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념구조의 다차원성과 보수의 분화 : Multidimensional Structure and Differentiation among Conservative Voters: The 2020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South Korea
2020년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원호-
dc.contributor.author박정은-
dc.date.accessioned2020-10-13T03:36:00Z-
dc.date.available2020-10-13T03:36:0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231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1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317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정치학전공), 2020. 8. 박원호.-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2016년 총선 이후 네 차례의 전국 단위 선거에서 보수 정당이 패배한 원인이 보수 유권자 집단 내부의 이념적 분열에 있으며 그로 인한 보수 유권자의 분화가 단순한 이념성향의 차이뿐만 아니라 정책이슈에 대한 태도, 즉 정책 선호(policy preference)로 구성되는 이념구조의 차이에 근거한 현상임을 규명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2016년 총선 당시 새누리당을 지지하고 2020년 총선에서 그 후신인 미래통합당을 지지한 유권자들과 2016년 국민의당을 지지했던 유권자들은 이질적인 이념구조를 갖고 있었다. 전자를 기성 보수 유권자 집단, 후자를 분화된 보수 유권자 집단으로 정의한다면 기성 보수 유권자들의 정치이념은 일차원적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반면 분화된 보수 유권자들은 대북·안보 이슈의 차원과 경제적 이슈의 차원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이념구조를 갖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분화된 보수 유권자들은 서로 다른 정책이슈의 차원에서 상반되는 방향의 태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이들은 대북·통일 이슈에 있어서는 기성 보수 유권자 집단과 비슷하게 보수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으나 경제적 이슈에서는 그보다 훨씬 진보적인 위치에 있었다. 따라서 분화된 보수 유권자들은 경제는 진보, 안보는 보수라는 슬로건과 일치하는 정책 태도의 집합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유의미한 제3의 보수정당이 부재했던 2020년 총선의 상황에서 분화된 보수 유권자들이 투표 결정을 내려야 했다면 이들의 정치적 선택에 영향을 미친 정책이슈는 무엇인가?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유권자들이 이슈의 중요성(issue salience)을 기준으로 여러 개의 정책적 차원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차원에서 유권자 본인의 쟁점위치(issue position)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정당을 2020년 총선에서 대안으로서 선택했음을 보여준다. 즉 대북·안보 이슈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을 경우 분화된 유권자들은 비례대표 정당 투표에서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을 지지했으며 그와 반대로 경제적 이슈를 보다 중요하게 생각한 유권자들은 더불어민주당 또는 국민의당을 지지했다.
끝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북·안보 이슈 차원과 경제적 이슈 차원에서의 정책 태도가 일관성이 있을 때, 즉 이념구조가 일차원적일 때 유권자들은 더불어민주당 또는 국민의당보다 미래통합당을 지지할 확률이 높았다. 하지만 두 차원에서 정책 태도가 동일한 방향에 있지 않은 다차원적 이념구조를 갖고 있는 유권자들은 미래통합당을 지지할 확률이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을 지지할 확률보다 낮았다.
본 논문의 연구는 이러한 이념구조의 차이에 따른 보수 유권자의 분화가 정당과 유권자 간 연합 구도의 해체로 시작되는 재편성(realignment)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전에는 강한 결집력을 보였던 보수 유권자 집단 내부에서 분열이 가속화되는 원인은 결국 이념구조의 차원성에 있으며, 정치이념을 구성하는 정책적 차원의 개수에 따라 투표 선택이 달라진다는 사실은 보수 유권자의 분화라는 현상이 보다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정당체계의 변화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tiation among conservative voters and show that division of them was affected not only by difference in ideological propensity, but by ideological structure composed of policy preferences for various issues.
Results show that voters who supported Saenuri Party in 2016 Election and United Future Party in 2020 National Assembly Election have unidimensional structure, while supporters of Peoples Party in 2016 Election have multidimensional structure comprised of national security dimension and economic dimension. Thus conflicting issue attitudes are found in voter group whose political ideology has multidimensionality. Specifically their issue position on national security is similar to Saenuri Party-United Future Party supporters, whereas position on economy is more liberal. Depending on their salient issues, they vote different parties as alternatives of the third party which they have supported since 2016. When people think security issues are more important, they vote for United Future Party. On the other hand when people think economic issues are more important, they vote for Democratic Party or Peoples Party in the 2020 National Assembly Election.
This article finds that the number of dimension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arty choice in 2020. multidimensionality exerts strong influence on casting a ballot for Democratic Party or Peoples Party, not for United Future Party. It suggests that division of conservative voters based on difference in ideological structure could be starting point for realignmen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문제제기 1
제 2 절 연구 목적과 필요성 7
제 3 절 논문의 구성 9

제 2 장 선행 연구 검토 11
제 1 절 정치이념의 구조와 이슈 태도 11
제 2 절 이념과 정당 지지의 관계 16

제 3 장 연구방법 19
제 1 절 연구가설 19
제 2 절 분석 자료 및 대상 24
제 3 절 주요 변수 설정 25
1.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25
2. 변수의 조작화 25
제 4 절 분석 방법 및 통계 모형 29

제 4 장 경험적 분석 31
제 1 절 유권자들의 투표 이동 경로 31
제 2 절 보수 유권자들의 이념구조 36
제 3 절 다차원적 이념구조와 투표 선택 48

제 5 장 결론 57
제 1 절 분석결과 요약 57
제 2 절 연구의 함의 60

참고문헌 62
부록 68
Abstract 71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보수 유권자의 분열-
dc.subject다차원적 이념구조-
dc.subject이슈 태도-
dc.subject정책 선호-
dc.subject재편성-
dc.subject요인분석-
dc.subjectDifferentiation among Conservative Voters-
dc.subjectMultidimensional Structure-
dc.subjectIssue Attitude-
dc.subjectPolicy Preference-
dc.subjectRealignment-
dc.subjectFactor Analysis-
dc.subject.ddc320-
dc.title이념구조의 다차원성과 보수의 분화-
dc.title.alternativeMultidimensional Structure and Differentiation among Conservative Voters: The 2020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South Korea-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Jeong Eun-
dc.contributor.department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정치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title.subtitle2020년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2317-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231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