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fficient Visual Odometry Enhancement Methods with Deep Learning : 딥러닝에 기초한 효과적인 Visual Odometry 개선 방법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원영

Advisor
이범희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onocular Visual OdometryVisual SLAMSuper-resolutionUnsupervised Learning-based Visual Odometry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2020. 8. 이범희.
Abstract
Understanding the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robotics and computer vision. For this purpose, sensors such as a lidar, a ultrasound, infrared devices,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and cameras are used,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through sensor fusion. Among these sensors, in recent years, researches for use of visual sensors, which can obtain a lot of information at a low price, have been actively underway.
Understanding of the 3D environment using cameras includes depth restoration, optical/scene flow estimation, and visual odometry (VO). Among them, VO estimates location of a camera and map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a camera-equipped robot or person travels. This technology must be preceded by other tasks such as path planning and collision avoidance. Also, it can be applied to practical applications such as autonomous driving, augmented reality (A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ntrol, and 3D modeling.
So far, researches on various VO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Initial VO researches were conducted by filtering poses of robot and map features. Because of the disadvantage of the amount of computation being too large and errors are accumulated, a method using a keyframe was studied. Traditional VO can be divided into a feature-based method and a direct method. Methods using features obtain pose transformation between two images through feature extraction and matching. Direct methods directly compare the intensity of image pixels to obtain poses that minimize the sum of photometric errors.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skill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pply deep learning to VO. Deep learning-based VO, like other fields using deep learning with images, first extract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features and calculates pose transformation between images. Deep learning-based VO can be divided into supervised learning-based and unsupervised learning-based. For VO, using supervised learning, a neural network is trained using ground truth poses, and the unsupervised learning-based method learns poses using only image sequences without given ground truth values.
While existing research papers show decent performance, the image datasets used in these studies are all composed of high quality and clear images obtained using expensive cameras. There are also algorithms that can be operated only if non-image information such as exposure time, nonlinear response functions, and camera parameters is provided. In order for VO to be more widely applied to real-world application problems, odometry estimation should be performed even if the datasets are incomplete. Therefore, in this dissertation, two methods are proposed to improve VO performance using deep learning.
First, I adopt a super-resolution (SR) techniqu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VO using images with low-resolution and noises. The existing SR techniques have mainly focused on increasing image resolution rather than execution time. However, a real-time property is very important for VO. Therefore, the SR network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execution time, resolution increment, and noise reduction in this case. Conducting a VO after passing through this SR network, a higher performance VO can be carried out, than using original images. Experimental results using the TUM dataset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VO and other SR methods.
Second, I propose a fully unsupervised learning-based VO that performs odometry estimation, single-view depth estimation, and camera intrinsic parameter estimation simultaneously using a dataset consisting only of image sequences. In the existing unsupervised learning-based VO, algorithms were performed using the images and intrinsic parameters of the camera. Based on existing the technique, I propose a method for additionally estimating camera parameters from the deep intrinsic network. Intrinsic parameters are estimated by two assumptions using the properties of camera parameters in an intrinsic network. Experiments using the KITTI dataset show that the results a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3차원 환경에 대한 이해는 로보틱스와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굉장히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라이다, 초음파, 적외선,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카메라 등의 센서가 개별적으로 또는 센서 융합을 통해 여러 센서가 동시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 중에서도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환경 인지는 깊이 복원, optical/scene flow 추정, visual odometry (VO) 등이 있다. 이 중 VO는 카메라를 장착한 로봇 혹은 사람이 이동하며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주변 환경의 지도를 작성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경로 설정, 충돌 회피 등 다른 임무를 수행하기 전에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며 자율 주행, AR, UAV contron, 3D modelling 등 실제 응용 문제에 적용될 수 있다.
현재 다양한 VO 알고리즘에 대한 논문이 제안되었다. 초기 VO 연구는 feature를 이용하여 feature와 로봇의 pose를 필터링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필터를 이용한 방법은 계산량이 너무 많고 오차가 누적된다는 단점 때문에 keyframe을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이 방식으로 feature를 이용하는 방식과 픽셀의 intensity를 직접 사용하는 direct 방식이 연구되었다. feature를 이용하는 방법들은 feature의 추출과 매칭을 이용하여 두 이미지 사이의 pose 변화를 구하며 direct 방법들은 이미지 픽셀의 intensity를 직접 비교하여 photometric error를 최소화 시키는 pose를 구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deep learning 알고리즘의 발달로 인해 VO에도 deep learning을 적용시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Deep learning-based VO는 이미지를 이용한 다른 분야와 같이 기본적으로 CNN을 이용하여 feature를 추출한 뒤 이미지 사이의 pose 변화를 계산한다. 이는 다시 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한 방식과 un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한 VO는 pose의 참값을 사용하여 학습을 시키며, un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하는 방법은 주어지는 참값 없이 이미지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pose를 학습시키는 방식이다.
기존 VO 논문들은 좋은 성능을 보였지만 연구에 사용된 이미지 dataset들은 모두 고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얻어진 고화질의 선명한 이미지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출 시간, 비선형 반응 함수, 카메라 파라미터 등의 이미지 외적인 정보를 이용해야만 알고리즘의 동작이 가능하다. VO가 실제 응용 문제에 더 널리 적용되기 위해서는 dataset이 불완전할 경우에도 odometry 추정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deep learning을 이용하여 VO의 성능을 높이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는 super-resolution (SR) 기법으로 저해상도, 노이즈가 포함된 이미지를 이용한 VO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SR 기법은 수행 시간보다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주로 집중하였다. 하지만 VO 수행에 있어서는 실시간성이 굉장히 중요하다. 따라서 수행 시간을 고려한 SR 네트워크의 설계하여 이미지의 해상도를 높이고 노이즈를 줄였다. 이 SR 네트워크를 통과시킨 뒤 VO를 수행하면 기존의 이미지를 사용할 때보다 높은 성능의 VO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TUM dataset을 이용한 실험 결과 기존의 VO 기법과 다른 SR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연속된 이미지만으로 구성된 dataset을 이용하여 VO, 단일 이미지 깊이 추정, 카메라 내부 파라미터 추정을 수행하는 fully unsupervised learning-based VO를 제안한다. 기존 un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한 VO에서는 이미지들과 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의 내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VO를 수행하였다. 이 기술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deep intrinsic 네트워크를 추가하여 카메라 파라미터까지 네트워크에서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0으로 수렴하거나 쉽게 발산하는 intrinsic 네트워크에 카메라 파라미터의 성질을 이용한 두 가지 가정을 통해 내부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었다. KITTI dataset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intrinsic parameter 정보를 제공받아 진행된 기존의 방법과 유사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26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97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