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의 외국인 밀집지역 유형화와 도시·건축 환경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찬영

Advisor
최재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외국인 밀집지역유형화도시건축환경국가문화이론군집분석Ethnic towntypologyUrban EnvironmentsNational culture theoryClustering analysi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0. 8. 최재필.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체류 외국인의 급증과 이주민 공동체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이슈가 대두되면서 무엇이 문제인가 의문을 제기하면서 시작하였다. 현재 국내 외국인 정책은 이주민 공동체의 다양성을 받아드리기에 부족하고 관련 연구는 과거 외국인 밀집지역의 일부 외국인 체류 기준에 따른 결과물로 현재 외국인의 국적과 체류유형의 다양함을 분석하지 못해 현재 이주민 공동체와 외국인 밀집지역 상황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는 이주민 공동체와 관련된 정책과 연구가 이주민의 상황을 이해하고 특성을 고려한 정책과 연구가 아니라 현재 이슈와 상황에 대한 것만 고려하여 상황이 조금만 변하여도 기존의 정책이 작동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나는 등 빠르게 증가하고 다양화되어가는 이주민 공동체를 수용하기는 적합하지 않았다. 상황이 변하여도 변하지 않는 이주민 공동체의 특성을 조사하여 그에 맞는 정책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주민 공동체의 안정적 정착과 성공적 사회통합을 위해 국가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고유의 특성을 실증 조사하고 국가간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별 도시·건축적 영향과 사회통합을 위한 방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유형별 외국인 밀집지역에 적합한 연구가 진행되고 새로운 정책이 수립되어 다양한 이주민 공동체의 안정적 정착과 국내사회로의 동화를 이룰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국내 상황이 변하여도 국가별 이주민 공동체의 근본 속성인 사회자본과 문화 특성이 반영된 외국인 밀집지역 유형을 도출하고 도시건축의 특성을 조사하여 이주민 공동체의 특성과의 연관성을 고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첫째, 공동체 이론과 국가 문화이론에 대해 검토하였다. 공동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회자본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가의 사회적 규범과는 다른 어떠한 행동을 위한 가치판단의 근거가 되는 국가 문화이론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밀집지역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기존의 유형화 연구를 검토하였다. 3가지 선행연구를 검토하면서 이주민 공동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변수를 도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3장은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을 도출하기 연구 설계와 변수 측정을 하였다. 우선 연구대상 지역과 대상 국가를 선정하고 선행연구와 이론을 근거로 출신국 특성을 분석하는 변수와 체류국 거주지의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출신국 변수와 체류국 변수를 선정하고 국가별 이주민 공동체 특성을 실증 조사하였다.
4장은 측정한 국가별 이주민 공동체 데이터를 기반을 두어 군집분석을 하였다. 군집분석을 하기 위해 실증 조사된 다양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비계층군집분석을 통해 군집의 수를 정하고 계층적군집분석을 통해 유사한 특성을 보인 4가지 군집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ANOVA 검증을 통해서 변수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5장은 도출된 외국인 밀집지역 유형 4가지의 이주민 공동체 특성과 도시건축 환경 특성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우선 도출된 4가지 유형이 어떠한 요소들에 의해 유형화되었는지 유형별 이주민 공동체 특성을 조사하여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주민 공동체의 특성이 외국인 밀집지역의 도시건축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유형별 도시건축 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두 특성간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 분석을 통해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별 도시건축 환경의 특성을 확인하고 두 특성간 연관성을 확인한 첫 도시·건축 연구라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물을 통해 이주민 공동체에 대한 이해와 유형별 외국인 밀집지역의 도시건축 환경과 그에 따른 현재 정책 수립과 보완에 대한 주요한 시사점을 가지며 새로운 패러다임의 이주민 관련 정책과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외국인 밀집지역의 유형에 적합한 정책이 수립되고 보완되어 이주민의 안정적인 정착과 국내 주류사회와 동화를 이루어 한국과 성공적인 통합이 되길 기대한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에는 도시 이미지 개선과 도시 활성화 등 긍정적 영향을 주어 다양성도 인정하는 성공한 다문화 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gainst the backdrop of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South Korea recently witnessed, various issues related to immigrant communities have been observed across the South Korean society. On such grounds,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the fundamental cause of these issues. Current policies for foreigners in South Korea lacks the flexibility to embrace the diversity of immigrant communities. Also, since studies related to policies for foreigners in South Korea are not only outdated, but also since the data used in the studies are heavily weighted towards residential purposes of foreign nationals only, these studies and policies fail to take into account the diverse residential types and nationalities of foreigners.
Policies and studies regarding immigrants that have been created in the past seem to have disregarded the diverse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of immigrants and immigrant communities, but instead focused only on specific situations or characteristics. This lack of diversity proved to be inappropriate for accommodating the constantly changing and multiplying immigrant communities. The foremost goal for the future regarding immigrant communities in South Korea is to identify elements found commonly across all immigrant communities to formulate policies and conduct studies tha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inclusive culture.
To address the issues found in current policies for immigrants in South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distinct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ies from which the immigrants have come; compares and analyzes such characteristics; categorizes the areas densely populated with foreign nationals in Korea into different types; and seeks methods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aspect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for each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ractically applied to designing new policies and follow-up studies on immigrant communities in South Korea to ultimately help immigrant communities successfully assimilate into Korean society and to truly accomplish social integration among Korean nationals and immigrants.
The study first categorizes immigrant communities in South Korea into different types based on social capit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communities, which are regarded a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communities. Next, the study examines the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each typ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of immigrant community. The brief summary of each chapter is outlined below.
Chapter two focuses on community theory and national culture theory. Based on these theories, elements related to social capital and elements that serve as the basis of value judgments for immigrant communities apart from the social norm are examined. Next, studies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mmigrant communities and the existing categorization of these communities are studied. The above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become the backbone of this study in drawing up the variables that are regarded as characteristics unique to immigrant communities.
In chapter three, the overall process of categorizing multiple immigrant communities is designed and variables for the study are extracted. Firstly, the areas heavily populated with immigrants to be studied are selected. Based on the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mentioned in the previous chapter, variables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ve countries from which the immigrants have come and variables for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circumstances and status in South Korea are identifi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communities by the native country of the immigrants.
In chapter four, cluster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derived from the previous chapter. The collected data is standardized and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number of clusters. Then,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immigrant communities that show similar characteristics into four clusters. Lastly, ANOVA (Analysis of variance) test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variables.
Chapter five delves deeper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our types of immigrant communities. Firstly, the four types of immigrant communities are analyz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Next, element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each type are analyzed to identify how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community affect the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for each type. Last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lements are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categorize immigrant communitie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each type, and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ele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epen our understandings of immigrant communities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critical resources for developing policies for immigrants currently residing in South Korea as well as for presenting a new paradigm for studies and policies for foreign nationals in the future.
It is highly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true social integration by helping the immigrants settle and assimilate successfully into Korean society. Successful assimilation of foreign nationals into Korean society will precipitate multiple positive effects including enhancement of the citys image and re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Moreover, the assimilation of immigrants into the culture will elevate the national image as a country that embraces cultural diversity and fosters inclusion on a global level.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11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9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