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택점유 형태별 주거비부담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성호

Advisor
권순만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주거비주택점유 형태주택자산우울주관적 건강Housing Cost BurdenDepressionSelf-Rated Health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0. 8. 권순만.
Abstract
본 연구는 주거비 부담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에서 자가 거주자는 차가(전․월세 등 임차) 거주자보다 건강 수준이 좋다는 보고가 다수 있다. 차가 거주자들은 만성질환, 우울, 불안감 등 측면에서 건강 수준이 좋지 않고 외국의 사례에서는 고혈압, 관절염에 걸릴 확률이 자가 거주자에 비하여 높다고 한다. 주거비 증가는 식료품과 의료비, 냉난방비, 건강증진 식품 등 구매력을 약화하고, 계약 기간에 따른 잦은 이사로 인한 주거 불안은 스트레스, 우울, 불안감을 유발하여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주택점유 형태별 주거비 부담과 건강 결과 사이의 인과성을 밝히기 위해 한국 복지 패널 6차(2011년)~14차(2019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20세 이상 90세 미만 가구주와 그 배우자를 대상으로 확률효과를 포함한 패널 로짓 분석을 시행하였다.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주거비 부담을 느끼는 경우 우울은 증가하였고, 주관적 건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감소하였다. 또한, 자가 거주자는 차가 거주자보다 우울은 감소하였고, 주관적 건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증가하였다. 또한, 주택자산을 보유한 차가 거주자는 주택자산을 보유하지 않은 차가 거주자보다 우울함이 감소하였고, 거주 주택 외 주택자산을 보유한 자가 거주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우울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점유 형태와 주택자산 보유 여부도 우울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두 요소를 포함하여, 기존에 알려진 사회적, 경제적, 개인적, 주택관련 요인들을 통제하여도 주거비 부담은 우울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다.
해당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는 다르게 패널데이터를 통해서 사회경제적, 환경적, 개인적, 제도적 요인들을 통제하여 패널 회귀분석을 통해 주거비 부담과 건강의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거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주택점유 형태, 주택자산 보유 여부에 따라 영향을 다르게 받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속된 경제 저성장, 금리 인하 기조로 인해 구조적으로 주택자산 불평등, 주거 불평등이 심화하였다. 불평등은 행복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개인이 가치를 두고 있는 행위나 상태를 자유롭게 추구하고 달성할 수 있는 환경을 역량이라고 정의하고 있는 Sen의 역량 이론을 적용하면, 구조적으로 주택자산과 주거 불평등이 존재하는 시대적 상황은 개인이 추구하는 환경이 결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구조적인 문제는 개인의 선행으로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이다. 주거비로 인한 건강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책을 수립하는 단계에서 주택점유 형태, 주택자산 등 특성을 고려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burden of housing cost on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In previous studies, there have been many reports that homeowners have better health than tenants. Tenants are said to have poor health, such as chronic diseases, depression, and anxiety, and are more likely to develop high blood pressure and arthritis in foreign cases. It is said that the increase in housing cost negatively affects health due to the weakening of purchasing power, such as health promotion food, medical expenses, heating, and cooling. Also, the housing anxiety caused by frequent moving due to the contract period causes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The 6th(2011)~14th(2019)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were us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on household owners and spouses aged 20 to under 90. In this study, the logit model with panel data was analyzed to reveal the causality between housing cost burden and health for each type of housing occupancy.
As in the previous study, when there was a burden on housing cost, depression increased, self-rated health decreased. In the case of homeowners, self-rated health increased and depression decreased although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data were analyzed by discriminating those tenants with housing property. Compared to tenants without housing property, tenants with housing property tended to decrease their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depression reduction rate was greater than that of homeowners without housing property other than residential housing, and it was similar to those of homeowners who have housing property other than residential homes. The housing tenure and the existence of housing assets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Even if social, economic, personal, and housing-related factors including housing tenure and housing assets, are controlled, the burden of housing cos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as able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st burden and health through panel regression analysis by controlling socioeconomic, environmental, personal, and institutional factor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housing cost burden can affect health. Housing tenure type and housing assets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health when there is a burden of housing cost. Besides, it was confirmed that voluntary renters with housing property have the same level as those with the homeowner with another housing property.
Due to sustained Korea's economic slowdown and low-interest rate have led to structural inequality in housing assets and housing. Looking at this structural inequality by using Sen's competency theory, which defines an environment in which an individual can freely pursue and achieve a valued behavior or state as competence, it is considered that each individual lacks an environment that they pursue. Structural problems cannot be solved by the individual's voluntary donations. To bridge the health gap caused by housing cos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haracteristics such as housing occupancy and housing assets at the stage of the policy establishmen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84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9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