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육성형 오디션 프로그램에 드러난 한국과 중국 간 경쟁문화 비교 : Comparing Competition Culture Revealed in Idol-Fostering Audition Programme : Focusing on Series of South Korea and China
한국과 중국의 <프로듀스101> 시리즈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인희

Advisor
홍석경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비교문화연구경쟁문화유교적 근대성동아시아 문화육성형 오디션 프로그램프로그램 포맷 지역화Comparative Cultural StudiesCompetition CultureConfucian ModernityEast Asian CultureIdol-Fostering Audition Programmeprogram format localiz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20. 8. 홍석경.
Abstract
은 한국 사회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온 시리즈이다. 그리고 그러한 관심은 프로그램 방영 당시 우리 사회 내 다양한 화제들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을 통해 결성된 아이돌 그룹의 신드롬적인 인기와 더불어 프로그램으로 인해 발생한 각종 논란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포함한다. 더욱 중요한 점은 이 프로그램 포맷이 중국으로 넘어가 성공적으로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이 한국과 중국에서 주목을 받은 이후 중국에서는 수많은 유사 프로그램들이 생겨난 바 있으며, 무엇보다 정식으로 프로그램 포맷을 구입하여 제작된 이른바 중국판이 제작된 바 있다. 또한 중국 사회에서도 이 프로그램들의 인기가 적지 않아, 이로 인해 파생되는 새로운 문화들을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프로그램 포맷을 교류하기 위해서는 지역화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민족, 언어, 역사, 젠더, 종교 등 다양한 문화적 코드들이 개입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 포맷의 교류 과정에서는 혼종적인 특성이 나타나며, 프로그램 포맷이 서로 다르게 제작, 수용된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각 사회 속 서로 다른 문화, 규범, 가치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와 중국의 시리즈를 비교함으로써 각 국의 서로 다른 경쟁 문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한국과 중국의 프로그램이 제시한 서로 다른 경쟁의 원칙을 비교해 보았으며, 이후 경쟁을 재현하는데 있어 보이는 차이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과 관련한 논란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각 사회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중국이 서로 다른 투표권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경쟁의 원칙을 제시한다는 점이 보여졌다. 한 사람에게 한 표의 투표권만을 부여하는 한국과는 다르게, 중국에서는 VIP 시스템을 구매함으로써 추가적인 투표권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중국 사회가 리얼리티 텔레비전을 통해서 처음으로 투표를 접했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투표 자체가 중국에서 보다 상업적인 의미를 지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경쟁의 원칙을 제시하는데 있어 한국과 중국은 서로 다른 성과주의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었다.
성과주의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서로 다른 이해는 경쟁의 재현에 있어서도 드러난다. 우선 한국은 보다 확실한 성과주의에 대한 강조를 위해 실력 위주로 경쟁을 재현한다. 따라서 실력이 없는 연습생이 성공할 경우, 그들에게는 성장이라는 서사가 부여되어 성공을 정당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실력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노력하며, 매력 역시 실력의 일부로 환원시켜 평가하고자 한다. 반면 중국에서는 실력에 너무 집중하기 보다는 연습생 개개인의 매력에 집중하는 것이 보여지는데, 그렇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개성을 보여줄 수 잇는 무대들이 마련되고, 개성을 보다 매력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 외에도 타이틀곡 뮤직비디오에서 한국은 피라미드형 무대를 통해 수직적인 상향식 경쟁을 보여주는 반면, 중국에서는 이를 보다 수평적으로 그려내는데, 이는 중국이 경쟁을 보다 순화하여 표현하고자 노력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중국에서 경쟁을 순화하여 표현하며 발생하는 실력 평가의 공백은 멘토들이 메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들이 한국과 중국의 정치 체제적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용의 차원에서 한국은 정서적 평등주의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수용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서적 평등주의는 집단적 도덕주의를 형성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문제가 제기된 연습생은 경쟁에서 중도하차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작사건을 정서적 평등주의가 정치적 힘으로 분출된 예로 보았다. 한국의 수용자들은 보다 정치화되어 적극적으로 항의를 개진하지만, 이러한 목소리들은 공정한 결과를 만들어내기 보다는 사람들의 정서가 반영된 결과를 만들어낸다.
반면 중국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해 각종 의혹과 추측들이 존재하지만 프로그램 제작측은 이에 대해 침묵하는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중국의 수용자들에게는 감수하고 시청을 이어가거나 프로그램에서 이탈할 선택지만이 남겨진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의 권위적인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보여준다. 더욱이 중국 당국이 여론의 감시와 검열을 강화하고 있는 만큼 여론화 사건을 주도할 사람들의 네트워크가 붕괴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국에서 사람들이 거대 방송사를 상대로 제대로 항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여 육성형 오디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정치적 힘을 거세한 채로 상업적인 의미만을 지닌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투표에 참여해 본 경험은 권위적이고 억압적인 태도를 보이는 정권에 변화를 촉구하는 움직임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같은 유교 문화권으로 포섭되었던 한국과 중국의 경쟁문화의 차이를 육성형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보여질 수 있는 중국 사회에서 투표가 지닌 의미에 대해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젠더의 차원을 간과하였다는 한계가 존재하며 또한 특정 세대의 가치를 중국 전체의 가치로 확대 해석 했을 수 있다는 위험을 지닌다. 그런 만큼 추후 연구에서 이러한 부분들에 보다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is a television series that has received continuous attention from South Korean society. Such interests include not only various topics it brought on Korean society at the time the program was aired, but also the syndromic popularity of idol group formed through the program, as well as social interest around various controversies arose from the program. More importantly, the program format seems to have drawn attention in China. Since received attention in Korea and China, numerous similar programs have been created in China, and above all, the so-called "Chinese version" produced by purchasing the program format formally has been made. Hence, the popularity of these programs in Chinese society is not ignorable. Localization process is essential when it comes to exchange program formats. In this process, various cultural codes such as ethnicity, language, history, gender, and religion are involved. Thus, in the process of exchange of program formats, cultural hybridity appears and by examining how the program was produced and accepted differently in two other society, it is possible to disclose different cultures, norms, values ​​in each societ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different competitive cultures of each country by comparing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 of series. To find this out, the study first compared the different principles of competition proposed by programs in Korea and China, and then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seen in representation competition. Lastly, the study tried to examine how programs were received differently by audiences of each society, focusing on the controversy related to the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 and China presented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based on different understanding of voting rights. Unlike Korea, where equal vote rights were given to every people, additional voting rights could be obtained in China by purchasing a VIP membership. This is because Chinese society first encountered the voting culture through reality television, and therefore the vote itself has more commercial meaning in China. In addition, Korea and China showed different understanding of meritocracy in presenting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Korea and China's different understanding of meritocracy is also revealed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competition. First of all, Korean version represented the competition based on its ability to emphasize the rigid meritocracy. Thus, if a trainee lack of ability and skills succeeds, the program gives them a narrative of growth to justify their success. Also, Korean version try to evaluate trainees skills more objectively, and also attempts to evaluate attractiveness, or charms as a part of skills. Whereas, in China, rather than focusing too much on skills and abilities, the program seems to focus more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rainees. Therefore, in China, stages are set up to provide trainees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own personality, and it is represented more attractively. In addition, in the title song music video, Korea shows vertical bottom-up competition through a pyramid stage, while China draws it more horizontally, indicating that China is trying to express the competition in a more smooth and soft way. Because the program tries to purify the competition, the gap in skill evaluation occurs in Chinese version, and mentors fill this gap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e study interpreted these differences as a result of the different political system and media environment between Korea and China.
Finally, in terms of audi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reception of Korean audiences is based on Affective Egalitarianism. In Korean context, this kind of Affective Egalitarianism forms a Collective Moralism, so the trainees who are morally challenged often are expelled from the competition. The manipulation case is seen as an example of the eruption of Affective Egalitarianism as a political force. While Korean audiences are more politicized and apt to protest employing the Voice model, it cannot be said the result always leads to fair result, since it reflects peoples sentiments and affections rather than the idea of fairness.
On the other hand, in China, there are various suspicions and speculations about the program, but the program producers remain silent about it. In this circumstances, the Chinese audiences are left with a choice to ignore the problem and continue to watch or to Exit the program. This phenomenon shows China's authoritative vertical communication structure. Moreover, as the Chinese authorities are strengthening the monitoring and censorship of public opinion, the network of people who leads the public opinion seems like collapsing, and it seems that it is difficult for people in China to properly protest against large media industries.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dol-fostering audition program has only commercial meaning without any political possibilities sinc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voting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into a movement urging change in an authoritative and oppressive regim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different competition culture between Korean and Chinese which were embraced by the same Confucian culture, through an idol-fostering audition program. Furthermore, it w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dealt with the meaning of voting in Chinese society, which can only be seen through reality programs.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enables imagining democratic possibilities in China achieved through Idol-fostering audition program. However, there also is a limitation that the study overlooked the dimension of gender, and there also is a risk that the value of a certain generation may have been overly interpreted as the value of China as a whole. In this context, the study suggests further research to pay more attention to these dimensio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15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0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