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아메카지룩의 특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mekaji-look in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재훈-
dc.contributor.author정아름-
dc.date.accessioned2020-10-13T03:38:05Z-
dc.date.available2020-10-13T03:38:0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18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2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180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0. 8. 전재훈.-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일본에서 유래한 워크웨어 중심의 패션 스타일인 아메카지룩이 국내 20∼30대의 젊은 세대에 의해 선호되고 있다는 점에 기반하여 한국인의 아메카지룩 선호 현상에 대해 다차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인이 인식하는 아메카지룩의 특성, 아메카지룩에 대한 정보 탐색, 구매, 착용, 커뮤니티 행동, 아메카지룩 선호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인식의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20∼30대의 아메카지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다. 둘째, 아메카지룩 관련 의복 행동에 대해 밝힌다. 셋째, 아메카지룩 선호 현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다차원적 측면에서 밝힌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심층 면접법을 병행한 질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아메카지룩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아메카지룩 선호 현상에 대한 실태 분석 및 영향을 미친 요인 등을 밝혀내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문제에 대한 실증적 탐구를 위해 아메카지룩을 선호하는 국내 20∼30대 1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한국인의 아메카지룩 선호 현상에 대한 고찰을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이 인식하는 아메카지룩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젊은 세대가 인식하는 아메카지룩의 특성은 자연을 연상시키는 어스 컬러, 넉넉하고 여유로운 실루엣, 남성성을 강조한 스타일, 레이어드를 중심으로 한 코디네이션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일본 아메카지룩과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인의 아메카지룩에 대한 의복 행동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아메카지룩에 대한 정보탐색 행동의 특성은 현실적인 인적 정보원 중시와 주변 인물의 관찰, 인스타그램을 통한 이미지 탐색의 편의성과 구매 효율성 선호, 부차적인 정보원으로서 활용되는 유튜브 시청으로 나타났다. 구매 행동 특성은 실루엣의 중시 및 제품 접촉 욕구에 의한 오프라인 구매, 다양성과 희소성을 갖춘 해외 제품의 온라인 구매, 가성비와 가격을 고려한 합리적 구매로 나타났다. 착용 행동 특성은 착용 시 편안함과 스타일 모두 추구, 다목적 의복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 연령과 기간에 구애받지 않는 지속적인 착용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 활동 특성으로서는 인터넷 카페를 통한 정보 교환 중심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 지인 중심으로 형성되는 소규모 오프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의 아메카지룩 선호 현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에 대해서는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특성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환경적 요인 중 사회․문화적 요인으로는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경험한 일본 대중문화, 온․오프라인 미디어를 통한 일본 패션에 대한 정보 습득, 지리적․제도적 환경을 바탕으로 한 일본 방문 경험, 일본에 대한 긍정적인 국가 이미지, 일본에 대한 양가감정에서 기인한 분리적 태도로 도출되었다. 인접 환경 요인으로는 소속집단 및 준거집단을 통한 직·간접적 접촉 요인이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 요인으로는 성의 구별을 추구하지 않는 태도, 신체에 대한 낮은 만족도, 타인과의 차별화를 위한 독특성 욕구, 유명상표 및 유행을 추구하지 않는 패션 성향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아메카지룩 선호 현상은 착용자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일본이라는 국가 및 문화와의 연관성을 지닌다는 점이 밝혀졌다. 해외 문화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긍정적인 감정은 그 국가의 패션에 대한 호감의 태도를 높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한편 이는 해당 국가의 정치적․역사적 이미지와는 별개로 형성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즉, 젊은 세대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일본의 패션과 일본 정부에 대한 반감의 태도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별개로 인식되고 있다. 이를 통해 오늘날 젊은 세대는 아메카지룩과 같이 해외에서 유래한 패션을 국적성을 초월한 하나의 문화로서 인식하며, 자신의 취향으로서 향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이 본 연구에서 아메카지룩에 대해 주목한 이유이며, 패션, 문화, 그리고 국가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 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일본에서 유래한 아메카지룩에 대해 구체적인 이론적 기반를 정립할 수 있었으며, 주요 소비계층으로 떠오른 국내 20∼30대 MZ세대의 아메카지룩 선호 현상에 대해 다차원적 측면에서의 고찰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이를 통해 해외 패션의 유입과 선호 현상에 연관된 전체적 흐름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으며, 본 연구가 패션에 영향을 미치는 다차원적 측면에 관한 후속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dc.description.abstractBased on the fact that amekaji-look, a workwear-oriented fashion style derived from Japan, is preferred by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ir 20s and 30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enomenon of Koreans' preference for amekaji-look in a multi-dimensional view. Specifically, w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amekaji-look perceived by Koreans, the characteristics of clothing behavior such as information exploration, purchasing, wearing, community, environmental and personal factors that affected amekaji-look preferences, and the changes in values resulting from these amekaji-look preferences.
The research topic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cognition of amekaji-look in their 20s and 30s in Korea are analyzed. Secondly, the clothing behavior related to amekaji-look is analyzed. Thirdly,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henomenon of amekaji-look preference are analyzed in multi-dimensional term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study that combines literature research and depth interview methods.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the theoretical foundation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amekaji-look, the actual condition of amekaji-look preference phenomenon and the factors that had influence on it. Next, the depth interview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on 15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preferred amekaji-look. The following is a comprehensive summary of consideration of the phenomenon of preference for amekaji-look in Korea.
Firstly,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amekaji-look recognized by Koreans, it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mekaji-look, perceived by the younger generation in Korea, were as earth color reminiscent of nature, loose-fitting silhouette, style emphasizing masculine image, and coordination focusing on layered-look.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clothing behavior on amekaji-look in Korea, it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exploration behavior on amekaji-look were Instagram-based exploration based on visual convenience and purchasing efficiency, watching YouTube as a secondary informant, preference realistic human informants and observing people. Purchasing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preference for offline purchases by need-for-touch desire, using of online purchases by convenience and product diversity, and rational purchase considering cost-effectiveness and price. Characteristics of wearing behavior were analyzed as versatility, simultaneously satisfying the look and comfort that could be worn in various situations, and the style in a wide range of age groups.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ctivities, online communities were found to be more active and focused on information exchange. In the case of offline communities, emotional bonds were valued, and some participants preferred offline communities. Thirdly,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henomenon of preference for amekaji-look in Korea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macro-environmental factors and micro-personal factor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nvironmental factors were considered by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Japanese popular culture,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Japanese fashion, experience of Japanese culture by visit, positive national image of Japan, ambivalence emotion toward Japan, direct and indirect contact through people around it. Personal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pursuit of genderless images, the desire for uniquenes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the body dissatisfaction and overcoming complexes about the body, and the fashion lifestyle of no pursuit brand names and trend.
Fourthly, the analysis of the change in values caused by the phenomenon of preference for amekaji-look showed that the change in personal values resulted in traditional gender images and the increase in self-positive consciousness, and the increase in preference for Japan country and Japanese fashion as a change in social and cultural valu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was considered that preference for amekaji-look in Korea was not only rela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wearer but also to the country and culture of Japan. Therefore,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was considered in a multi-dimensional vie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culture, which has not been so prominent b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various experiences and positive feelings about other cultures enhanced the attitude of the country's favoritism toward fashion, while also showing that it was formed separately from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images of the country concerned. In other words, Japan's fashion that the younger generation thought positively and its emotional attitude toward the government that thought negatively were perceived separately without affecting each other. Through theses, we can consider that today's younger generation recognizes fashion as a culture that transcends nationality and enjoys it as their own taste. This is the reason wh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amekaji-look, and may have great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fashion, culture and national association. This study was able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culture, and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as a basic source of follow-up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other cultur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배경 1
제 2 절 연구의 목적 및 의의 5

제 2 장 연구 방법 및 범위 7
제 1 절 연구 방법 7
제 2 절 연구 대상 10
제 3 절 자료 수집 및 분석 13

제 3 장 이론적 배경 18
제 1 절 아메카지룩 18
1. 아메카지룩의 개념 18
2. 아메카지룩의 발전 과정 20
3. 현대 아메카지룩의 양상 30
제 2 절 의복 행동 39
1. 정보탐색 행동 39
2. 의복 구매 행동 41
3. 의복 착용 행동 42
4. 커뮤니티 행동 44
제 3 절 의복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6
1. 사회․문화적 환경 요인 48
2. 인접 환경 요인 61
3. 개인적 특성 요인 63

제 4 장 한국 아메카지룩의 특성에 대한 고찰 71
제 1 절 한국인이 인식하는 아메카지룩 71
1. 자연을 연상시키는 어스 컬러 71
2. 넉넉하고 여유로운 실루엣 73
3. 남성성을 강조한 스타일 74
4. 레이어드를 중심으로 한 코디네이션 76
5. 일본 아메카지룩과의 차이점 78
제 2 절 아메카지룩에 대한 의복 행동 84
1. 정보탐색 행동 특성 84
2. 구매 행동 특성 91
3. 착용 행동 특성 96
4. 커뮤니티 행동 특성 103
5. 종합적 논의 106
제 3 절 아메카지룩 선호에 영향을 미친 요인 111
1. 사회․문화적 환경 요인의 영향 111
2. 인접 환경 요인의 영향 123
3. 개인적 특성 요인의 영향 124
4. 종합적 논의 135

제 5 장 결 론 140

참고문헌 145

Abstract 165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메카지룩-
dc.subject일본 패션-
dc.subject일본 대중문화-
dc.subject의복 특성-
dc.subject의복 행동-
dc.subjectAmekaji-look-
dc.subjectJapanese Fashion-
dc.subjectJapanese Popular Culture-
dc.subjectFashion Characteristic-
dc.subjectFashion Behavio-
dc.subject.ddc646-
dc.title한국 아메카지룩의 특성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mekaji-look in Korea-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18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18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