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Manchu Invasion of Joseon: Power Shift in East Asia and the Perception of Zhong-hua : 병자호란: 동아시아의 패권 변화와 중화사상의 인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혁

Advisor
신성호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Zhong-huaSino-CentrismSadae-JueuiGwanghaegunInjo중화 (中華)중화사상 (中華思想)사대주의 (事大主義)광해군 (光海君)인조 (仁祖)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협력전공), 2020. 8. 신성호.
Abstract
After seven years of the Japanese Invasions of Joseon (Imjin War, 壬辰倭亂, 1952~1958), East Asia went under a dynamic shift in regional order. The Manchurians from the northeastern part of China came into power as a new kingdom (Later Jin, 後金) in 1616, and placed its first monarch Nurhaci (奴爾哈赤) as a Khan – an absolute ruler. Ming (明) was also struggling under the aftermath of Japanese Invasion of Joseon, since it was supporting Joseon as an ally, and could not prevent the rise of the Manchurians effectively. In 1636, Later Jin promoted its class from kingdom to an empire (Qing, 淸), and ultimately became the new hegemon of East Asia in 1644, by conquering Ming and its territory. Throughout such turmoil of power transition, Joseon was once again located in the middle of two major powers. From late 1636 to early 1637, Manchurian army came into Korean peninsula, and Joseon surrendered to Qing even before the collapse of Ming.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ausality of Manchu Invasion of Joseon through security policy framework and diagnose the inevitability of this ev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paper will strive to define the most determinant factor of Zhong-hua (中華, Sino-centrism), and based on such background, it will clarify how each of Joseons regime – Gwanghaegun (光海君) and Injo (仁祖) – perceived the ideology in terms of their foreign policy and conflict management.
7년간의 임진왜란(壬辰倭亂, 1952~1958) 이후, 동아시아는 새로운 패권의 변화를 맞게 된다. 중국 동북부 지역의 여진족들이 1616년 새로운 왕조(후금, 後金)를 만들었으며, 건국자 누르하치(奴爾哈赤)를 절대 권력자인 칸으로 추대하였다. 명(明) 또한 임진왜란 당시 동맹국인 조선을 지원한 여파로 흔들리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후금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했다. 1636년, 후금은 스스로를 왕조에서 청(淸) 제국으로 승격시켰고, 1644년 명나라의 영토를 정복하며 동아시아의 새로운 패권국가가 되었다. 이러한 패권 격변의 시기 속에서, 조선은 다시 한번 두 강대국의 사이에 끼이게 된다. 1636년 후반부터 1637년 초까지 여진족 군대는 한반도를 공격하였고, 결국 조선은 명나라의 멸망보다 앞서 청나라에 항복하게 된다. 본 논문은 병자호란 사건을 안보학적 시각으로 분석하여 전쟁의 불가피성을 진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중화사상(中華思想)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조선의 두 왕이었던 광해군(光海君)과 인조(仁祖)가 대외정책과 분쟁해결의 측면에서 어떻게 중화라는 사상을 인식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58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5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