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eep Learning-based Abuse Detection in Healthcare Insurance with Medical Treatment Data : 진료 내역 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건강보험 남용 탐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제혁

Advisor
조성준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buse detectionHealthcare insuranceMedical treatmentDeep learningData mining부당청구 탐지건강보험진료내역딥러닝데이터마이닝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2020. 8. 조성준.
Abstract
As global life expectancy increases, spending on healthcare grows in accordance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However, due to expensive price of medical care, the bare cost of healthcare services would inevitably places great financial burden to individuals and households. In this light, many countries have devised and established their own public healthcare insurance systems to help people receive medical services at a lower price. Since reimbursements are made ex-post, unethical practices arise, exploiting the post-payment structure of the insurance system. The archetypes of such behavior are overdiagnosis, the act of manipulating patients diseases, and overtreatments, prescribing unnecessary drugs for the patient. These abusive behaviors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sources of financial loss incurred in the healthcare system. In order to detect and prevent abuse, the national healthcare insurance hires medical professionals to manually examine whether the claim filing is medically legitimate or not. However, the review process is, unquestionably, very costly and time-consuming. In order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data mining techniques have been employed to detect problematic claims or abusive providers showing an abnormal billing pattern. However, these cases only used coarsely grained information such as claim-level or provider-level data. This extracted information may lead to degradation of the model's performance.
In this thesis, we proposed abuse detection methods using the medical treatment data, which is the lowest level information of the healthcare insurance claim. Firstly, we propose a scoring model based on which abusive providers are detected and show that the review process with the proposed model is more efficient than that with the previous model which uses the provider-level variables as input variables. At the same time, we devise the evaluation metrics to quantify the efficiency of the review process. Secondly, we propose the method of detecting overtreatment under seasonality, which reflects more reality to the model. We propose a model embodying multiple structures specific to DRG codes selected as important for each given department. We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robust to the seasonality than the previous method. Thirdly, we propose an overtreatment detection model accounting for heterogeneous treatment between practitioners. We proposed a network-based approach through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eases and treatments is considered during the overtreatment detection proces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lassify the treatment well which does not explicitly exist in the training set. From these works, we show that using treatment data allows modeling abuse detection at various levels: treatment, claim, and provider-level.
사람들의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건의료에 소비하는 금액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비싼 의료 서비스 비용은 필연적으로 개인과 가정에게 큰 재정적 부담을 주게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국가에서는 공공 의료 보험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람들이 적절한 가격에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먼저 서비스를 받고 나서 일부만 지불하고 나면, 보험 회사가 사후에 해당 의료 기관에 잔여 금액을 상환을 하는 제도로 운영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를 악용하여 환자의 질병을 조작하거나 과잉진료를 하는 등의 부당청구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행위들은 의료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주요 재정 손실의 이유 중 하나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험회사에서는 의료 전문가를 고용하여 의학적 정당성여부를 일일히 검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검토과정은 매우 비싸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검토과정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문제가 있는 청구서나 청구 패턴이 비정상적인 의료 서비스 공급자를 탐지하는 연구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데이터로부터 청구서 단위나 공급자 단위의 변수를 유도하여 모델을 학습한 사례들로, 가장 낮은 단위의 데이터인 진료 내역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했다.
이 논문에서는 청구서에서 가장 낮은 단위의 데이터인 진료 내역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당청구를 탐지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첫째, 비정상적인 청구 패턴을 갖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탐지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를 실제 데이터에 적용하였을 때, 기존의 공급자 단위의 변수를 사용한 방법보다 더 효율적인 심사가 이루어 짐을 확인하였다. 이 때, 효율성을 정량화하기 위한 평가 척도도 제안하였다. 둘째로, 청구서의 계절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잉진료를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때, 진료 과목단위로 모델을 운영하는 대신 질병군(DRG) 단위로 모델을 학습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제 데이터에 적용하였을 때, 제안한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계절성에 더 강건함을 확인하였다. 셋째로, 동일 환자에 대해서 의사간의 상이한 진료 패턴을 갖는 환경에서의 과잉진료 탐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환자의 질병과 진료내역간의 관계를 네트워크 기반으로 모델링하는것을 기반으로 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이 학습 데이터에서 나타나지 않는 진료 패턴에 대해서도 잘 분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들로부터 진료 내역을 활용하였을 때, 진료내역, 청구서, 의료 서비스 제공자 등 다양한 레벨에서의 부당 청구를 탐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18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9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