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eritumoral lymph nodes in pancreatic cancer revisited : 췌관선암 주변 림프절에 대한 종양의 직접 침윤이 환자의 생존결과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변윤형

Advisor
장진영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eritumoral lymph nodedirect invasion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lymph node metastasis종양 주변 림프절직접 침윤췌관선암림프 절전이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0. 8. 장진영.
Abstract
배경: 림프절 전이는 비교적 잘 알려진 췌장암의 예후 인자 중 하나이다. 이 중 종양 주변 림프절에 췌장암이 직접 침습하는 경우의 림프절 전이 형태는 림프절 채널을 통해 전이되는 다른 림프절의 전이와는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기 설정이나 치료 방침에 있어서 똑같이 취급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연구의 대상자 수가 적거나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어 종양 주변 림프절의 직접 침습에 대한 종양학적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췌관선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받은 5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진행되었다. 환자 중 최종 병리 진단이 췌관선암이 아니거나 근치적 목적의 수술이 아닌 환자, 수술 전 항암화학치료를 받은 환자, 남은 췌장에 새로운 췌장암이 발병하여 추가 수술을 받은 환자, 림프절 절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환자, 병변의 위치가 다발성인 환자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전체 506명의 환자 중 림프절 병기 분포는 176명 (35%)이 N0, 237명 (47%)이 N1, 93명 (18%)이 N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12명 (22%)에서 종양 주변 림프절의 직접 침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1 병기 환자들에서, 종양 주변 림프절의 직접 침윤만 있는 환자들은 다른 림프절 전이가 확인된 환자 또는 두 가지 형태의 림프절 전이가 함께 동반된 환자에 비해 2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2년 생존율: 종양 주변 림프절의 직접 침윤만 있는 경우 74%, 다른 림프절 전이만 있는 경우 47%, 두 가지 형태가 함께 동반된 경우 46%, p=0.006). 하지만, 림프절 전이가 없는 N0 환자와 종양 주변 림프절의 직접 침윤만 있는 환자의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종양 주변 림프절의 직접 침윤만 있는 경우 74%,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69%, p=0.483).

결론: 종양 주변 림프절의 직접 침윤은 다른 림프절 전이와 비교하여 생존 결과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다른 림프절 전이와 똑같이 취급하는 현재의 췌장암 림프절 병기 시스템은 과장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현재의 췌장암 림프절 병기에서 종양 주변 림프절의 직접 침윤은 따로 취급되어야 한다.
Background Lymph node (LN) metastasis is well-known to negatively affect the prognosis of pancreatic cancer. LN metastasis through direct invasion of tumor cell to peritumoral lymph nodes (PTLN) are treated as the same as those which spread through lymphatic channels. Previous studies were based on small number of cases without definitive conclusion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PTLN invasion on the oncologic outcome of pancreatic cancer.

Methods Medical records of 506 patients who received radical resection for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8 were reviewed. Pathologic review was performed by one experienced pathologist. PTLN invasion was defined as a direct invasion of tumor cells in contact with main tumor.

Results Of the 506 patients, 176 (34.8%) were N0, 237 (46.8%) were N1, and 93 (18.3%) were N2. One-hundred twelve patients (22.1%) had PTLN invasion. In N1 stage, PTLN invasion group (PTLNI) had a significantly better 2- year survival than regional LN metastasis group (RLNM) and combined LN metastasis group (CLNM) (PTLNI 73.8% vs. RLNM 47.0% vs. CLNM 45.7%, p=0.00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0 and PTLNI (PTLNI 73.8% vs. N0 69.4%, p=0.483).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PTLNI was found to be a better prognostic factor (Hazard ratio 0.322 [0.182-0.570], p<0.001).

Conclusion Because PTLN invasion does not adversely affect survival as LN metastasis, pancreatic cancer can be over-staged if it were dealt like metastatic LN. Therefore, PTLN invasion should be disregarded from current nodal staging system.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44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3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