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근대 초등도화교과서에 수용된 서양 근대미술교육 요소
-제1~2차 조선교육령기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김형숙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도화 교과서 ; 도화 교육 ; 도화임본 ; 신정화첩 ; 보통학교도화첩 ; 조선교육령 ; Fine art textbooks ; Modern Art Education ; DoHwaImBon ; ShinjungHwaChup ; BoTongHakKyo DoHwaChup ; Chosun education ordinance
- Description
-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2020. 8. 김형숙.
- Abstract
- 본 연구는 근대 시기 일본의 불법 점령 아래 근대식 교육 제도를 선별적으로 도입하였던 당시 도화 교육의 상황을 도화 교과서를 중심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제1~2차 조선교육령기에 사용된 국정 교과서인 『도화임본(圖畫臨本)』과 『보통학교도화첩(普通學校圖畵帖)』, 같은 시기 일본의 국정교과서였던 『신정화첩(新定畫帖)』이며, 근대 미술교육 제도의 형성과정과 이에 따른 교과서 편찬 배경을 살펴보고, 각 교과서의 구조, 수업 내용, 삽화에 나타나는 서양 근대 미술교육 요소를 밝히고자 하였다.
근대 서양 미술교육은 산업 혁명, 프랑스 혁명, 문화 혁명의 세 차례의 혁명을 거치면서 큰 변화를 맞이했다. 산업 사회의 요구에 따라 미술교육의 학제화를 이뤄내고, 낭만적 이상주의를 교육에 반영하여 자아활동으로서의 정신적 활동으로 확장하였으며, 자연과 아동에 대한 합리적인 태도를 기초로 아동중심교육을 실시하고자 하였고, 다양한 분야를 종합한 미술교육 내용을 공립학교에 정립하여 현대 미술교육의 형태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서양 미술교육은 19세기 일본에 전면적으로 수용되었는데, 일본은 서양 미술교육을 토착화하는 과정에서 연필과 모필, 즉 서양화법과 전통화법 간의 논쟁을 거쳤고 나름의 교육 체제를 정비하였다. 그러나 서양 미술교육이 점차 창의성 중심 교육으로 변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역사적⋅철학적인 이해가 전제되지 않은 채 형식만 가져오면서 기술에 치중된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 근대미술교육은 1895년 처음으로 근대적 제도를 마련한 뒤 보통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을 정착하고 그 체계를 정립하여 이전과는 새로운 미술교육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일본의 동화정책에 따라 일본의 교육과 같은 교육내용이 제공되었고, 이에 따라 일본이 받아들인 서양 미술교육을 이차적으로 수용하면서 일본과 같이 기술 중심의 교육에 머물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토대로 당시 사용된 도화 교과서의 구조, 수업 주제, 삽화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교과서의 구조를 용서, 시수, 영역, 재료와 도구, 교수법의 차원으로 분석한 결과 『도화임본』에 비하여 『신정화첩』과 『보통학교도화첩』은 구조상에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였으며 동시에 서양 근대미술교육 요소를 보다 반영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도화임본』은 전체 네 학년용으로 구성되고, 주에 2시간씩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모필에 의한 임화 수업이 계제식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비해 『신정화첩』과 『보통학교도화첩』은 교사용서와 아동용서 두 가지로 여섯 학년용으로 구성되었고, 주에 1시간씩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모필, 연필, 색연필 등 다양한 재료를 통해 임화, 사생화, 고안화, 기하화의 영역이 다루어졌다. 또, 아동 발달 수준을 고려하고 상세한 지도안을 제시하였으며 지방과 계절 상황을 고려하고 아동의 자세를 지도하도록 하고 있었다.
둘째, 수업 내용도 『도화임본』은 형태력과 미감 양성에 목적을 두고 실생활과 관련된 사물 및 풍경의 임화로 구성된 반면, 『신정화첩』과 『보통학교도화첩』은 다양한 영역과 재료를 사용하도록 하고 아동의 발달과 흥미를 고려한 아동 중심 교육을 하고자 하였다. 또, 고학년에게 투시도법, 투영도법, 명암법, 색채론, 구도 및 배치, 문양과 같이 서양화법을 중심으로 하는 조형수업을 실시하고 있어 기존 『도화임본』에 비하여 서양 근대미술교육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각 교과서에 게제된 삽화를 원근법, 투영도법, 명암법, 색채론, 디자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삽화의 조형적 측면에서도 점차 서양화법이 적극적으로 적용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세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기법은 원근법과 디자인으로, 세 교과서 모두에 선 원근법과 대기 원근법이 적용되어 있었으며, 도안도 단독문양과 패턴이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있었다. 명암법은 세 교과서 모두에게 나타나되, 『도화임본』에서는 약하게, 『신정화첩』과 『보통학교도화첩』에서는 보다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신정화첩』과 『보통학교도화첩』에만 적용된 기법은 투영도법과 색채론이다. 투영도법으로 전개도, 입면도, 평면도, 측면도, 단면도, 하면도가 나타나고 있었으며, 색채론의 경우 여섯 색을 기본으로 한 다양한 채색 표현이 나타나고 있었다.
도화 교과서의 구조, 수업 주제, 삽화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도화임본』이후 『보통학교도화첩』이 발행되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고, 그 변화에는 『신정화첩』의 영향이 컸다는 것이다. 『도화임본』에서 『보통학교도화첩』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자연스러운 근대화 과정이자 동시에 서양 근대미술교육을 수용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보통학교도화첩』이 『신정화첩』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흡수하면서, 일본 중심으로 바꾼 서양 미술교육 내용이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창의적인 미술교육보다는 기법의 원리에 치중한 기술 중심 수업이 도입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일제를 통해 도입된 서양 미술교육은 오늘날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그 시작점을 되짚어 볼 수 있기를 바라며 오늘날 더욱 양질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분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ine art education, a modern education system that was selectively introduced under the Japanese illegal occupation, focusing on fine art textbooks. The study subjects are 『DoHwaImBon(圖畫臨本)』 and 『BoTongHakKyo DoHwaChup(普通學校圖畵帖)』, the national textbooks used in the 1st and the 2nd Chosun education ordinance, and 『ShinjungHwaChup(新定畫帖)』, the Japanese national textbook in the same perio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modern art education system formation and the background of textbook compilation, and to identify the elements of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shown in the structure, curriculum, and illustrations of each textbook.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has undergone major changes through three revolutions: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Cultural Revolution.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industrial society, school system has been built for art education, and art education expanded into mental activities for ego-activity by that romantic idealism was reflected in education. In addition, child-oriented education was attempted based on a rational attitude toward nature and children, and as a curriculum of art education that comprehensively reflected various fields was established in a public school, thereby a form of modern art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This form of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was fully accepted in Japan, 19th century. In the process of indigenizing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Japan established its own education system through a debate between pencil versus brush, that is, Western painting versus Japanese traditional painting. However, even though western art education gradually has been changed to creativity-oriented education, as only the form was adopted without a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 Japan's art education became a skill-oriented education.
In the case of modern art education in Korea,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system for the first time in 1895, art education was set up as an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system was settled, and new art education was attempted differentiated with the prior education. However,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Japanese curriculum wa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Japanese assimilation policy. That is, the Japanese way of western art education were secondly accepted, which made Korean art education stay in skill-oriented education.
Based on this historical background,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ructures, curriculum, and illustrations of the fine art textbooks used at the time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three textbooks in terms of the categories of target of the book, class hours, areas, materials and tools, and teaching method, 『ShinjungHwaChup』 and 『BoTongHakKyo DoHwaChup』 showed very similar states in terms of the structure as well as reflection of elements of modern western are education compared with 『DoHwaImBon』. 『DoHwaImBon』 consisted of contents for four grades, and the class was held for two hours in a week. In addition, Imhwa class using brush was presented as a step-by-step system. On the other hand, 『ShinjungHwaChup』 and 『BoTongHakKyo DoHwaChup』 consisted of contents for six grades with the book for teachers and the book for children, and the class was held one hour in a week. In addition, the areas of Imhwa, Sketch, Design, and Geometry were covered through various materials such as pencils, brush pencils, and colored pencils. Also, a detailed instructional plan was provided considering the child's developmental level. The local and seasonal conditions were considered, and the child's posture was instructed.
Second, in the case of the curriculum, 『DoHwaImBon』 was composed of Imhwa of objects and landscapes related to real life with the aim of fostering form and aesthetic sense. On the other hand, 『ShinjungHwaChup』 and 『BoTongHakKyo DoHwaChup』 enabled various areas and materials, and emphasized child-focused education considering the development and interests of children. In addition, the formative lessons centering on western painting methods such as perspective, projection, contrast, color theory, composition and layout, and patterns were given to high school students, which was found that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was more actively accepted than the existing 『DoHwaImB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illustrations inserted in each textbook in terms of perspective, projection, contrast, color theory, and design, the change was discovered into the direction that western painting methods were actively accepted in the formative aspects of the illustrations. First of all, the techniques that are common in all three textbooks were perspective and design. The line perspective and the atmospheric perspective were applied to all three textbooks, and single design and patters were commonly applied. In case of contrast, it appeared in all three textbooks, but weaker in 『DoHwaImBon』, and stronger in 『ShinjungHwaChup』 and 『BoTongHakKyo DoHwaChup』. In addition, the techniques applied only in 『ShinjungHwaChup』 and 『BoTongHakKyo DoHwaChup』 were projection and color theory. As a projection technique, a developed view, an elevation view, a plan view, a lateral view, a sectional view, and a sub-sectional view were shown. In the case of color theory, various coloring expressions based on six colors were found.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curriculum, and illustrations of fine art textbooks revealed that there has been many changes from the publication of 『BoTongHakKyo DoHwaChup』 after 『DoHwaImBon』, and the influence of 『ShinjungHwaChup』 was huge in that change. The changes from 『DoHwaImBon』 into 『BoTongHakKyo DoHwaChup』 are considered as a natural modernizing process as well as the accepting process of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However, as 『BoTongHakKyo DoHwaChup』 actively absorbed the contents of 『ShinjungHwaChup』, the Japanese way of western art education was imported into Korea. Thus, in the formative classes, 『ShinjungHwaChup』 and 『BoTongHakKyo DoHwaChup』 consisted mostly of skill-oriented classes focused only on the principles of technique, which is far from the creative art education pursued by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Western art education, introduced through Japan remained intact after independence, and remains today. It is hoped that the starting point would be reflected from this paper, and many studies in this field would be conducted to achieve more qualified education today.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