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거울자아이론에 근거한 패션 인플루언서의 포스팅 연구 : A study on posting of fashion influencer based on Looking-glass self theo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혜인

Advisor
전재훈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거울자아이론인스타그램팔로워 반응패션 인플루언서패션 포스팅Looking-glass self theoryInstagramfollower reactionfashion influencerfashion posti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0. 8. 전재훈.
Abstract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패션으로 영향력을 가지는 패션 인플루언서의 포스팅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미지 공유를 기반으로 한 인스타그램에서 패션 인플루언서는 좋아요와 댓글 기능 등을 통해 이미지에 대한 타인의 즉각적인 반응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 인플루언서의 패션 포스팅 활동을 거울자아이론의 3단계에 입각하여 분석함으로써 타인의 평가와 그로부터 변화된 행위나 심리적 경험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포스팅 활동을 분석한다. 둘째, 포스팅 활동에 따른 패션 인플루언서의 행위 변화 및 심리적 경험을 밝힌다. 셋째, 거울자아이론을 바탕으로 패션 인플루언서의 포스팅 활동을 해석한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로는 인스타그램과 패션 인플루언서에 대한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보고 거울자아이론에 대해 고찰하였다. 질적 연구로는 심층 면접법을 활용하였으며, 참여 대상자로는 1,000명 이상 100만명 이하의 팔로워를 보유한 국내 남녀 패션 인플루언서 15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스타그램을 통한 타인의 반응이 패션 인플루언서의 포스팅 활동과 행위 및 심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인플루언서의 포스팅 사전 활동은 포스팅 하기 이전이자 반응을 얻기 전 활동을 말하며, 사진 촬영 및 선정, 패션 제품 구매 및 스타일링, 패션 피드 관리, 그리고 외모 및 신체 관리가 포함되었다. 패션 인플루언서는 포스팅 하기 이전에 팔로워들의 평가에 대해 상상하고 긍정적 반응 유도를 위해 앞서 언급한 활동들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포스팅 이후 팔로워의 반응에 따른 행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패션 인플루언서는 팔로워의 반응이 긍정적일 경우 포스팅한 패션 스타일이 자신에게 어울리는 스타일인 것을 인지하고 패션 스타일을 구축하거나 확장하였다. 반면, 반응이 부정적일 경우 포스팅한 패션 스타일 유형은 기피하거나 해당 패션 제품을 평소에 착용하되, 사진 촬영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반응을 긍정적인 반응으로 유도하고자 이후 패션 포스팅을 위한 패션 스타일링에 있어 이전과 다른 새로운 패션 스타일을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포스팅 이후 반응에 따른 심리적 경험에 대해 분석하였다. 긍정적 심리로는 두 가지로, 패션 인플루언서는 다수에게 자신의 패션 스타일이 인정받은 것에 대해 자신감과 자존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유명세를 얻고 실질적 수익을 얻는 것에 대한 만족감을 가졌다. 반면, 부정적 심리로는 타인의 반응에 의해 구축된 자신의 패션 스타일과 이미지에 대한 거부감과 괴리감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팔로워가 기대하는 자신에 대한 이상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충족시키고자 행동하는 자신의 모습에 대해 허무감을 느끼고 이내 활동을 중단하기도 하여 탈진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패션 인플루언서 유형별로 반응에 따른 행위 변화의 차이를 살펴보고, 팔로워를 많이 보유한 패션 인플루언서일수록 반응에 대한 행위 변화의 정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인스타그램은 패션 인플루언서가 타인의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패션에 있어 자신만의 개성이 있는 사람들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임에도, 사실상 패션 인플루언서는 개인의 개성 또는 주관적 판단에 의해 스스로의 패션을 설정 및 정립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평가 즉, 수치상으로 표현되는 일부의 평가를 통해서 패션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관계가 개인의 자아와 행위, 그리고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패션으로 소통하는 개인이 자신의 패션 정체성을 구축함에 있어 가져야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ting activities of fashion influencers that are actively posting on Instagram. Instagram is based on sharing enticing images, fashion influencers can notice reaction from followers of their images through 'likes' or comme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uncover the behaviors or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fashion influencers, that have changed since the evaluation of others based on the three stages of Looking-glass self theor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fashion posting activities. Second, to research the behavioral changes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fashion influencers according to the posting activities. Third, to interpret the fashion influencers posting activities based on the theory.
This study combines literature and qualitative studies. First, as a literature stud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nstagram and fashion influencer were examined, and studied Looking-glass self theory. Next, an in-depth interview method was used as a qualitative study. Participants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15 fashion influencers who had followers of 1,000 to 1 million. Based on this, examining how the reaction of others can affect the fashion influencers posting activities, behaviors, and psychology experiences.
First, the pre-posting activities of the fashion influencers refers to the activities before obtaining responses of followers. The pre-posting activities shown as photo shooting and selection, fashion product purchase and styling, fashion feed management, and appearance management. Fashion influencers imagined the followers' evaluations before posting their pictures and do pre-posting activities to induce positive responses.
Second, analyzed changed behaviors of fashion influencers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followers after posting. When they got positive reactions, fashion influencers recognized that the posted fashion style should be suited them well, and expanded their fashion styles. On the other hand, if the reaction of the followers were negative,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fashion style that was previously posted was avoidedm. Also, even though they wore fashion product, they did not post that kind of fashion product. In addition, in order to induce negative reactions into positive reactions, it was shown that a new fashion style was presented in the fashion styling for fashion posting afterwards.
Third, psychological experiences according to reactions were analyzed after posting. There are two positive psychological aspects, and fashion influencers have increased confidence and self-esteem for their fashion styles being recognized by others. In addi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gaining a fame or profits. On the other hand, as a negative psychology, they felt a sense of rejec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their fashion styles and images, which were constructed by the reaction of others. They also felt exhausted about their acting in order to trying continuously satisfy the ideal image of their followers' expectations, and soon ceased their posting activities to reveal exhaustion.
Based on the results, looking into the differences in behavioral changes according to the reaction by each type of fashion influencer, and found that the more fashion influencers with more followers, the lower the degree of behavioral change in response. Based on this, it was found that Instagram is a space where fashion influencers percept themselves with the eyes of others. Although it is a common belief that these are people who have their own personality in fashion, in fact, fashion influencers do not set and establish their own fashion based on individual personality or subjective judgment. They established their fashion concepts from lkes or comment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the direction that an individual who communicates in fashion should have in establishing his or her fashion identity by looking at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on social media through an individual's self, behavior, and psycholog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25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3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