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거니즘 의생활에 대한 태도와 실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지운

Advisor
전재훈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비거니즘의생활비건실천 동기비건 패션VeganismClothingVeganMotivationVegan fash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0. 8. 전재훈.
Abstract
본 연구는 비거니즘 의생활에서의 실천 양상을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비건들의 비거니즘 실천에 대한 태도와 동기를 밝히고자 하였다. 현재 패션 분야에서 비거니즘에 관한 논의는 지속가능 패션의 성장과 함께 다양한 영역에서 노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생활 영역과 패션 시장에서 비거니즘을 전파하고 확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거니즘 의생활에 대해 비건들은 어떤 태도와 실천 동기를 가지고 있는지 밝힌다. 둘째, 의생활에서 비거니즘은 어떻게 실천되는지 밝힌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의 선택이 연구의 진행과 결과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어, 참여자를 선택하기 위해 양적인 접근과 질적인 접근을 함께 활용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했다. 먼저 양적 연구 단계에서 비거니즘 의생활을 1년 이상 실천한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비거니즘 의생활에 대한 태도와 실천 동기를 확인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로 얻어진 양적 자료는 질적 연구 수행을 위한 참여자의 선정에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 단계에서는 심층 면접을 통해 구입 및 착용, 손질 및 세탁, 처분 및 폐기의 단계로 구분한 의생활에서 비거니즘이 실천되는 양상을 파악하고 실천 동기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비건들의 태도와, 비거니즘 실천 동기, 그리고 비거니즘 의생활 실천 양상에 대한 실증적 고찰을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건들이 본인의 의생활에 대해 취하는 태도는 윤리적인 삶 추구, 동물보호적인 삶 추구, 친환경적인 삶 추구, 건강한 삶 추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의 비거니즘 실천 기간이 길수록 다른 영역보다 윤리적인 삶의 추구가 크게 작용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는 비거니즘을 시작한 계기가 윤리적 이유가 아닌 동물보호적, 친환경적, 건강적 계기이더라도 비거니즘을 실천할수록 윤리의 추구가 더 주요로 작용하는 동기가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비거니즘이 단순히 식습관이 아닌 윤리적인 삶의 철학이라고 해석한 선행 연구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 또한, 비건들이 주로 가지는 태도의 감정적인 작용에 있어, 비거니즘 실천을 오래 지속한 이들일수록 본인의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거니즘 실천 동기에 있어서는 동물보호적 실천 동기, 건강적 실천 동기, 친환경적 실천 동기가 드러났으며, 각 동기들은 윤리적 동기가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비건들은 의생활의 구입 및 착용, 손질 및 세탁, 처분 및 폐기의 단계에서 비거니즘을 실천하고 있었다. 먼저 구입 단계에 있어, 비거니즘 실천 이후 의류 구입의 빈도수와 총량이 줄어들었음이 나타났다. 비건들은 주로 의복의 구입에 있어 소재와 윤리적인 생산과정을 고려하고 있었으며, 중고 동물성 의류 제품의 구입에 있어 상반되는 의견이 나타났다. 착용 행동에 있어, 비건들은 본인의 의복 착용이 올바른 비거니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지 의식적으로 행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의 손질에 있어, 비건들은 비거니즘 실천 이후 더욱 의복을 아끼고 손질에 신경 쓰게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동물성 의복의 처리 이후 의복의 손질이 편리해짐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세탁에 있어 비건들은 비건 세제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세탁제 제품의 성분과 제조과정에서 동물과 환경적 가치를 고려하고 있었다. 또한, 적극적으로 유기농 제품, 식물성 계면활성제와 세제 대체재를 사용하고 있었다. 의복의 처분에 있어, 비건들은 의복을 기부, 나눔, 중고거래 등 재활용하고 있었으며 마지막 수단으로 폐기하고 있었다. 이는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폐기물을 줄이려는 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 폐기에 있어서는, 비거니즘 실천 이전부터 가지고 있었던 동물성 의류제품의 폐기 여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일부는 죄책감과 불쾌감으로 동물성 제품을 폐기한 것으로 드러났지만, 의류 폐기물에 대한 염려로 보관하고 있거나 여전히 착용하는 이들도 있었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수많은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떠오르는 비거니즘을 단편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닌, 비건들의 의생활 실천 양상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이에 대한 태도와 실천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별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비거니즘 실천을 의생활의 영역에서 살핌으로써 비건의 구체적인 생활양식과 동기를 알리고, 비건의 실천 양상을 토대로 비건 패션 시장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actices of veganism in fashion and clothing, and to reveal the motivation for practicing veganism. This topic is becoming more relevant as the focus for sustainable fashion is growing in the current climate. As such, this research intended to provide reliable data that could help spread the vegan message to the fashion market.
Th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pproaches and motivations for practicing veganism in clothing are distinguished. Second, the specific practices of veganism in fashion and clothing are examined. This research used a mixed methods study that utiliz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o select participants, as the selection of study participants is expecte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rogress and results of the study. First,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practiced veganism for more than one year were recruited at the quantitative research pha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ir motivations and approaches towards veganism, and the data were used to select participant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Next, in the qualitative research phas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identify the patterns and motivations for practicing veganism in clothing,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purchasing and wearing, caring and washing, as well as disposing and discarding. The following i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research findings.
First, vegan's major motiva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ir veganism practices were shown in the order of pursuing ethical life, pursuing protection of animals, pursing eco-friendly life, and pursuing healthy life. This result is in line with prior studies that revealed that values are established and finalized through continuous practices. In addition, the longer the respondents' period of practice, the greater the morality influenced their motiv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ethical motivation playing a more major role as veganism practice continues, even if the initial motives for starting veganism was for animals, health and environmental cause. Also, in terms of emotional motivation, the emotional satisfaction about their life gradually increased with time.
Second, vegans were practicing veganism at all stages of purchasing and wearing, caring and washing, disposing and discarding of clothes. In the purchasing stage, it was shown that the frequency and total of clothing purchases have decreased since the practice of veganism. Vegans were mainly concerned with materials of the clothes and ethical process of the production. Furthermore, conflicting opinions emerged about purchasing second hand animal clothing products. In the wearing stage, vegans were also very conscious about the vegan message their clothes could convey. In caring of clothes, it was revealed the way vegans take care of their clothes have changed since going vegan. They started to take better care of their clothes after going vegan, and at the same time, they felt that taking care of clothes was more convenient with vegan clothes. In washing clothes, vegans were using vegan detergents. Vegans were deeply concerned with the effects on animals and the environment that comes from using detergent. As such, for laundry products, they actively used organic products, vegetable-based surfactants, and natural alternatives. At the stage of disposing clothes, vegans usually recycled clothes instead of simply discarding them, they mostly donated, did giveaways, and sold second hand. All of these methods were to reduce clothing waste. On discarding clothes, the main focus was on disposal methods and disposing animal derived clothes. Opinions were divided on whether or not to dispose animal-derived clothes they already owned previous to going vegan. Some disposed them out of guilt and discomfort, while others have kept them in order to avoid making waste.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did not approach the emerging veganism discourse with a fragmentary analysis as a solution to many of the problems in modern society, but rather looked specifically at how vegans practice their beliefs in a very specific area, as well as their actions and motivations. This study informs the specific practices and motivations of veganism by looking at it within the realm of clothing. Based on the practice pattern of vegans, this study can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gan fashion market should take moving forwar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25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17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