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墓域附加支石墓: 청동기시대의 의례 · 상징 매체 :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a Medium of Ritual and Sign in the Korean Bronze Ag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호인

Advisor
김종일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묘역식 지석묘구획묘묘역묘역시설고인돌거석 문화의례실천 이론퍼스기호학기호과정집단 기억사회적 기억dolmen burialstone platformcairnmegalithmonumentthe Korean Bronze AgeritualpracticePeircesemioticssemiosiscollective memorysocial memor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고고학전공), 2020. 8. 김종일.
Abstract
한반도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중에는 상석 및 매장주체부를 중심으로 석조 묘역시설이 형성되어 있는 사례가 있다. 이 지석묘 형식의 조성 원리는 전파론적 시각에서 비롯된 랴오둥(遼東)반도 적석묘 기원설과 Saxe-Binford 관점의 사회 복합화라는 각각 직접 · 배경적 원인에 해당하는 두 시나리오에 의해 한정적으로 설명되어 왔다. 그리고 해당 묘제의 성격 및 역할은 복합화된 사회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는 순환론적 해석이 내려지면서, 수장 · 권위 · 위계 · 경제력 · 영향력 등의 키워드로 다시 단일하게 설명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러한 전파론적 시각과 사회 구조에서 거시적으로 원인을 찾는 기조에서 벗어나 제삼의 등장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묘역시설을 공반하는 지석묘의 성격과 역할을 Saxe-Binford 접근법을 통한 해석과는 다른 방향으로 추론하면서 동 묘제가 당대에 미쳤던 영향을 재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묘역시설을 일종의 속성으로 간주하고, 석조 묘역 구조를 갖춘 지석묘를 묘역부가지석묘로 명명하였다. 이 명칭에는 해당 묘제의 형성은 곧 기존에 인식하고 있었던 지석묘에 묘역시설이 공반되는 과정이라는 본 연구의 관점이 적용되어 있다. 그리고 속성으로서의 묘역시설에 주목함으로써 지상 구조는 묘역부가지석묘와 동일하지만 지하 매장주체부 구조가 부재하는 구조물, 또 여기서 상석마저 누락되어 소위 제단으로 불리는 구조물까지 연구 대상에 포함시켰다. 이 두 가지의 아(亞)형식 유구들은 차례대로 묘역부가지석구조물, 묘역식 구조물로 용어 설정하였다.
자료 선정 및 검토는 청동기시대(약 14~2C BC)를 시간적 배경으로, 랴오닝(遼寧) 지역부터 한반도 남단까지를 공간적 범위로 하여 유적 179개소, 608단위의 묘역부가지석묘 및 그 하위 형식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 자료 검토간 연구에 적용된 이론적 관점하에서 속성과 정보 단위를 설정하여 통계적 분석 역시 진행하였다. 무엇보다도 물리적 구조 분석을 진행하면서 묘역부가지석묘와 유사한 하위 형식들을 분기하는 무덤의 구성 요소를 특정하였고, 특히 일부 속성을 유형화하여 묘역 구조가 부가되는 방식을 도출하였다.
랴오둥반도의 적석묘에서 기원을 찾는 관점은 두 모델―단선의 문화과정(IFSR)과 장거리 집단 이주(LDCM)의 산물로서, 유적 단위 수준에서 관찰되는 묘역부가지석묘의 다양성을 설명해주지 못한다. 이와 더불어 동일 무덤군 내에서 묘역부가지석묘와 일반 지석묘가 공존하는 양상은, 연구 대상 묘제의 등장 과정에 대한 초점을 기원이 아니라 지석묘의 개체 단위 차원에서 묘역 구조를 부가하는 실천(practice)의 수준으로 이동시킨다. 묘역부가지석묘에 경관을 형성하고 전통을 내재시키는 에이전시(agency)가 부여되었다는 측면에서, 해당 묘제는 의례적 실천(ritual practice)과 연결된다.
의례화(ritualization)의 맥락에서 묘역시설 부가 구조 유형을 살펴본 결과, 물리적 묘역 구조는 관념-구조적으로 존재하던 의례 담론의 장이 상석 및 매장주체부를 기점으로 차별적 실천 과정 중 치밀하게 방사형으로 퍼져나가면서 물질화된 공간적 기표로 정의된다. 묘역부가지석묘는 그러한 의례 행위가 유효하게 수행될 수 있는 가시적인 중첩적 반경을 가지면서 구조를 투사하는 매체(medium)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중에서도 개별의 물질적 필드(field)를 유지하면서 묘역시설을 공유하고 있는 집단묘역부가지석묘는 개인-공동체의 순환 관계를 반영하고 투사하는 형태로 해석된다.
묘역부가지석구조물은 대상체를 의도적으로 누락시켜 원형의 묘제가 시동하는 기호과정(semiosis)을 차용-재현한 결과로서 원묘제―묘역부가지석묘가 가지고 있던 기능을 필요에 따라 특정 지점에서 수행하는 객체였다. 따라서 본고에서 고찰한 바를 토대로 한다면, 해당 구조물은 의례화를 통해 당시의 구조를 투사하면서 타계에 유효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첩적 지대가 축조 주체들이 필요로 하는 곳에 시설로서 확장된 사례로 볼 수 있다. 묘역식 구조물은 기호과정의 차용 위에서 표상체의 대체가 이루어지는 경남 지역의 특수한 사례이다.
환언해서 묘역부가지석묘는 다양한 의례 담론을 수용할 수 있는 물질적 필드이자, 사회적 기억의 원리로써 구조를 투사하는 기념비적(monumental) 상징복합체였던 것으로 정리된다. 해당 묘제는 수직적 상석에 수평적 묘역시설로 이루어진 그 특유의 이항 대립적 구조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의례화를 활성화하였다. 그로써 자신을 만들어낸 객관적 구조를 효과적으로 투사하였고 개인을 포함한 공동체의 정체성과 결속을 재생산하며 유지시켰다.
Several cases of dolmen burials constructed with stone platforms around the capstone or burial chamber in the Korean Bronze Age have been excavated and reported. Investigations of this type of dolmen burial have focused almost exclusively on its typological origins, which have been linked to burial cairns found in the Liaodong peninsula, and its significance as an index of social complexity via the Saxe-Binford model. Furthermore, as a result of researchers strict adherence to the Saxe-Binford approach, the character and social role of these dolmen burials are only explained in terms of concepts such as chiefdom, rank, economic power, and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lternative mechanism of the formation of this type of dolmen burial by challenging conventional approaches that apply traditional views of cultural diffusion and the Saxe-Binford perspective and infer the influence of such dolmen burials on Korean Bronze Age society.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aims, firstly, this study regards the stone platform part of the dolmen burial fundamentally as a unit at the attribute-level. In this context, the formation of this type of dolmen burial is defined as a process of adding stone platforms to normal dolmen burials. Therefore,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can be used as a term that indicates this distinct type of dolmen burial. Furthermore, because this study regards the stone platform part as an independent attribute, variants of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for instance, dolmen-style structures with stone platforms, which do not have underground burial chambers but a surface structure consisting of a capstone and stone platform and stone platform-type structures―and even features without capstones―were included as objects of this study.
Secondly, 608 sample units of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dated to the Bronze Age (14~2C BC), excavated from 179 sites located across Northeast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to proceed with statistical analysis under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pplied to this study. Above all, while physical structures of the samples were being analyzed, the parts of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that allow them to be typified were specified, and also structural designs of how the stone platforms were added to dolmen burials were categorized.
The long-held notion of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originating with the burial cairns of the Liaodong peninsula is a product of referring cultural process to IFSR (initial—formation—subsequent—regionalisation) and LDCM (long distance collective migration). However, the wide variation observed in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observed by each unit of the excavation sites do not agree with the expectations of these perspective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co-exist with normal dolmens shifts the focus to a practice which installs stone platforms on normal dolmen burials at an individual level rather than preoccupation with origins.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can be connected with ritual practice in respect to an agency related to forming landscapes and making tradition embedded.
After examining the categorized structural designs of stone platforms installed on dolmen burials in the context of ritualization, it is inferred that the stone platform is the visual-materialized grave boundary for ritual discourse that existed originally as an idea―the objective structure. As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had their own liminal space where ritual could be practiced validly so, their role was to project the objective structure as a medium. And collective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maintaining individual material fields on shared stone platforms were a type that reflects and projects the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community.
Dolmen-style structures with stone platforms were the result of adopting/reproducing the part of semiosis triggered by the original type―dolmens with stone platforms. According to this inference, dolmen-style structures with stone platforms were a kind of object which carries out a function―projecting the objective structure by ritualization and making an area accessible to the other world of experience―of the original type in where it is needed. Stone platform-type structures may thus be proposed as a case of stone platforms as a representamen replacing the capstone in the semiosis partially adopted.
In other words, it is concluded that dolmens with stone platforms were a material field that took on diverse ritual discourses, and a symbolic complex that projects the objective structure as social memories. With binary opposition composed of a vertical capstone and horizontal stone platform, this type of dolmen activated ritualization in various ways. In so doing, it projected effectively the objective structure, which made its own presence, and maintained and reproduced the unity and identity of related communities, including individual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2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2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