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과 수업사려도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ocial studies classroom thoughtfulnes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모경환-
dc.contributor.author송민섭-
dc.date.accessioned2020-10-13T03:26:25Z-
dc.date.available2020-10-13T03:26:2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134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99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34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20. 8. 모경환.-
dc.description.abstract학습자의 개인적, 시민적 삶을 개선하는 것은 교육의 중요한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사회과교육에서는 민주화, 세계화, 정보화가 이루어진 오늘날의 사회를 살아가는 민주시민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를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내용과 프로그램이 극히 미흡하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따라서 향후 교육과정과 수업에는 비판적 사고 교육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비판적 사고를 길러주는 교육과정과 수업을 구성하고 계획할하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 그리고 사고를 촉진하는 수업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시민적 역량의 핵심적 하위 요소인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기 위한 수업은 어떤 요소들을 포함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많은 연구자들이 사고력 함양에 대해 연구해왔고, 그 중 Fred M. Newmann이 개발한 수업사려도(classroom thoughtfulness) 지표가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수업의 특징을 잘 담아내고 있었다. 그렇지만 Newmann의 연구는 수업사려도가 학생의 고차사고 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입증하지 못하여 아쉬움이 남는다.
본 연구는 Newmann의 선행연구 및 다른 이론과 연구를 검토한 뒤 사회과 수업사려도가 고차사고 관련 지식, 기능보다는 사고의 성향(dispositions)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예상하여 이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과 수업사려도가 사회과의 핵심적 역량 요소인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 주가설: 사회과 수업사려도는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1~8: 사회과 수업사려도는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하위 요인(지적통합, 창의성, 도전성, 개방성, 신중성, 객관성, 진실추구, 탐구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A중학교에서 1학년 때 사회1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은 학생이 수업에 대해 평가한 사회과 수업사려도(CHOT 또는 CT total) 점수로 측정하였으며, 측정도구는 Newmann이 제시한 수업사려도 초기 기준(1991a)을 학생용 설문으로 구성하였다. 종속변인은 비판적 사고 성향으로 하고 권인수 외(2006)가 개발한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자는 사회1 과목 수업들이 모두 끝난 후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이 인식한 사회1 수업의 특징(수업사려도),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238부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과 수업사려도가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점수와 유의수준 p<.001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고를 촉진하는 교실 상호작용의 특징을 경험한 학생에게서 비판적 사고 성향 점수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성이 확인된 것이다. 이는 수업사려도가 비판적 사고 성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학급들을 사회과 수업사려도 전체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위 집단의 비판적 사고 성향 점수는 하위 집단의 점수에 비해 유의수준 p<.001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수업 상호작용의 특징에 따라서 비판적 사고 성향의 발달 정도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비판적 사고 성향의 하위 요인 8가지에 대하여, 유의수준 p<.001(지적통합, 창의성, 개방성, 객관성, 진실추구, 탐구성) 및 p<.01(도전성, 신중성)에서 사회과 수업사려도와 하위 요인 점수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사고를 촉진하는 수업의 문화적 특징이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전반에 걸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뜻한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천적 제언을 한다. 먼저 이론적 측면에서는 몇 가지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사회과 수업사려도가 비판적 사고 성향 외에 고차사고의 다른 요소들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사회과 수업사려도 각각의 차원들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수업사려도를 저해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를 재검토하는 연구, 수업 풍토와 수업사려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다음으로 실천적 측면에서는 사고의 성향을 개선하는 수업을 위해서 사회과 수업사려도에 포함된 수업의 여러 차원들(교사가 사고의 모범을 보일 것, 도전적인 과제를 구성하고 제시할 것, 수업에서 학생들은 생각의 이유를 제시할 것 등)을 역량기반 교육과정(competency-based curriculum) 구성 및 수업 설계에 적극적으로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사회과 수업사려도를 포함한 역량기반 사회과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일 것이다: 학교에서 전개될 수업에서 몇 개의 주제를 지속적으로 고찰할 수 있도록 내용 요소를 축소한다; 수업이 실질적으로 일관성과 연속성을 보일 수 있도록 내용 요소 간 연계성을 확인하여 학습 내용을 편성한다; 학생들에게는 질문에 대해서 생각하고 대답을 준비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교사에게는 수업 스케줄 운영의 실질적인 자율성을 부여한다; 교사가 도전적인 질문들을 던지고 도전적인 과제들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재구성 및 실행, 평가에 관하여 교사에게 재량권을 부여한다; 교실에서 교사가 사려의 모델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지침을 제시하고 교사에게 도움을 제공한다; 학생들이 자신의 결론에 대한 설명이나 이유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사려도가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해 갖는 가치를 확인함으로써 수업사려도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결국 수업사려도가 개별 학생의 사고를 성장시킬 수 있음을 입증해야 관련 연구를 수행할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더하여 앞으로 수업사려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역량기반 교육과정, 역량을 키워주는 수업에 의미 있는 제안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at factors should be included in lessons to foster critical thinking, a key sub-factor of civic competencies?' Among the studies on the promotion of higher-order thinking, Fred M. Newmann developed the concept of 'classroom thoughtfulness,' a cultural feature of thoughtful social studies lesson, and conducted a study on whether the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higher-order thinking. Then he concluded that generic qualities of classroom thoughtfulnes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persuasiveness of student writing on a constitutional issue which required the in-depth knowledge and skills. Based on the related theories and studies, this study expects that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thoughtfulness is more likely to affect the dispositions of thinking, not the in-depth knowledge or skill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responses of 238 students who took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lessons during 2019, this study found the tendency that the higher the CHOT score, the higher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sco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arious dimensions of the classroom thoughtfulness(such as 'teachers are models of thoughtfulness, teachers ask challenging questions and/or structure challenging tasks, students present reasons for thinking in the class')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design for lessons that improve the dispositions of think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문제 7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8

Ⅱ. 이론적 배경 10
1. 비판적 사고 성향 10
1) 비판적 사고의 개념 10
2) 비판적 사고 성향의 의미와 구성 요소 15
2. 사회과 수업사려도 22
1) 사회과 수업사려도의 개념 22
2) 사회과 수업사려도를 구성하는 차원 24
3) 사회과 수업사려도의 측정: 관찰자의 관찰 vs 응답자의 보고 30
3. 비판적 사고 성향과 사회과 수업사려도 32
1) Lewin의 장이론 33
2) 수업 풍토 35
3)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36
4) 사회 수업을 통한 비판적 사고 성향의 계발 가능성 37
4. 선행연구 검토 43
1) 사회과 수업사려도가 미치는 영향 43
2) 비판적 사고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47
3) 소결 51

Ⅲ. 연구 설계 52
1. 연구 가설 52
2. 연구 대상 53
3. 연구 변인 및 검사 도구 54
1) 종속변인 및 검사 도구 54
2) 독립변인 및 검사 도구 56
3) 통제변인 60
4. 연구 절차 60
5. 분석 방법 61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63
1. 기술 통계 63
1) 변인별 통계 63
2) 학급별 통계 64
2. 결과 분석 65
1) 상관계수를 통한 다중 공선성 진단 65
2)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66
3) 비판적 사고 성향의 하위 요인별 영향 분석 70
4) 소결 80
3. 논의 82

Ⅴ. 결론 및 제언 84
1. 요약 및 결론 84
2. 제언 85

참고문헌 89
설문지 96
Abstract 103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시민적 역량-
dc.subject사회과 수업사려도-
dc.subject비판적 사고 성향-
dc.subject역량기반 교육과정-
dc.subjectcivic competencies-
dc.subjectsocial studies classroom thoughtfulness-
dc.subject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dc.subjectcompetency-based curriculum-
dc.subject.ddc370.19-
dc.title사회과 수업사려도가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social studies classroom thoughtfulnes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ong, Min Sub-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contributor.major일반사회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134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134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