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관계론적 장소만들기 관점으로 바라본 제주영어교육도시 : Jeju Global Education City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place-mak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다희

Advisor
박배균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제주영어교육도시관계론적 장소만들기장소프레임장소성교육이주자교육 엔클레이브Jeju Global Education CityRelational Place-makingPlace-framingPlacenessEducational MigrantEducational Enclav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지리전공), 2020. 8. 박배균.
Abstract
본 연구는 관계론적 장소만들기라는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제주영어교육도시의 장소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경합적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제주영어교육도시가 지니는 사회공간적 함의를 밝히고, 앞으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외딴 곶자왈 지대에 제주영어교육도시라는 교육을 테마로한 계획도시가 설립됨으로써 새로운 장소가 탄생하게 되었다. 제주영어교육도시는 교육적 차원에서의 예외적 공간으로 차별적인 교육법과 제도가 적용되는 제주의 새로운 교육장소이다. 특히, 국내 고소득 계층의 교육이주자들이 자녀들의 교육을 위해 거주하고, 그들만의 장소만들기 과정을 실천하면서 독특한 장소를 형성하였다. 이 장소는 제주 토착민에게도 낯선 공간이자 미지의 공간으로 여겨진다.
제주영어교육도시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다중스케일적 분석으로 제주영어교육도시의 형성배경과 전개과정을 살펴본다. 둘째, 제주영어교육도시를 둘러싼 상충적인 장소프레임을 도출하고, 각각의 장소프레임 속에서 다양한 행위자 네트워크와 장소번들에 의해 어떠한 장소만들기 과정이 만들어지는지 파악한다. 셋째, 실제 이주자들의 장소만들기 과정을 통해 형성된 제주영어교육도시의 장소성을 밝힌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제주영어교육도시는 글로벌, 국가, 지역, 도시와 같은 다양한 스케일 속에서 행위자와 조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충돌하며 역동적으로 형성된다. 제주영어교육도시를 둘러싸고 영어교육의 중심지로서 동북아시아의 교육허브라는 장소프레임과 귀족학교를 양산하여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교육양극화라는 장소프레임이 경합하지만 실제 이주자들의 장소만들기 과정은 교육양극화의 장소프레임을 심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 그들은 이질적 무대를 만들어 일시적 뿌리내림과 관계맺기를 실천하며 통로적 장소감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제주영어교육도시가 하나의 교육 엔클레이브로 형성되어 특권계층의 교육소비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교육이주자(국제학교 학생과 학부모)는 기존의 장소프레임 사이에서 중재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행위자이다. 그들은 제주영어교육도시에서 생활하고 살아가면서 상이한 실천을 통해 새로운 장소성을 만들고 제3의 장소프레임을 창출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제주영어교육도시는 다양한 장소성 생산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제주사회에서는 큰 관심을 갖지 않는다. 그들과 관련 없는 곳이라 생각하며 다른 세상, 분리된 공간이라고 여긴다. 본 연구는 앞으로 제주영어교육도시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되기 위해서 기존의 경쟁적인 장소프레임에서 벗어나 이주자들이 토착민들과 함께 새로운 장소성을 만들 수 있고 더 나아가 다양한 행위자 네트워크를 통해 새로운 장소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보다 개방적이고 제주사회와 공존하며, 소비되는 도시가 아닌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제주영어교육도시가 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relational place-making,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socio-spatial implication of Jeju Global Education City (JGEC)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competing process of the placeness of JGEC socially constructed and suggests JGEC become a better place.
A new place has been created by the establishment of a planned city called JGEC with the purpose of which is an education in the isolated area of Gotjawal, Segwiop,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GEC is an exceptional space in the dimension of education and it is under the law of diffe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olicies. Especially, educational migrants of high-income class in Korea reside at the space to expose their children to a better educational-environment and develop a unique place by practicing their own process of place-making. This place comes as unknown and unfamiliar even for Jeju indigenous people.
In order to understand JGEC more in detail, this research 1) examin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JGEC through multi-scalar analysis, 2) draws up two conflicting place-framings surrounding JGEC and figure out how place-making process is created by various actors networks and place-bundles in each place-framing, 3) sheds light on the placeness of JGEC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place-making by actual immigr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JGEC is dynamically developed in each scale namely globe, nation, region, and urban by the interaction and collision between actors and conditions. Even though there is a conflict between place-framing called Education Hub in Northeast Asia as a center of English education and place-framing called Educational Polarization deepening educational inequality by producing noble schools at JGEC, the actual process of place-making by the immigrants deepens the latter. They form a heterogeneous locale, practice temporary spatial embedding and having relationships and have a sense of place as a corridor. As a result, JGEC develops an educational enclave functioning as an educational consumption space for the privileged class. However, educational migrants (students and their parents of international schools) are those who can mediate between the existing place-framings. They demonstrate the potential which is likely to produce new placeness and third place-framing through different practices in residing at JGEC.
Although JGEC is able to produce various placeness, Jeju society pays little attention to JGEC. The indigenous people consider JGEC disrelated, separate, and different from their society.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re is a need for an environment in which migrants can create new placeness with the indigenous people and further develop new place-framing through diverse networks of actors to make JGEC a better place. JGEC has to be more opened and coexist with Jeju society so that JGEC can create a new meaning, not to be a city for consump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95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1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