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PA 매장의 정보와 공간 배열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진-
dc.contributor.author김재성-
dc.date.accessioned2020-10-13T02:36:20Z-
dc.date.available2020-10-13T02:36:2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250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91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509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0. 8. 백진.-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현대 소비 시설의 공간을 통해 사람과 물건 공간사이의 어떠한 정보들로 구성되어 나타나는지 그 요소와 관계의 특성을 살피고, 실제 SPA 브랜드 매장 공간의 정보가 구현되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는 끊임없이 변화하며, 정보를 나타낸다. 공간에 있어서 정보는 공간으로부터 나온 것이지만, 정보 속에 공간이 있고 공간 속에 정보가 있기도 하다. 이러한 정보는 공간에서 물건 혹은 사물의 표현이나 배열로 실천된다. 공간 안에서 정보를 생산하고 정보와 관계하며 사람들에게 유의하게 인지되거나 다시금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내는 거시적인 양상을 가진다. 특히 상업 매장에서 정보의 요소에 따른 배열의 차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문제는 곧 브랜드의 가치 혹은 메시지를 나타내는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에 SPA 매장의 정보와 공간 배열에 관하여 살피는 일은 결국 브랜드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질적으로 보다 나은 매장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우선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공간과 정보의 개념과 특성을 규정하고, 건축 설계 단계별 프로세스, MD 계획, 상 환경 설계와 설계 단계별 프로세스에서 각각의 정보들이 나타나고 발생하며 개입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나가는 보다 거시적인 정보 생산의 단계를 살핀다. 여기에서는 여러 설계 단계들에서 정보들이 다시 새로운 정보를 구성하여 지속적으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나가는 의미를 확인한다. 또 게르노트 뵈뫼(Gernot Bohme)의 엑스터시(ecstasy), 데이비드 레더배로우(David Leatherbarrow)의



를 기반으로 공간과 유사한 의미의 분위기에 대하여 살피며 사람과 사물과 공간이 발현하는 움직임에 대하여 이해한다. 분위기는 매우 많은 요소들이 역동적으로 확산되어 있으며 감정적 힘으로 가득 차 있고 동일한 물질이 배경, 위치, 인식, 시간, 움직임 등의 인접 관계들에 의해 새로운 인식으로 발현된다. 이에 더하여 현대의 소비 공간은 브랜드라는 가치에 의해 더욱 복잡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가치를 실현하는 소비 공간의 형태를 살피며 캐퍼러(Kapferer)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brand identity prism) 모델을 들어 브랜드 가치 실현의 요소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건축 공간 정보의 물리적 요소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세부적으로 정리한다. 3장에서는 물리적인 공간 정보들이 서로 관계 맺으며 중첩되어 나타나는 비물리적인 특성들인 공간 다중 정보에 대하여 살펴본다. 공간 다중 정보는 2장에서 살핀 물리적인 요소들의 결합으로 나타나는 의미들의 중첩과 혼재로 인하여 사람의 시지각적 인지의 장에 생성되고 더하여지는 복합적인 의미망에 관한 것이다. 구획 틀에 따른 공간 다중 정보의 특성은 상품과 물건의 배치, 안과 밖의 구획을 나눔으로써 공간의 깊이를 조절하고 공간에 대한 인식과 경계에 대한 정보들을 조절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상품 진열과 상품의 구획, 기구의 배치, 공간의 구획 등이 속하며 매장 환경의 물리적인 기본 틀을 만들어 주는 동시에 재료의 질감, 엮임, 재료 간의 관계에서 공간의 인상에 대한 감정적 경험의 풍부함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유추에 따른 공간 다중 정보는 표면의 교란, 재료의 은유, 공간의 확장을 통해 공간과 경계로부터 나타나는 새로운 인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움직임에 따른 공간 다중 정보는 사람의 움직임과 이동을 통한 공간의 변화, 요소의 움직임을 고려한 공간 구성으로 나뉜다. 4장에서는 2장에서 살핀 캐퍼러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과 3장의 구획 틀, 유추, 움직임에 따른 공간 다중 정보의 틀을 기준으로 실제 3개(유니클로, 자라, H&M) SPA 브랜드 매장에 구현된 정보와 배열의 실제를 분석한다. 각 브랜드의 매장 환경은 소비자의 긍정적인 흥미 촉발과 매장 진입, 구매를 견인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받아들일 공간에 대한 정보를 잘 구성하고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유니클로 매장은 누구에게나 다양한 색상의 기능적으로 질 좋은 옷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깔끔하고 기능적이며 균등하고 개방적인 속성을 가진 사이니지, 진열대, 상품 배열, 동선, 파사드, 물성 등을 조절하여 공간을 구성한다. 자라 매장은 트렌드에 부합하는 개별적으로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장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독립적이고 유연한 속성을 가진 정보들을 활용하므로 공간 구성은 그러한 속성의 사이니지, 프레임, 바닥, 조명, 진열대, 조명 등의 정보들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H&M 매장은 이국적이면서 지속성 있는 속성을 가진 사이니지, 진열대, 가변 선반, 타일, 쇼윈도우, 카펫, 레이어 층 등을 조절하여 공간을 구성하는데 이와 같은 매장 구성 원리의 핵심은 브랜드 가치의 공간화를 위한 다중 정보 배열의 움직임을 조성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매장 환경의 경험적 공간의 구축은 구축의 틀, 유추, 움직임에 따른 공간 다중 정보를 고려한 설계 요소 각각의 배치, 형태, 마감, 시각, 방향, 위치를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조절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나타내고 전달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5장에서는 4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통해 공간의 다중 정보 관점에서 공간 정보와 배열에 관한 새로운 이해를 제안한다. 여기에서 공간 설계는 어떠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환경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규정되며, 이때 다중 정보는 사물과 사람과 환경이 서로 드러나고 표현되며 사람의 감각적인 맥락 안에서 어떤 움직임을 견인하게 되는 정보의 다양성을 의미하게 된다. 정보는 공간적 어포던스를 가능케 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건 요소와 공간 요소의 배열과 이동의 움직임은 공간 구성의 가능성과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다중 정보를 고려한 건축 설계는 물건과 사람과 공간 사이의 참여를 확대하고 의미를 변화시키는 지속적이고 관계적인 성격이 두드러진다. 이렇게 현대의 소비 공간에서는 사회적이고 물질적인 환경의 측면과 소비자와의 상호작용 또는 움직임을 고려한 작업으로 정보를 변화시킴으로써 잘 조작되거나 창조적인 공간 구성이 가능하다. 공간에 있어서 물리적이고 비물리적인 모든 정보들은 사람과 사물이 공간과 관계를 맺으며 서로 영향을 끼쳐 존재론적인 혹은 인지적인 의미의 변화를 불러일으켜 유의미한 반응과 변화를 촉진하는 자극이 될 수 있다. 동일한 사물 혹은 공간 환경의 다른 배열, 다른 모양, 다른 위치에서의 의미들은 모두 다르다. 브랜드 매장 설계 원리의 핵심은 이러한 다중 정보 배열을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공간화하는 것에 있기 때문에 설계 단계와 공간 구축의 프로세스에서 나타나는 정보의 생산과 연관에 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 공간 설계는 더 나은 공간을 구축하기 위한 지속적인 과정이며 정보는 이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현대의 건축과 설계는 정보가 변화하고 움직이면서 의미가 더하여지거나 빠지고 참여하는 주체들과 관계들이 정보의 총체를 늘려가는 거시적인 정보 생산의 과정에 있기 때문에 정보와 배열에 대한 이해와 시각은 더 나은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시도로서 의의를 가진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of space between people and products manifest through space in modern consumption faciliti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In particular,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of a real SPA brand is realized in the shop. Information stems from space, but space also exists within information and vice versa. Such information is realized through the expression and arrangement of objects in space. Information is produced within space, space is related to information, and these play a significant role in peoples cognition or create a new space in themselves. Especially in a shop, the differences in arrangement according to components of information are closely related to communication of the brands value or messages. Therefor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spatial arrangement in SPA shop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searches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shops by looking at ways in which the brand values can be communicated effectively.
In order to do so, Chapter 2 looks at the production of information from a macroscopic view; the chapter defines the concept of space and inform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look at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are created, developed and interact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MD planning, environmental design and other design processes, in order to create new information. Here, one can understand how a piece of information serves as a component of another piece of information, meanwhile continuously creating new spaces. In addition, Gernot Bohmes and David Leatherbarrows



was discuss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tmosphere, as a similar concept to space. This discussion also allows an understanding of the movement generated by people, products and space. Atmosphere is created by a dynamic diffusion of various components, and the same material gains new meaning due to changes in close relationships such as background, location, cognition, time, movement, etc. In addition, modern spaces designed for consumptions show a more complicated relationship, because of brand values. This is followed by an exploration of consumption spaces that realizes value – Kapferers Brand identity prism model was used to provide a detailed account of what factors constitute the realization of brand values, and what constitutes the physical components of architectural space information.Chapter 3 discusses spatial multiplex information, which are non-physical characteristics born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spatial information. Spatial multiplex information concerns itself with the more complex network of meaning created in a humans visuo-cognitive field due to reiteration and mixture of the components discussed Chapter 2.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multiplex information according to sections can be manipulated by changing the arrangements of products and objects, separating the inside from the outside, managing the depth of space and controlling the information on spatial awareness or boundaries. Display and sectioning of products, arrangement of tools ad sectioning of space all fall under this category, and having control of such factors mean that one can provide an emotionally enriched space through playing with the relationship of texture, intertwining and relationships between materials. Spatial multiplex information, created by inference, communicate new awareness and information that stems from boundaries and spaces – and such information is produced from disturbance of surfaces, metaphors within materials and expansion of space. Spatial multiplex information related to movement can be further separated into changes in space through peoples movement, and spatial arrangem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movement of components. Chapter 4 combines Chapter 2s Kapferers Brand identity prism and Chapter 3s concept of spatial multiplex information according to sectioning, inference and movement, in order to analyze the information and arrangement of three SPA brands – Uniqlo, Zara and H&M. The environment of each brands shops are designed to create and communicate information through space, in order to interest customers enough for them to enter the shop and purchase items. Uniqlo takes pride in providing everyone good quality clothes in various colors to everyone, and thus the constituents of its space – signage, display stand, product arrangement, flow of human traffic, facade, property of matter – have clean, functional, balanced and open qualities. Zara, on the other hand, uses information that are sensitive to the market, but are independent and flexible, as it provides various items that are unique but fits the current trend overall. Therefore, such qualities are reflected in the way in which Zara shops control their signage, frame, floor, light, display stands and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H&M shops use signage, display stands, variable lathes, tiles, show windows, carpets and layered floors that all have foreign but sustainable qualities. The key to these components is the creation of multiplex spatial arrangement to realize the brand values spatially. The designing of the experiential space within shops control the location, shape, finishing, vision, direction and arrangement of each component, after taking into account spatial multiplex information in relation to sectioning, inference and movement. An effective management of such components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he way in which brand identities are realized and communicated. Chapter 5 suggests a new understanding about spatial information and their arrangement, based on the discussion of multiplex information of space in Chapter 4. Here, spatial design is defined as a creation of an environment that allows for a possibility, and accordingly, multiplex information is defined as the variability in information that tows a certain movement within a persons sensual context, as well as the way in which objects, people and environments are expressed. Information allows for spatial affordance, therefore arrangements and movement of object and spatial components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and variability of spatial arrangement. In addition, architectural design that takes into account multiplex information emphasizes the sustainable and relationship qualities that expand the participation of objects, people and space, and change the meaning of such participation. Likewise, modern day consumption spaces allows for manipulative and creative spatial composition by changing information and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and materialistic environment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the consumers. In terms of space, all physical and non-physical information affect each other as people and objects create relationships. In that sense, they can be a new stimuli that initiates change and significant responses, by altering existential or cognitive meaning. The same objects or spatial environment may have different meaning according to different arrangements, form or location. The core of brand store designing lies with adjusting the information arrangement to spatially realize brand values effectively. Therefore, a new understanding of generation of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design and spatial building and their relationship is required. Spatial design is a continuous process to build a better space and information allows this to happen. Modern day architecture and design is part of a macroscopic information production process, where information changes and moves to add/remove meaning, which leads to an ultimate increase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in total. Hence, an understanding or perspective about information and arrangement is significant as an attempt to create a better spac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00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001
1.1.1. 연구의 배경 001
1.1.2. 연구의 목적 003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007
1.2.1. 연구의 대상 007
1.2.2. 연구의 방법 008
1.3. 연구의 흐름도 010

2. 정보와 공간의 특성과 관계 011
2.1. 정보와 공간 정보 011
2.1.1. 정보의 특성 011
2.1.2. 공간 정보의 개념 및 분류 014
2.1.3. 일반 설계 단계별 과정과 정보의 연관 018
2.1.4. MD 계획과 설계 단계 정보 제안 029
2.1.5. 상 환경 설계와 설계 단계 정보 제안 032
2.1.6. 공간에 나타난 정보의 특성 033
2.2. 공간 속 정보의 표현 042
2.2.1. 공간 속 물성과 유추 관계 042
2.2.2. 공간 속 분위기와 정보의 관계 043
2.3. 소비와 정보 057
2.3.1. 소비와 매장 057
2.3.2. 브랜드가 가지는 가치 정보의 연결 060
2.3.3.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공간 정보의 연결 064
2.4. 공간과 물건에 나타난 정보 069
2.4.1. 건축에 나타난 공간 요소 069
2.4.2. 소비 공간의 공간 요소 084
2.4.3. 소비 공간 내 물건 요소 090
2.4.4. 매장 내 물리적 공간 정보의 특성 098
2.5. 사람과 물건, 사람과 공간에 나타난 정보 100
2.5.1. 구획 틀의 정보 101
2.5.2. 유추의 정보 106
2.5.3. 움직임의 정보 112
2.6. 소결 120

3. 공간의 다중 정보 특성 124

3.1. 구획 틀에 따른 다중 정보의 특성 125
3.1.1. 상품의 구획 125
3.1.2. 물건(Fixtures)의 배치 127
3.1.3. 공간의 구획 131
3.1.4. 구획 틀에 따른 다중 정보의 특성 137
3.2. 유추에 따른 다중 정보의 특성 139
3.2.1. 표면의 교란 139
3.2.2. 재료의 은유 141
3.2.3. 공간의 확장 142
3.2.4. 유추에 따른 다중 정보의 특성 144
3.3. 움직임에 따른 다중 정보의 특성 146
3.3.1. 사람의 움직임 형태 146
3.3.2. 이동을 통한 공간의 변화 151
3.3.3. 요소의 움직임 형태 157
3.3.4. 움직임에 따른 다중 정보의 특성 159
3.4. 소결 161

4. 다중 정보와 브랜드 매장 163
4.1. 브랜드 정보와 공간의 다중 정보 164
4.1.1. 사례분석 대상 선정기준 및 범위 164
4.1.2. 사례분석 방법 165
4.1.3. SPA 브랜드에 나타난 아이덴티티의 정보 166
4.1.4.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공간의 다중 정보와 연결 176
4.2. 유니클로 매장에 나타난 다중 정보 178
4.2.1. 모듈형 격자 틀을 설정하는 구축 정보 179
4.2.2. 유추를 통한 구축 정보 188
4.2.3. 움직임을 통한 정보교환 196
4.2.4. 유니클로 매장에 나타난 다중 정보의 특성 208
4.3. 자라 매장에 나타난 다중 정보 213
4.3.1. 프레임형 격자 틀을 설정하는 구축 정보 214
4.3.2. 유추를 통한 구축 정보 219
4.3.3. 움직임을 통한 정보교환 231
4.2.4. 자라 매장에 나타난 다중 정보의 특성 241
4.4. H&M 매장에 나타난 다중 정보 246
4.4.1. 계층형 격자 틀을 설정하는 구축 정보 247
4.4.2. 유추를 통한 구축 정보 251
4.4.3. 움직임을 통한 정보교환 255
4.4.4. H&M 매장에 나타난 다중 정보의 특성 265
4.5. 다중 정보의 공간 배열 관계 270
4.5.1. 사람, 물건, 공간에 의한 다중 정보의 배열 270
4.5.2. SPA 매장의 정보와 공간 배열의 관계 275
4.5.3. 브랜드 매장설계의 공간 정보요소 제안 285
4.6. 소결 286
5. 다중 정보의 관계와 배열 291
5.1. 다중 정보를 통한 공간 제안 292
5.1.1. 다중 정보와 다양한 해석 292
5.1.2. 정보를 통한 공간적 해석 가능성 293
5.2. 물건과 공간의 배열 관계 295
5.2.1. 물건 요소의 배열관계 295
5.2.2. 공간 요소의 배열관계 296
5.2.3. 배열과 이동의 관계 298
5.3. 다중 정보와 건축 설계에 대한 시사점 301
5.3.1. 설계와 정보의 의미 301
5.3.2. 설계와 정보의 시사점 302

6. 결론 306


참 고 문 헌 309
ABSTRACT 312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보-
dc.subject공간-
dc.subject유추-
dc.subject움직임-
dc.subject배열-
dc.subjectInformation-
dc.subjectSpace-
dc.subjectInference-
dc.subjectMovement-
dc.subjectArrangement-
dc.subject.ddc690-
dc.titleSPA 매장의 정보와 공간 배열에 관한 연구-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aesung-
dc.contributor.department공과대학 건축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20-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2509-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250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