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 개념 탐구 : The Study on the Concept of Sexual Arousal or Shame in Criminal Law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성민

Advisor
이상원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카메라등을이용한촬영성폭력 처벌법성착취물음란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구성요건Special Act on Punishment of Sexual CrimesImage-based sexual abuseObscenitySexual arousal or shameAmendmentVideo voyeurism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20. 8. 이상원.
Abstract
법은 우리 사회가 어떤 행위를 폭력으로 인식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폭력에 어떤 방식으로 대처하는지를 반영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이하 성폭력 처벌법이라 한다.) 제14조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이하 카메라등이용촬영죄라 한다.)이 성착취물을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특히 지금껏 법이 어떤 관점에서 성착취물을 바라보고, 어떤 기준으로 범죄 성부를 판단하였는지 비판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디지털 성범죄와 성착취물의 개념과 특성, 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내용과 형식, 그리고 그중에서도 특히 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 요건에 관한 판단기준을 검토하였다. 둘째로, 법원이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 구성요건 해당성을 인정하거나 부정한 판례를 분석하고, 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형법상 음란 기준으로 해석하는 문제를 지적하였다. 셋째로, 현행 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구성요건 및 관련 법률개정안의 한계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 적합한 개념을 구축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카메라등이용촬영죄 구성요건 재정립을 위한 3가지 기준을 정하고,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대체할 성적 수단 또는 대상화 개념을 제시하였다.
The law reflects what actions does our society perceive as a violence and how we respond to it. This paper explored how we understands and acts upon image-based sexual abuse under the video voyeurism provision of the Special Act on Punishment of Sexual Crimes. This paper was especially focused on critically examining how the courts interpreted the illegality of a voyeurism act. In order to do this, this paper was constituted of four parts. In the first part, this paper introduced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image-based sexual abuse. Secondly, reviewed the format and contents of the provision and its limitations. Thirdly, it criticized legislators and precedentscomprehension of sexual arousal or shame. Also, it investigated when and why the court apply or deny sexual arousal or shame of image-based sexual abuse. As a result, it revealed the courts tendency to neglect the abusive nature of the video voyeurism by heavily relying on the obscenity standards of the criminal law to interpret sexual arousal or shame. In the last part, this paper looked into ideas to reform the provision and suggested to delete sexual arousal or shame concept. This paper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coin new concept to substitute sexual arousal or shame. To appropriately capture abusive nature of the image-based sexual abuse and properly protect the victims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d dignity, this paper argued that the provision should be reframed to criminalise unilateral sexual objectification of a persons body against his or her will.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80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9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