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기 가치 확인이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는 대학생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개방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Affirmation on Openness to Professional Help-Seek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with Psychological Distres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현지

Advisor
김창대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기 가치 확인전문적 도움추구자기낙인의도의향self-affirmationhelp-seekingself-stigmaintentionwillingnes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20. 8. 김창대.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 가치 확인이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는 대학생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개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사전에 온라인상에서 일상 평가 임상 척도(CORE-GP)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서울 소재 대학 재학생 중 임상 기준 평균 점수 이상을 보고한 7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험에서 참여자는 각각 자기 가치 확인 집단과 일반 가치 확인 집단에 무선 배정되었다. 사전에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자기낙인과 부적정서를 측정한 후, 집단별로 자기 가치 확인 혹은 일반 가치 확인을 실시하였다. 그 후 참여자들은 자신의 심리적 고통이 상당한 수준임을 연구자로부터 전달받고, 연구자가 제시한 상담 안내문을 읽었다. 이어서 사후 측정에서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자기낙인, 부적정서,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및 의향을 측정하였다. 실험 종료 후 사전 설문에서 측정한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자기낙인과 부적정서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하고, 사후 설문에서 측정한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자기낙인, 부적정서,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및 의향의 집단 간 차이를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해 비교하여 가설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 가치 확인은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는 대학생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개방성을 증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전 자기낙인과 부적정서 점수를 통제했을 때, 자기 가치 확인 집단은 일반 가치 확인 집단보다 자기낙인과 부적정서가 낮았고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가 높았다. 그러나 전문적 도움추구 의향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기 가치 확인은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이 상담을 권유받는 상황에서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해 더욱 개방적으로 반응하게 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al study i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self-affirmation on openness to professional help-seek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stress. In order to recruit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actually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stress, CORE-GP was conducted online in advance. Among 189 undergraduate students from Seoul, 74 were selected a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stress group.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self-affirmation group or a control group.
SSOSH and PANAS were measured before the manipulation, and then self-affirmation or control task was performed for each group. Subsequently, participants were informed by the researcher that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was at a considerable level, and read the counseling brochure. Finally, the post-measurement was conducted including SSOSH, PANAS, ISCI, WSHS. For statistical method, multivariate covariance analysis(MANCOVA) was utilized to confirm hypothese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self-affirmation enhances openness to professional help-seek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stress. The self-affirmation group showed lower self-stigma and negative affect, and higher intention to seek professional help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willingness to seek professional help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self-affirmation is found to be effective in making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stress respond more openly to seeking professional help.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90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53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