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 패션에 나타난 대량 예술의 특성 : Characteristics of Mass Art in Contemporary Fash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수진

Advisor
하지수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현대 패션대량 예술노엘 캐롤수동적 시·청감각성미적 정신분산성Contemporary FashionMass ArtNoel CarrollPassive spectatorshipDispers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0. 8. 하지수.
Abstract
오늘날 패션의 예술로서의 지위 혹은 패션과 예술의 관계와 관련하여 다양한 관점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논쟁의 주된 원인으로는 패션이 갖고 있는 대량 생산이나 사이즈를 표준화 하는 특성, 기술적 측면, 유행과 깊이 관여하는 속성 등이 있다. 그러나 현대의 예술이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점차 과거와 다른 속성을 지니게 되며 예술과 패션을 구분하는 경계가 모호해졌다. 따라서 예술로서의 패션을 논함에 있어 예술에 대한 전통적 관점을 벗어나 현대 사회의 변화된 다양한 예술의 속성을 바탕으로 재논의하여, 예술과 패션의 관계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현대 패션에 대한 연구는 시각적인 미적 추구에 최대 가치가 부여되며 주로 조형성, 내적 의미, 미적 특성에 집중되어 그 가치가 고찰되어져 왔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벗어나 시대의 변화를 고려하는 확장된 시각을 바탕으로 과거에는 예술로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했던 일상성, 상업성, 경제성, 실용성, 기능성, 복제성 등의 패션의 특수성을 이제는 긍정적인 특성으로 수용하여 예술과 패션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부 현대 예술을 대량 예술(mass art)로 정의한 노엘 캐롤(Noel Carroll)의 관점을 적용하여 현대 예술로서 현대 패션을 구성하는 요소를 밝혀, 필요조건인 현대 패션 내에 충분조건으로서 대량 예술적 특성을 자리매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량 예술 개념은 근대 예술의 순수성 개념을 벗어나 현대 예술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중에서 사회문화적 맥락을 적절히 고려한 현대 예술 개념으로, 오늘날 대중 매체 시대에 등장하는 새로운 예술 장르들을 설명하기 위한 기초로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과거에는 소비재로 취급하며 패션을 비(非)예술로 인식하게 했던 패션의 고유한 속성들이 현대 예술의 하위 개념인 대량 예술에서는 어떻게 재논의 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현대 패션 개념을 대량 예술의 관점에서 재정립하고, 둘째, 대량 예술 관점으로 부터 반(反) 대량 예술적 현대 패션의 특성을 정의 내리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국내외의 예술사, 미학, 패션 관련 전문서적 등의 문헌을 통해 예술의 변화 흐름에 따른 패션의 위치를 고찰하고 대량 예술과 현대 패션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대량 예술로서 현대 패션에 부합하는 사례 24개를 선정하여 각각의 대량 예술의 특성이 구체적으로 현대 패션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사례는 패션 디자이너 혹은 브랜드의 패션에 대한 견해 및 태도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공식 홈페이지와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공식 SNS를 통해 일차적으로 수집되었다. 더불어 자세한 이미지 및 디자이너의 인터뷰 등 추가적인 정보 수집을 위해 온라인 매거진 웹사이트를 이용했으며 이 때 디자이너의 인터뷰가 직접 인용된 부분을 위주로 디자이너 및 브랜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대량 예술과 차별되는 현대 패션의 반(反) 대량 예술적 특성을 다양한 미학 이론 및 사회 이론 등의 문헌을 통해 함께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이 예술로 부터 배척되어 온 것은 과거부터 패션이 공예의 일부로 여겨지며, 공예와 마찬가지로 예술에 비해 열등한 노동의 영역으로서 치부되었기 때문이다. 공예는 예술과의 관계에 있어 동등하지 못한 취급을 받아왔다. 이는 예술과 공예를 이원화 하려는 아리스토텔레스 주의 기반의 보수주의와 분리주의 관점으로 나타났다. 보수주의 입장은 예술과 공예를 독립적 수직관계로 규정하려 하였으며, 분리주의는 독립적 수평관계로서 구분하고자 했다. 반면에 예술과 공예를 일원화하여 규정하려는 시도 역시 존재했다. 이는 공예를 예술화 하려는 공예 상위개념의 친(親)예술파와 예술을 제거해 공예로서 예술과 공예를 통합하려는 친(親)공예파가 있다. 이 외에도 예술과 공예 중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예술과 공예 개념의 구분 자체를 초월하여 예술과 공예를 동등하고 연속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초월주의 입장 역시 존재했다.
하지만 예술로서 공예를 부정하는 입장이 주류를 이뤄왔으며 이는 18세기 순수미학관을 거치며 더욱 고착화되었다. 그러나 점차 예술이 외연적인 확장을 거치며 예술 개념 자체에 대한 규정 역시 변화했다. 따라서 예술을 위한 예술 바탕의 본질주의적 사고를 주장하는 순수 예술 미학관은 새로운 시대의 예술에 걸맞는 의미를 갖지 못하는 낡은 개념이 되었다. 즉 과거 예술과 패션을 포함하는 과거 공예 사이를 구분하던 속성들이 현대 예술, 현대 공예, 현대 패션이 모두 공통으로 공유하는 속성으로서 한 데 수렴되었다. 기존의 예술과 패션을 구분하는 기준이었던 요인들이 현대 예술의 속성으로 편입되며 더 이상 패션이 비예술로 취급될 이유가 사라진 것이다. 이에 따라 현대 예술 및 현대 패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었다.
둘째, 변화된 현대 예술을 바탕으로 현대 패션을 재정립하기 위해 현대 예술 이론 중 캐롤이 제시한 대량 예술 이론을 검토하였다. 캐롤은 단 하나의 절대적 예술의 본질은 없다는 입장을 바탕으로, 전통 미학으로는 더 이상 설명하기 어려운 현대 예술을 사회 맥락적 부분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해 규정하고자 가치중립적인 시각을 바탕으로 대량 예술 이론을 제시했다.
캐롤에 따르면 대량 예술은 대중 예술(popular art)과 달리 과거의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았으며 인간의 역사를 통틀어 오직 근대 산업화된 사회의 맥락에서만 발생하고 존재한다. 이를 규정하기 위해 캐롤은 일단 필수 요소로서 예술일 것을 전제하며 대량 예술이 되기 위한 조건을 제시했다. 조건은 총 세 가지로 복제성, 대량성과 대중성, 접근 용이성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대량 예술의 조건 외적으로 캐롤이 제시한 대량 예술이 공통적으로 갖는 특성으로는 수동적 시·청감각성과 미적 정신분산성이 나타났다.
셋째, 캐롤이 제시한 대량 예술의 조건을 현대 패션에 그대로 대입하여 적용하였다. 일단 그가 주장하는 예술은 예술 작품, 예술가, 주제, 수사적 생략을 통한 예술가의 태도 및 견해, 관람자들의 참여라는 항목을 모두 포함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예술의 다섯 가지 항목은 대부분의 현대 패션에서 그대로 패션 작품, 패션 디자이너, 컬렉션의 컨셉, 컬렉션 표현 스타일, 소비자들의 착용으로 대응 관계를 갖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대량 예술의 예술이라는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패션 하우스 및 SPA 패션 브랜드는 디자이너가 자유롭게 자발적 예술 의지를 통한 패션을 나타내기 보다 브랜드 고유의 자산과 고유성, 정체성이 우선시 되므로 대량 예술에서 제외되었다.
예술이기 위한 다섯 가지 항목을 통해 예술로 식별된 후 대량 예술의 첫 번째 복제성 조건을 따져본 결과, 커스터마이제이션 패션인 맞춤 제작 패션이 포함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다수의 유형도 갖고 있지 않으며 디자이너의 자발적 예술 의지와 별개로 소비자 개개인의 요구 역시 적용된다는 특성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 대량성과 대중성 조건에 따라 비스포크 패션 및 MTM과 같은 커스터마이제이션 패션이 대량 예술로서 현대 패션에 포함되지 못한다는 것을 재확인 하였다. 더불어 일부 소비자 집단을 대상으로 생산되는 고급 주문복인 오뜨 꾸뛰르와 수량, 시간, 장소 등을 한정하여 제작과 판매가 이루어지는 리미티드 에디션 패션 역시 대량 예술에서 제외되었다. 세 번째 조건으로서 접근 용이성을 통해 주로 고도로 개념적인 표현 형식을 사용하여 의미를 나타내는 예술 의상이 대량 예술에 부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량 예술의 세 가지 조건에 따라 현대 패션의 다양한 유형 중에서 패션 하우스 브랜드, SPA 패션 브랜드, 커스터마이제이션 패션, 오뜨 꾸뛰르, 리미티드 에디션 패션, 예술 의상은 반(反) 대량 예술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량 예술적 현대 패션이란 1960년대 이후의 가속화된 패션의 산업화 속에서 브랜드의 설립자가 곧 해당 브랜드의 현재 메인 디자이너로서 다수를 위해 디자이너 개인의 예술 의지를 자발적으로 표현한 패션이라고 정리할 수 있었다.
넷째, 현대 패션 중 대량 예술로서의 현대 패션 유형에 부합하는 대표적인 사례로서 영국 거점의 패션 이스트(Fashion East) 선정 디자이너 브랜드 24개를 선정해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예술의 조건 중, 가장 선행 되어야 하는 주제에 해당하는 패션의 컨셉을 기준으로 총 6가지의 컨셉 유형이 도출되었다. 사회 문제가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이 외에도 개인의 고민 및 고뇌, 국가 전통 및 문화, 개인 가족사, 개인 취향 추구, 타 예술 작품 재해석이 컨셉 유형으로 드러났다.
이를 바탕으로 대량 예술 조건 외적 특성인 수동적 시·청감각성과 미적 정신분산성 역시 대량 예술인 현대 패션에서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기존 대량 예술과 마찬가지로 수동적 시·청감각성은 대량 예술에 해당하는 현대 패션의 구조 및 형식의 측면에서 드러나고 있었으며, 미적 정신분산성은 내용의 측면에서 드러났다. 특히 미적 정신분산성은 패션이 3차원을 근간으로 하며, 시·청각 뿐만 아니라 후각, 촉각 등 더 다양한 인간 감각에 호소하기 때문에 기존 대량 예술보다 더 심화되어 나타났다.
다섯째, 현대 패션의 일부를 대량 예술로 규정함에 있어서 현대 패션은 캐롤의 대표적인 대량 예술 예시들과 마찬가지로 대량 예술로 식별된 특성을 모두 지님과 동시에 기존 대량 예술의 예시와 대비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총 네 가지로 능동적 촉감각성, 일정한 주기성, 성별 구분, 전인류적 영향력으로 도출되었다.
능동적 촉감각성은 표현의 매개로서 반드시 인간의 몸을 채택하며 촉각까지 동원한다는 것에 따라 도출된 특성이며, 일정한 주기성이라는 것은 현대 패션 시스템에 의해 소비자에게 일정한 간격으로 트렌드를 선보인다는 것을 원인으로 한다. 또한 현대 패션의 성별을 구분하려는 특성은 패션이 기존 대량 예술과 달리 고안 및 생산의 단계에서 부터 성별을 구분하며, 소비자에게 보여질 때에도 남성과 여성을 나누어 특정 성별에게만 호소하려는 목적을 가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현대 사회에서는 벗은 상태(uncovered)라도 naked가 아닌 눈에 보이지 않는 의미라는 옷을 입은 nude의 상태라는 것을 바탕으로 전인류적 영향력이 도출되었다.
현대 패션은 현대 예술과 마찬가지로 감상자에게 미적 경험을 제공하며, 두 개념이 동등하게 위치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예술가와 마찬가지로 패션 디자이너는 그들의 패션 작품에 다양한 문제에 대한 본인만의 철학 및 관점 등의 의미를 담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패션을 단순히 옷으로만 취급할 것이 아니라 예술을 분석 및 비평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패션에 대해 체계적인 해석과 비평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또한 현대 패션은 다양한 특성이 결합된 복합적인 개념으로 보여졌다. 따라서 현대 패션을 예술로 다루는 것에 있어 다양한 유형들을 구분해 각각의 속성을 분석하려는 다각도의 시도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패션에 대한 제한적인 기존의 관점을 극복하며 패션의 다양한 예술적 해석 가능성을 확보하고 적용 범위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예술로서 패션에 대한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이론의 근거로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데 학문적 의의를 함께 지닌다.
The status of fashion as art, or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art, has seen considerable discussion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 core cause can be found in the quality of mass-produced fashion, its tendency of standardizing sizes and technical aspects, and its deep connection with trends. However, as contemporary art began to take on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what was considered as art in the past, the boundary between fashion and art began to blur. As such, when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art, it must include the changes that took conventional perspectives and incorporated them into their modern characteristics. However, studies on contemporary fashion have focused extensively on its form, meaning, and appearance due to the overwhelming value given to the pursuit of visual aesthetics. Stepping away from this perspective, considering extensive changes, and accepting unrecognized characteristics such as everydayness, commerciality, function, practicality, and replicability, is necessary.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s the perspective established by Noel Carroll, who defined certain contemporary fashion as mass ar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at define contemporary fashion as contemporary art and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mass art as a sufficient condition in contemporary fashion. Carrolls conceptualization takes the perspective away from the purity of modern art to one that accounts for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world, using it to explain emergent genres in todays media. This approach examines how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ashion, which is recognized as something more than art, can be reexamined in the context of mass art as a sub-section of contemporary art.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examine the concepts of contemporary fashion from the perspective of mass art and to define the uniqueness of contemporary fashion under this perspective.
This study combines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An examination of literature about Korean and international art history, aesthetics, and fashion established the basis for the examination of fashions place in art trends a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ass art and contemporary fashion. Through the review, the study selected 24 cases about contemporary fashion as mass art and empirically examined the ways their characteristics fit into contemporary fashion. The cases were primarily collected through official homepage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s) such as Twitter, Facebook, and Instagram, which were used to directly examine the perspectives and attitudes of fashion designers and brands. Information was also collected through online magazine websites, including images and interviews, which included quotes from the designers.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uniqueness of contemporary fashion through aesthetic and social the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clusion of fashion from art comes from the belief that fashion is part of craft, which is considered an inferior form of labor compared to art. The values placed on craft and art have always been unequal, which stems from Aristotelian-based conservatism and separatism that dualizes the two. A conservative perspective defines art and craft through an independent, vertical relationship, while a separatist perspective sees the two as an independent, horizontal relationship. Conversely, other groups attempted to unify art and craft. There are pro-art groups who elevate craft to art, while there are pro-craft groups who integrate art and craft. There are also transcendentalist perspectives that attempt to overcome the distinction by defining art and craft as equal and continuous.
Nevertheless, the mainstream perspective that rejects craft as art has been entrenched in the idea of pure art in the 18th century but as the domain of art began to expand outward, the concept of art began to change as well. Thus, the perspective of pure art, which advocates for a fundamentalist view of art as art, has become an outdated concept that no longer holds any meaning. Characteristics that once distinguished the different fields of craft in the past are now shared between contemporary art, contemporary craft, and contemporary fashion. Given how the characteristics that once separated fashion from art are now subsumed under the domain of contemporary art, fashion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domain of art. This idea serves as the background for the ongoing efforts to establish new perspectives on contemporary art and fashion.
Carrolls theory of mass art re-orients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fashion by considering a flexible perspective that accepts the various changes in perspectives created by contemporary art. Starting from the claim that no single and absolute quality defines art, Carrolls theory was proposed from a value-neutral perspective that defined contemporary art by considering its social contexts.
According to Carroll, mass art has never existed in any form throughout human history outside a modern and industrialized society, a quality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popular art. The realization of mass production and mass communication systems in the 20th century allowed various forms of mass art to emerge. For Carroll, the definition of mass art, insofar as it is considered art, has four conditions: replicability, mass production, popular distribution, and accessibility. Two other characteristics of mass art under Carrolls definition share are passive spectatorship and dispersion.
These conditions were applied to contemporary art; under Carrolls definition, art must have the elements of the artwork, artist, theme, artist attitude, and perspective through rhetorical omission and spectator participation. These five items are tied directly to the item, the designer, the collections concept, the collections expression, and the consumers, which fit the fundamental and primary condition of mass art, namely that it must be a work of art. However, fashion houses and Special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SPA) brands prioritize brand asset, uniqueness, and identity over the designers artistic expression, and were excluded from the categorization of mass art.
After considering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art, the examination of replicability revealed that customized fashion cannot be considered as mass art because of the lack of multiple replications and the involvement of both the artists artistic expression and the customers demand. Under the second condition of mass production and popular distribution, bespoke tailoring and customized fashion, such as made-to-measure items, are excluded from mass art. This also excludes haute couture and limited-edition fashion because limitations like time and location are imposed upon the customer base. The accessibility condition rules out items that involve overly conceptual designs from mass art.
After considering the three conditions of mass art, fashion houses, SPA brands, customized fashion, haute couture, limited-edition, and conceptual fashion were confirmed to be anti-mass art. Thus, contemporary fashion as mass art is deemed as fashion created for the public and driven by the artistic expression of the brands founder and main designer, a description based on the context of accelerated industrialization of fashion starting from the 1960s.
A total of 24 designer brands were selected by the British project Fashion East as major cases for empirical analysis. This allowed the study to derive six concept types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art subjects, namely social problems, individual concerns and thoughts, national traditions and culture, individual family history, the pursuit of individual taste, and the reinterpretation of other works of art.
This analysis also confirmed the outward characteristics of mass art, namely passive spectatorship and dispersion, in contemporary fashion. Like other works of mass art, passive spectatorship manifested in the structures and forms of contemporary fashion that correspond to mass art, while dispersion manifested in the content. In particular, contemporary fashion displayed higher levels of dispersion because fashion is fundamentally a 3D endeavor that appeals to the five senses.
When considering the aspects of contemporary fashion that can be defined as mass art, contemporary fashion has, like other examples cited by Carroll, all the characteristics that identify it as mass art while simultaneously possessing some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other genres. Four such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namely active tactile sense, regular period, gender distinction, and pan-human influence.
The active tactile sense was derived because fashion uses the human body while the tactile sense is a medium of expression. The regular period refers to the periodic trends maintained by the contemporary fashion system, and gender distinction can be seen when fashion items are designed and produced to appeal to different genders when presented to the consumer. Meanwhile, pan-human influence can be seen in the description of the uncovered human body in contemporary society, which involves the term nude as an idea of wearing unseen clothing rather than being naked.
Like contemporary art, contemporary fashion offered artistic experiences to spectators, and the two concepts were capable of being placed on an equal level. In particular, fashion designers endeavored to capture their perspectives and philosophies through their works of fashion, just like artists. This study concludes that fashion should not simply be considered as clothing, but should be systematically interpreted and critiqued like art. Contemporary fashion was also found to be a complex concept that combines various characteristics. As such, there is a need to distinguish and analyze these characteristics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perspectives toward fashion and the expansion of fashions potential and applicability of artistic interpretation. Furthermore, the study also provide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through the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basis of fashion as ar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24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71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