 변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도시기반시설 관련 세부 공약으로는 지하철역 개선, 버스교통 개선, 어린이집 신설, 주차장 확충, 시립의료원 건립, 지역편의시설 건립, 공원 개선, 도로 소음 방지, 개발규제 완화 등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다만, 시립의료원 건립과 같이 전체 주민에게는 편익이 크지만, 인근 지역주민이 기피하는 시설의 경우에는 해당 공약이 있는 지역에서는 득표율 변동에 부적(-)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님비시설은 역의 거리 조락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시계획 관련 공약 소요예산 규모에 따라 득표율과 득표 경쟁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득표율 1%P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공약예산이 약 237억 원 정도 추가되어야 하며, 공약예산을 기준으로 볼 때 유권자가 행사하는 1표의 효용가치는 약 236만 원 정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공약예산 규모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득표율의 기울기에 완만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공약의 구체성 여부에 따라 후보자 간에 득표율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규모 도시기반시설 투자지역으로부터 유권자의 거리는 득표율 변동에 대해 거리 조락성을 보이고 있으며, 편익의 수혜 범위가 넓은 사업에 대한 거리조락성의 기울기는 그러한 편익의 수혜 범위가 좁은 경우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지역주의 또는 정당지지가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이 연구를 통해서 도시계획 관련 공약, 공약예산, 그리고 개발사업의 편익수혜 범위에 대한 거리 조락성 등과 같은 요인도 지방선거에서는 중요한 영향요인이라는 점이 규명되었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서 도시계획 관련 공약의 지리적 속성과 유권자의 투표행태 간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도시계획학 또는 선거지리학 분야의 연구에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이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유권자의 사회경제적 배경 요인이 선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수 없었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특히, 이 연구는 성남시라는 지역적 제한과 제6기 지방선거라고 하는 시간적 제한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urban planning-related promises, budgets for promises, geographical distances between development promises, and voters on the votes in local elections from a public choice perspective, as well as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for related areas including urban planning. In this study, local election data published by the Central Election Management Committee, along with the promise data of candidates for local governments and big data related to urban planning, were used. A large part of the research hypothesis was adopted, but some rejected content was also inclu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cal residents have the highest demand for housing policies, followed by social welfare policies. It was found that the promises of candidates for local governments reflect the residents' complaints and needs on urban plann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tailed promises related to urban maintenance and residential improvement support, which affected the change of vote ratio among local government candidates, included redevelopment support, small-scale maintenance support, and improvement of old apartments (including remodeling). However, the promise of redevelopment support and small-scale maintenance support seemed to have a negative effect and needed to be carefully interpreted.

Third, detailed promises related to urban infrastructure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change of vote ratio among local government candidates included improving subway stations, enhancing bus transportation, setting up daycare centers, expanding parking lots, building municipal medical centers, constructing local convenience facilities, upgrading parks, preventing road noise, and developing regulations.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although the benefi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a municipal medical center in the case of facilities avoided by local residents, are advantageous for all residents, they can be seen as negative factors in the change of vote ratio in the area where the promise was presented. These Nimbi faciliti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distance decay effec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ote ratio and the degree of vote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budget required for urban planning promises. In particular, the promised budget should be added to about 23.7 billion won in order to increase the 1%P in the vote ratio. Based on the promised budget, it was estimated that the utility value of the vote exercised by a voter was approximately 2.36 million won.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vote ratio slope to soften and,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the promis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ote ratio between candidates when the scale of the promised budget exceeded a certain level.

Fifth, the distance of voters from large-scale urban infrastructure investment zones showed distance decay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vote ratio and, for projects with a wide range of benefits, the slope of distance decay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for the narrow range.

In general, regionalism or political party support was recognized a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voter's voting behavior. However, this study has shown that urban planning-related promises, promised budgets, and distance decay to the range of benefits for development projects were also important influence factors in local election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graphical attributes of urban planning-related promises and the voter's voting behavior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which was expected to contribute academically to the study of urban planning or electoral geography in the future.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factors of the electorate generally included in previous studies on the election results.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may come up with studies that can complement these areas. In particula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gional limitation of Seongnam city and the temporal limitation of the 6th local election, so there is a constraint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10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13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