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통일·평화역량 함양을 위한 중학교 음악수업 설계 및 지도 방안 : Designing and Teaching Method for Middle School Music Class to Cultivatie Unification&Peace Competency
남북한 아리랑류 악곡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여지윤

Advisor
서정은; 민경훈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통일·평화역량상호문화역량중학교음악수업남북한아리랑Unification&Peace CompetencyIntercultural CompetenceMiddle SchoolMusic ClassNorth and South KoreaArira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2020. 8. 서정은
민경훈.
Abstract
우리가 이루어야 할 통일은 외적 부분뿐만 아니라 마음이 하나가 되는 정서와 문화의 통일까지를 포함하는 통일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문화 중심에 있는 음악은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를 위한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음악교과에서 효과적으로 통일·평화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남북이 모두 사랑하는 노래 아리랑은 효과적인 교육적 도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배경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평화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남북한의 아리랑류 악곡을 중심으로 하여 중학교 음악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하였으며,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먼저 통일·평화역량의 이해를 위해 교육에서의 통일역량 및 평화역량을 정의한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의 통일·평화역량의 개념을 도출한다. 이어서 통일교육과 평화교육의 관계, 그리고 특별히 한국·독일의 통일교육과 평화교육을 탐색하여 통일·평화역량 함양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문화적 측면에서 통일·평화역량과 유사한 의미를 지닌 상호문화역량의 통일·평화교육적 함의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정의하고 있는 통일·평화역량의 구성요소를 도출한다.
Ⅲ장에서는 음악교과에서의 통일·평화교육에 대하여 정리한다. 이를 위해 상호문화교육과 음악교육의 연관성에 대하여 정리를 하고, 통일·평화교육에서 음악교육의 의의를 문화적, 정서적, 소통적 측면으로 나누어 음악교육에서 통일·평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론적 근거를 탐색한다. 이어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통일·평화 관련 내용들을 살펴본다.
Ⅳ장에서는 통일·평화역량 함양을 위한 음악 수업을 설계한다. 첫째, 교육의 방향은 아리랑류 악곡을 중심으로 한 남북의 음악문화를 교육내용으로, 토의 활동 활용을 교육방법으로 한다. 둘째 수업 전략에서는 학습 대상에 대한 음악 발달적 특징 및 본 수업을 위해 지도시 고려할 점 등을 살핀다. 이어서 수업 단계는 디어도르프(Deardorff)의 상호문화역량의 피라미드 모형(Pyramid Model of Intercultural Competence)을 기반으로 마음열기, 알아가기, 적용하기, 소통하기로 구분하고, 하브루타(harvruta), 도덕적 딜레마(moral dilemma), 모둠 인터뷰의(group interview) 토의 방법에 대한 설명을 한다. 셋째, 남북한의 수많은 아리랑 중 본 수업에 적합한 제재곡으로 선정하고자, 기준을 정하여 최종적으로 구조아리랑, 본조아리랑, 진도아리랑, 온성아리랑, 영천아리랑, 통일아리랑(남), 통일아리랑(북), 아리랑 환상곡, 아리랑(SG 워너비), 홀로아리랑의 10곡을 선정하고 악곡에 대한 해설을 한다.
Ⅴ장에서는 남북한 아리랑 수업의 지도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통일·평화교육으로서 아리랑의 가치를 창조성, 역사성, 문화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그리고 우리나라 분단 역사의 흐름에 따라 수업 주제를 문화적 동질성 회복, 문화적 이질성 극복, 통일문화공동체 지향으로 설정하고, 주제별 수업 지도안을 제시한다. 문화적 동질성 회복 측면에서는 분단 전 아리랑(구조아리랑, 본조아리랑, 진도아리랑)을 제재곡으로 하여 서로의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며, 문화적 이질성 극복 측면에서는 분단 이후 서로 달라진 양상으로 발전하여 온 아리랑(남한의 SG 워너비의 아리랑, 북한의 온성아리랑, 영천아리랑, 아리랑환상곡)을 제재곡으로 하여 이질성 극복에 대한 실천의지를 함양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통일문화공동체 지향의 측면에서는 통일을 염원하는 아리랑(남북 각각의 통일아리랑, 남한의 홀로아리랑)을 제재곡으로 하여 새로운 통일문화공동체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통일·평화교육과 음악교육을 연결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는 점, 민족의 노래 아리랑의 통일·평화교육적 가치를 발견하였다는 점, 아리랑의 음악교육적 가치를 고려하여 중학교 수업에 적합한 악곡을 발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아리랑을 통일·평화교육의 수업 제재곡으로만 제한되어 아리랑이 지닌 음악적 가치와 의미가 잘 전달될 수 있는 수업 설계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음악교육에서 통일을 대비할 수 있는 교육 자료 및 교육 방안이 더욱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We need to achieve the concept of unification, which includes not only the external part but also the unification of emotion and culture where the mind becomes one. In this respect, music in the center of culture can be an important educational tool for the unification and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ong Arirang, loved by both North and South Korea,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educational tool for effective unification and peace education in the subject of music. Due to the neces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middle school music class centered on the Arirang music of North and South Korea to cultivate unification and peace capabilities. For this,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sed, and the research chapter contents are as follows.
Chapter Ⅱ derives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and peace competency in this study by synthesizing the opinions of scholars who have defined unification competency and peace competency in education to understand the unification and peace competency. Subsequ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unification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in Korea and German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fication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will be explored to present the necessity for cultivating unification and peace capabilities. Next, we will examine the implications of reunification and peace education of intercultural competence, which has a meaning similar to that of unification and peace in terms of culture. Finally, we derive the components of unification and peace capability that are suitable for the concept of unification and peace capability defined in this study.
Chapter Ⅲ explains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and peace in the subject of music.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ultural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is summarized. Second, the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in unification and peace education is divided into cultural, emotional, and communicative aspects, and the theoretical grounds for unification & peace education in music education will be explained. Third, we look at the contents of unification and peace appearing in the 2015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are examined.
Chapter Ⅳ presents music lessons that are designed to cultivate unification and peace competencies. First, the direction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inter-Korean music culture centered on Arirang, and debate and discussions are used as educational methods. Second, in the class strategy, we look at the music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object and points to be considered for this class. The class stage is based on Deardorff's Pyramid Model of Intercultural Competence, which is divided into 'open mind', 'getting acquainted', 'applied', and 'communicating' and explains the discussion model of harvruta, moral dilemma, and group interview. Subsequently, the overall class model is presented. Third, among the various type of 'Arirang' North and South Korea, for selecting a suitable song for this class, the criteria were finally set for Gujo Arirang, Bonjo Arirang, Jindo Arirang, Onseong Arirang, Yeongcheon Arirang, Tongil Arirang(South), Tongil Arirang(North), Arirang Fantasy, SG Wannabe's Arirang, and Arirang Alone and we review comments on these music.
Chapter Ⅴ presents the teaching method of the inter-Korean Arirang class. First of all, the value of 'Arirang' as unification & peace education was divided into creativity, history, and culturality. Next,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division of Korea, the subject of the course was set to 'recover cultural homogeneity', 'overcome cultural heterogeneity', and 'toward a new unified community'. The teaching guide plan for each subject were presented. In the aspect of recovering cultural homogeneity, Arirang before the division(Gujo Arirang, Bonjo Arirang, Jindo Arirang) was used as pieces of music in a textbook to form consensus with each other. In the aspect of overcoming heterogeneity, Arirang(SG Wannabe's Arirang of South Korea, Onseong Arirang, Yeongcheon Arirang and Arirnag Fantasy of North Korea), which has developed in a different way since the division, was used as pieces of music in a textbook to cultivate the will to overcome heterogeneity. And in terms of oriented toward a new unification community, Arirang, which wishes for unification (Tongil Arirang of each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South Korea's Hollo Arirang) as a sanction song, enables us to move toward a new unification community.
This study finds significance in that it designed a class that linked unification & peace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discovered the value of Arirang's unification & peace education, and discovered music suitable for middle school classes. However, since Arirang was limited to class sanctions as unification & peace edu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the design of lessons that could convey Arirang's musical value and meaning.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educational materials and educational methods to prepare for unification in music education will be further develop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04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4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