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권대운기로연회도》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선

Advisor
장진성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권대운기로연회도곽분양행락도기로회도기사환국계병숙종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Birthday Celebration for General Guo ZiyiPaintings of the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Gisa hwangukCommissioned screensKing Sukjo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20. 8. 장진성.
Abstract
본 논문은 숙종(肅宗, 재위 1674-1720)대 남인(南人) 관료들의 연회 장면이 담긴 《권대운기로연회도(權大運耆老宴會圖)》(1690)의 제작 과정과 작품 구성 의도를 상세히 고찰해보려는 시도이다. 《권대운기로연회도》는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정계에 복귀한 남인의 영수 권대운(權大運, 1612-1699)이 당대 기로소당상(耆老所堂上)이었던 남인 목내선(睦來善, 1617-1704), 이관징(李觀徵, 1618-1695), 오정위(吳挺緯, 1616-1692)와 함께 기로연을 열었던 것을 기념한 그림이다. 기사환국은 숙종이 남인계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1701)가 낳은 아들을 원자로 정호(定號)하는 사안에 반대한 서인(西人)을 대대적으로 퇴출시키고 반대로 남인을 등용하여 세력 교체를 이룬 사건이다.
《권대운기로연회도》는 남인의 현실적 모습과 중국풍의 비현실적 이미지가 혼재된 독특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학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작품의 독특한 시각적 특징을 정확하게 분석하지는 못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권대운기로연회도》는 기사환국 이후 일정 시간이 흐른 뒤 제작되었으며 일반적인 남인의 집권기념 회화와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따라서 본 작품을 남인의 집권기념 회화로 이해하는 기존의 시각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작품이 발의된 특정한 시기의 상황을 주목하고 작품 속 시각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분석하여 선행연구와의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이번 기로연이 왕세자 책봉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권대운기로연회도》에 등장하는 4명의 기로대신들은 세자 책례도감(冊禮都監)의 당상관(堂上官)으로서 1690년 6월에 거행된 책례를 성공적으로 주관한 이후 기로소(耆老所)에 입사하였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권대운은 당시 공식적인 기로대신을 초청하여 자신의 사가(私家)에서 기로연을 열고 그림을 발의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국가의 기로대신들이 공적 기로회도를 발의하는 것은 국왕의 강력한 후원과 지지를 드러낼 수 있는 상징적인 행위였다. 기로회도는 선조(宣祖, 재위 1567-1608)대 이후부터 이러한 중층적 함의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권대운기로연회도》는 세자를 보필한 결과 권대운과 기로대신들이 숙종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음을 드러내는 그림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제작 의도를 작품 속 시각 이미지를 통해 이해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이다. 아울러 본 작품에는 기로연에 동석한 각 대신들의 현달(顯達)한 자제들이 등장하여 17세기부터 강화된 문벌(門閥)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한편 본 연구는 《권대운기로연회도》의 독특한 시각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17세기 계병(契屛) 제작 양상을 주목하였다. 권대운의 기로연은 세자 책봉이라는 왕실 행사와 연관된다는 점에서 여타 기로연과 구별되기에 이례적인 기로회도 계병 형식으로 작품이 발의된 것으로 보인다. 《권대운기로연회도》는 이처럼 계병으로 제작되는 과정에서 지금과 같은 독특한 형태의 구성을 지니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기로회도는 보통 축(軸)이나 첩(帖)과 같은 비교적 작은 화면에 연회 장면을 소략하게 표현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병풍이라는 큰 화면을 채우기 위해서는 당시 계병 제작 관행을 따를 필요가 있었다. 17세기의 계병은 계회도의 본질인 행사기록화보다 산수화나 중국식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와 같은 감상화가 화면의 주 대상으로 그려지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었다. 이러한 계병 제작 관행을 따라 《권대운기로연회도》 계병에도 중국식 고사인물화가 차용되었다. 따라서 본 작품에 등장하는 중앙부의 현실적 행사 장면과 주변부의 비현실적 이미지는 각각 계병의 행사도와 감상화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권대운기로연회도》에 차용된 고사인물화는 곽분양행락도(郭汾陽行樂圖)인 것으로 보인다. 《권대운기로연회도》는 화면 속에 석벽(石壁), 서운(瑞雲), 폭포, 모란 등의 상서로운 이미지가 등장하여 선경(仙境)의 공간을 표방한다는 점에서 기존에 제기된 만명기(晩明期) 원림도(園林圖)보다도 곽분양행락도와의 유사성이 간취된다. 또한 작품 속 조선의 인물과 중국식 사녀(仕女)의 이질적인 조합은 낯섦의 효과를 불러일으켜 이곳을 신비한 공간으로 나타내기 위한 의도적인 방식이었을 수 있다. 본 기로연은 숙종의 신임을 받는 국로(國老) 권대운의 만년의 권위를 기리는 행사였다. 아울러 이번 연회에는 그 자손들이 참여하여 대대로 이어지는 가세를 과시할 수 있었다. 이에 황제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던 당나라의 구국 영웅 곽자의(郭子儀, 697-781)가 누린 만년의 영화(榮華)를 주제로 한 곽분양행락도가 본 행사의 취지에 적합한 화제로 선택되었다.
필자는 곽자의라는 인물이 대개 국왕이 직접 충신을 치하할 때 거론되는 인물이었다는 점에서 숙종이 《권대운기로연회도》 제작을 주도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숙종은 그림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여 주로 《권대운기로연회도》와 같은 공필채색(工筆彩色) 화풍의 고사인물화를 정치적으로 활용하였던 국왕이었다. 특히 《권대운기로연회도》는 고사인물화에 남인의 현실적인 모습이 직접 적용되어 권대운이 마치 곽자의의 현신(現身)과도 같은 모습으로 처리된 매우 독특한 형식의 작품이다. 당시 남인이 자력(自力)이 아닌 숙종의 독단적 결정에 의해 복권되어 정국을 주체적으로 이끌지 못한 소극적 세력이었음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파격적인 형식의 그림은 숙종의 지원에 힘입어 발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숙종은 1691년에 를 통해 남인을 후원한 것과 마찬가지로 1690년에는 《권대운기로연회도》를 통해 남인에 대한 지지를 나타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숙종은 《권대운기로연회도》를 통해 세자를 보필한 남인을 충신으로 공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왕세자에 대한 만인의 지지를 유도한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권대운기로연회도》가 일반적인 남인의 집권기념 회화가 아닌 세자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목적 아래 숙종이 적극적으로 후원한 그림일 가능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권대운기로연회도》는 이후 18세기 세자책례계병(世子冊禮契屛)이 길상적 화제의 그림으로 발의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도 미술사적 가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duction as well as the intentions behind the composition of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 (1690), an eight-fold screen currently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This painting illustrates the banquet organized by Gwon Daeun (1612-1699), who returned to politics after the Gisa hwanguk (the political purge of the Westerners in the gisa year) in 1689 and celebrated his entry into the Office of the Elder Statesmen or the Honorary Elders Assembly (Giroso) together with other members of the Southerners (Namin) Mok Naeseon (1617-1704), Yi Gwanjing (1618-1695) and O Jeongwi (1616-1692). The Gisa hwanguk is the reversal of the political situation related to the conflict between the Southerners and the Westerners caused by the latter opposing that the son of Lady Jang was designated as heir apparent. As a result, the Westerners were dismissed from office in large scale and replaced by the Southerners, which lead to a drastic shift of power among the political factions at court. The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 has received attention because realistic elements are mixed with unrealistic elements in this one picture. Previous research, however, did not examine the unusual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sufficient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thoroughly analyze and interpret the visual elements in the screen to distinguish itself from past research.
Clos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won Daeuns banquet and the investiture of the crown prince will reveal that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 was a politically motivated painting. The four main figures depicted in the painting had served in the Temporary Office for the Investiture of the Crown Prince (Seja chaekrye dogam). After the ceremony was successfully held in the sixth month of 1690, all of them entered the Giroso. To celebrate this occasion, Gwon Daeun invited his fellow officials to a banquet at his private estate and commissioned the screen painting. Therefore, the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 shows that the elders enjoyed the support of King Sukjong (r. 1674-1720) owing to their assistance in designating the crown prince. Besides, the painting also displays the prestige of powerful and influential families (munbeol) whose lineage gained importance among the ruling yangban (officials and degree-holders or hereditary aristocrats) class in Joseon Korea after the 17th century.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elders are depicted along with their children in the screen, showing the power of the prestigious families.
Apart from that,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commemorative folding screens (gyebyeong) were produced during the 17th century to analyze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 The reasons for its peculiar composition and format are found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 as a commemorative folding screen. The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s a theme that was typically depicted in album or hanging scroll format. In album leaves and hanging scrolls, the banquet scene is depicted rudimentarily, only occupying part of the composition. But since the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 was executed on a folding screen, a new approach was required to fill a much larger canvas. One characteristic of the commemorative screens of the 17th century is that they illustrate more than the essence of the event. Instead of merely documenting the actual happenings, they often feature a landscape or a Chinese story as the main subject. In correspondence with this practice, the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 exhibits some elements of a Chinese narrative painting. The center of the screen, on the other hand, displays the scene of the actual event and follows the tradition of paintings featuring the Gathering of Elder Statesmen.
It seems that the narrative in this screen refers to the theme Birthday Celebration for General Guo Ziyi. Previously, the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 was compared to garden estate paintings of the late Ming period. but the stone walls, waterfall, auspicious clouds, and other propitious motifs correspond to similar elements in paintings of the Birthday Celebration for General Guo Ziyi. The depicted banquet in the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 is designed to praise the political authority of Gwon Daeun, who received trust and support from the king. In addition to that, the painting glorifies the prestige of other elder statesmen who participate in the event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In this regard, the birthday celebration for Guo Ziyi (697-781), the military hero of the Tang dynasty who spent his later life in prosperity and happiness, was chosen as a suitable theme for Gwon Daeuns situation. Given that the painting touches upon political issues embedded in the screen, King Sukjong seems to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the Gathering of the Elder Statesmen in Honor of Gwon Daeun, offering ample support for the Southerners. The screen serves to highlight the kings patronage in visual term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2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51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