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심리적 반발수준과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물 절약 메시지의 설득 효과 : The Effect of Persuasion on Water Saving messages according to Psychological Reactance Level and Sources Social Dista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지원

Advisor
류재명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물 절약심리적 반발심심리적 반발수준정보원사회적 거리감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설득 효과psychological reactance levelsourcesocial distancewater savingpersuas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 2020. 8. 류재명.
Abstract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교육에서는 설득 메시지를 통한 환경 커뮤니케이션으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그러나 학습자가 설득을 당하는 데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우리는 설득 메시지 전달을 통한 설득이 실패하는 것을 확인하기도 했다. 따라서 설득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물 부족 문제를 주제로, 정보원 요인과 심리적 반발수준이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심리적 반발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 성향으로서의 심리적 반발심을 확인하여 심리적 반발수준의 고/저가 설득 효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했으며, 사회적 거리감이 가깝고/먼 정보원에 의해 설득 효과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과 심리적 반발수준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설득 효과에 영향을 끼치는지도 확인하고자 했다. 이때 설득 효과는 메시지 신뢰도, 메시지 설득성, 메시지 호의도, 메시지 관여도, 행동적 의향으로 나누어 확인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근/원)과 심리적 반발심 수준(고/저)은 각각 설득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생시키는지와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근/원)은 심리적 반발심 수준(고/저)에 따라 설득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생시키는지로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이원적 요인설계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대전과 천안 소재의 중학교 3곳에서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이 다른 두 가지 유형의 실험 자극물을 무작위로 배포하였고, 총 340명이 응답하였다. 추후 심리적 반발심을 측정한 설문을 토대로 심리적 반발수준 고, 저집단으로 나누어 총 4개의 집단을 형성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은 물 절약 메시지의 설득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설득 효과의 하위요인 중에서 메시지 관여도에만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심리적 반발수준은 물 절약 메시지의 설득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은 심리적 반발심 수준에 따라 물 절약 메시지에 대한 설득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만으로는 설득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다양한 요인과의 상호작용을 살필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심리적 반발수준에 따른 설득 효과를 확인하여, 심리적 반발수준이 다른 집단에게 같은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면, 설득 효과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셋째로,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심리적 반발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운 정보원일 때, 메시지 설득에 높은 효과를 보였으나, 심리적 반발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사회적 거리감이 먼 정보원의 메시지에 설득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교육의 다양한 환경 커뮤니케이션에서 물 부족 문제 뿐 아니라 다양한 환경문제에 적용하여 심리적 반발수준과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을 함께 고려한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심리적 반발수준이 높은 집단에게 효과적인 설득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we tried to achieve the goal of persuasion through persuasive communic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due to various factors affecting learners, we have also confirmed that delivery of persuasion messages fails to persua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ways to increase the effect of persuasion.
This study focus on water shortage issue and sought to identify the effect of source factors and psychological resistance level on the persuasion effect in water saving messages. Based on the "Psychological reactance theory," this study checked the psychological reactance level(high/low) and how it affects the persuasion effect. An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ources social distance(close/far) affects the persuasion effect. It also wanted to confirm how the sources social distance and psychological reactance level interacts and affects the persuasion effect. At this time, the persuasion effect was measured by dividing message reliability, message persuasion, message goodwill, message involvement, and behavior intention.
To verify the questions, the research question is psychological reactance level(high/low), sources social distance(close/far) respectively produc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suasion effect and sources social distance(close/far) affects the persuasion effect according to psychological reactance level(high/low).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two-way factorial design method. This study was aimed at adolescents, middle school seniors, so three middle schools in Daejeon and Cheonan conducted experiments on 340 middle school seniors. 340 student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close source or far source by social distance, and later dividing them into "high" groups and "low" groups based on items measuring psychological reactance. So finally, four groups were formed.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ources social distance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ersuasion effect alone, so it was necessary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with various factors. Second, it confirmed the persuasion effect in the water-saving mess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psychological reactance, suggesting that if the adolescents who have different level of psychological reactance were given the same message, to some adolescents, the persuasion effect could be reduced. Third,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level of psychological reactance and the sources social distance were identified. In the case of groups with low psychological reactance, the message would be highly effective when the sources social distance is close, but in the case of groups with high psychological reactance, it tend to be persuaded by the message when the sources social distance is far.
Based on thi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ource's social distance and the level of psychological reactance together by applying them to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as well as water shortage problems in various environmental communica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need to devise ways to deliver effective persuasion messages to high level of psychological reactanc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03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37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