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등학생의 국경 인식에 대한 영상방법론 연구
국경의 사회공간적 이해를 위한 소론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배균-
dc.contributor.author최기훈-
dc.date.accessioned2020-10-13T03:26:47Z-
dc.date.available2020-10-13T03:26:47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37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99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376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지리전공), 2020. 8. 박배균.-
dc.description.abstract오늘 날 국경 연구는 다양한 분과 학문의 경계를 넘어서 독자적인 분야로써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결과로 국경 연구는 최근 20여 년 간 많은 변화를 보였다. 특히 사회 공간적 관점의 등장과 더불어 국경을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만나는 권력과 정치의 문제로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사회 공간적 차원에서 국경 개념은 물리적, 가시적인 수준에서 머무르지 않고 개인이나 집단의 경험이나 이해관계에 따라 더욱 추상적이고 상징적인 차원으로 확산되며 본태적인 복잡성과 모호한 성격을 더욱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국경 공간의 생산 과정에서도 실재에 따른 차원보다 관념적이고 비가시적인 차원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은 그동안의 국경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는 개인이나 집단의 감정이나 태도의 영역으로써 구체적으로 파악하기에 쉽지 않았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사회공간적 국경 논의에 있어 이러한 상상과 체험의 영역을 간과한 상태에서는 국경을 올바르게 이해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본 논문에서는 질적 연구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영상방법론을 활용하여 국경 공간의 논의의 이러한 빈틈을 채우려 시도한다. 이는 복잡하고 모호한 특성을 갖는 사회공간의 한 사례로서 국경의 다양한 측면을 탐색하고 국경을 사회구성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국경은 단일한 개념이나 형태로 정의될 수 없기 때문에 개인이나 집단의 경험과 이해관계에 따른 국경 인식은 물질적으로 구체화되기 어렵다. 때문에 영상방법론의 활용은 국경과 관련한 맥락들을 가시적 영역으로 치환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영상방법론은 이미 사회 과학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법이 현재 지리학에 결합한 경우는 미비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앞으로 정치지리학과 지리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odays border has been researched going beyond the disciplinary boundaries and the studies have transformed into an independent study area. As a result, border studies have shown a lot of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changes for the last 20 years. Especially, there has been a perspective of border as social construction emerged and a new argument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border in a social context and process. Due to this way of thinking, border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ity and ambiguity according to experiences and interests of person or group and expands into more abstract and symbolic dimension. In the process of border space production, the ideal and invisible dimension gain in more importance compared to the physical and visible dimension. However, these aspects have been paid less attention in border studies and it is not easy to figure out the area of individuals and groups emotion and attitude. Without considering of imagination and experience, it is challenging to have a profound understanding with respect to the social-constructive nature of border.
This research aims to bridge the gap of discussion of border space by deploying visual methodology in qualitative researches. This is a case of social-constructive space which is complicated and vague and intends to explore the multi-aspects of border and understand border in general. Since border cannot be defined as an unique concept, it is difficult to materially embody border recognition according to individuals and groups interests. Therefore, visual methodology enables to convert border-related contexts into visible area and systematically analyze it. Even though visual methodology is widely deployed across social sciences, there have been few geography researches with the methodology, so it is anticipated this research will make a lot of contribution to geography education and political geograph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문제의식과 문제제기 1
2.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3
3. 연구 문제 및 본문 구성 4
1) 연구 문제 설정 4
2) 논문의 구성 5
II. 이론적 배경 7
1. 국경 연구의 이론적 동향 7
1) 전통적 국경연구: 국가중심주의와 영역 7
2) 사회공간으로서 국경 공간 9
3) 국경 연구의 새로운 전환과 요구 11
2. 국경 공간의 상상과 재현 13
1) 국경 공간의 상상과 재현 13
2) 국경 공간의 상상과 재현의 비판적 성격 14
3. 국경연구와 영상방법론의 접합 17
1) 국경 연구에서 새로운 방법론적 요구와 적용 사례 17
2) 영상방법론과 방법론적 특성 21
3) 사진유도인터뷰와 사진의 특성 24
Ⅲ. 연구 방법 33
1. 연구 대상과 연구 자료 33
1) 연구 대상 33
2) 연구 대상으로서 청소년의 특성 37
3) 연구 자료로서 영상 자료의 특성 38
2. 연구 설계 4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4
1. 영상 자료 분석 44
1) 1차 분석 44
2) 2차 분석 47
2. 자료의 종합과 해석 59
Ⅴ. 결론 61
1. 연구 요약 및 의의 61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63
참고문헌66
부록68
부록 1. 68
부록 2. 69
부록 3. 69
부록 4. 75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경 연구-
dc.subject사회공간-
dc.subject영상방법론-
dc.subject사진유도인터뷰-
dc.subjectborder studies-
dc.subjectsocial space-
dc.subjectvisual methodology-
dc.subjectphoto-elicitation interview-
dc.subject.ddc910.7-
dc.title고등학생의 국경 인식에 대한 영상방법론 연구-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사회교육과(지리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title.subtitle국경의 사회공간적 이해를 위한 소론-
dc.contributor.major정치지리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37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37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