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of disease biomarkers and screening of olfactory receptors for the biomarker detection : 질병 바이오마커 발굴 및 그와 결합하는 후각 수용체 탐색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상원

Advisor
박태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Volatile organic compoundbiomarkerGC/MSolfactory receptorbioelectronic sensor휘발성 유기물질표지물질SPME후각 수용체바이오 전자 센서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2020. 8. 박태현.
Abstract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systems, the premature mortality rate due to disease h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lethality from some incurable diseases including cancer is still high. Because it is difficult to feel conscious symptoms before the disease develops to a late stage, and the existing diagnosis method is inaccessible due to the invasive method and cost of examination. Due to this reason, the latest disease diagnosis technology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accessibility, and in particular, the need for non-invasive and economic method is emerging. As a typical example, the technology for diagnosing a disease by detecting a specif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enables simple diagnosis without pain because it can detect the signal of disease from exhaled breath, sweat, urine, and saliva as well as blood and body fluids. In particular, the bioelectronic sensor has demonstrated excellent selectivity and sensitivity by combining a primary transducer such as an olfactory receptor with a secondary transducer containing a nanostructured semiconductor such as carbon nanotubes or graphen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identification of disease biomarkers and screen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olfactory receptors for the detection of biomarkers that are essential for development of bioeletronic sensor. The selected diseases for study are lung cancer, tuberculosis, and gastric cancer. First, the discovery of biomarkers for lung cancer and the screening of human olfactory receptors were performed. The lung cancer cell line and the normal lung cell line were cultured to compare the composition of headspace gas by GC / M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2-ethyl-1-hexanol, which is more frequently generated in lung cancer cell lines, was identified. In addition, human olfactory receptors capable of detecting this biomarker were screened using a dual-glo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It was confirmed that the identified olfactory receptor sensitively and selectively detects the lung cancer biomarker, and then conducted olfactory nanovesicle gene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use as a primary transducer of the bioelectronic sensor in the further study.
In the second study, the screening of human olfactory receptors were carried out for identification of olfactory receptor capable of detecting 5 tuberculosis biomarkers found in urine [95]. The screening was conducted by transfectng the human olfactory receptor genes and the luciferase reporter gene into the HEK293 cell line to confirm the responsivity to the tuberculosis biomarkers. As a result, olfactory receptors recognizing each tuberculosis biomarker were selected, and their responsivity and selectivity were also analyzed.
Third, a number of exhaled breath samples of gastric cancer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GC/MS. As a result, butyl acid and propionic acid, which ar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und in relatively large amounts in the exhaled breath of gastric cancer patients,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fibers were used as a instruments of collecting and concentra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 completely analyze the biomarkers containing a very small amount in the exhaled breath sampl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elec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s biomarkers, we build a diagnostic model that distinguishes patients based on the amount of biomarkers in the exhaled breath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overall data, and their sensitivity and selectivity were calculated.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a primary transducer of a bioelectronic sensor that detects biomarkers included in exhaled breath, the responsivity and selectivity of 2 human olfactory receptors known to detect butyric acid and propionic acid were estimated.
Development of disease diagnosis technology is an inevitable process for universal welfare and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Diagnostic methods targeting disease-specif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attracting attention in academia as a next-generation diagnostic technology, and are actively being studied all over the world. In this thesis, several disease-specif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have been newly identified, and the human olfactory receptors capable of recognizing disease biomarkers were screened.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sensitive and selective bioelectronic sensor for disease diagnosis.
의료기술과 체계의 발달로 인해 질병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은 과거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암을 비롯한 일부 난치성 질병으로 인한 치사율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이는 질병이 치명적인 수준까지 발달하기 전에 자각증상을 느끼기 힘들다는 점과 기존의 검진 방법이 특유의 침습적인 방식과 검사 비용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이런 연유로 최신 질병 진단 기술은 접근성의 향상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비 침습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특이적인 휘발성 유기물질을 감지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기술은 피나 체액 뿐만 아니라 날숨, 땀, 소변, 침 등을 매개로 와병 여부를 파악할 수 있기에 고통이 수반되지 않는 간단한 진단을 가능케 한다. 특히, 바이오 전자 센서는 카본나노튜브나 그라핀 같은 나노 구조 반도체를 포함한 2차 변환기에 후각 수용체와 같은 1차 변환기를 결합하여 우수한 선택도와 민감도를 선보인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질병 진단용 바이오 전자 센서 제작을 위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질병 표지물질 선정과, 표지물질 탐지를 위한 후각 수용체 발굴 및 성능 평가이다. 연구 대상으로 선택한 질병은 폐암, 결핵, 그리고 위암이다. 먼저 폐암의 표지물질 발굴과 인간 후각 수용체 탐색이 수행되었다. 폐암 세포주와 정상 폐 세포주를 배양하여 두부공간의 가스 조성을 GC/MS로 비교하였고, 폐암 세포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물질 2-에틸헥산올을 특정하였다. 그리고 이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인간 후각 수용체를 이중발광 루시퍼레이즈 검정법을 이용하여 탐색하였다. 발굴된 후각 수용체가 폐암 표지물질을 민감하고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바이오 전자 센서의 1차 소자로 사용하기 위한 후각 나노베시클 생산 및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소변에서 발견된 결핵 관련 5종의 휘발성 유기물질들을 감지할 수 있는 인간 후각 수용체를 탐색하였다. 탐색 과정은 HEK293 세포주에 인간 후각 수용체 유전자와 루시퍼레이즈 리포터 유전자를 형질도입하여 결핵 바이오마커들에 대한 반응성을 확인함으로써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각각의 결핵 바이오마커에 대한 후각 수용체가 선정되었으며, 그 반응성과 선택도 또한 분석되었다.
세번째로, 위암 환자와 건강한 사람의 날숨 샘플을 다수 채취하여 GC/MS 장비를 이용해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위암 환자에게서 상대적으로 많이 발견되는 휘발성 유기물질인 뷰틸산과 프로피온산을 특정하였다. 특히, 날숨 샘플 내에 매우 적은 양이 포함된 표지물질을 빠짐없이 분석하기 위해 휘발성 유기물질 채취 및 농축 수단으로 고체 미세추출 (SPME) 섬유를 활용하였다. 선정한 휘발성 유기물질의 표지물질로서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전체 자료의 통계 분석 과정을 통해 날숨 내의 표지물질 포함량을 기준으로 환자 여부를 구분짓는 진단 모델을 구축하고 그 민감도와 선택도를 산출하였다. 추가적으로, 향후 진행할 날숨을 대상으로 한 위암 진단용 바이오 전자 센서 제작을 위해, 뷰틸산과 프로피온산을 감지한다고 알려진 인간 후각 수용체 2종의 반응성과 선택도를 분석하였다.
질병 진단기술 개발은 인류의 보편적 복지와 평균수명 연장을 위하여 필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과정이다. 질병 특이적 휘발성 유기물질을 대상으로 삼는 진단 방식은 차세대 진단기술로써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세계 각지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몇 가지 질병 특이적 휘발성 유기물질이 신규 발굴되었으며, 또한 기존에 알려진 질병 표지물질을 감지하는 능력을 가진 후각 수용체를 탐색하고 그 기능성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연구 성과들이 민감하고 선택적인 질병 진단용 생체 소자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43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3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