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김춘수 시의 공간 인식과 지명(地名)의 의미 연구 : A Study on Space Cognition and the Meaning of Place Names in Kim Chunsu's Poet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Elia Rodriguez Lopez

Advisor
신범순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김춘수공간 인식지명오르테가 이 가세트‘시르쿤스탄시아’풍토자연 풍경진보의 역사생명의 중심구원Kim Chunsuspace cognitionplace namesOrtega y Gassetphungto (culture and climate)“circumstance“natural landscapehistory of progressvital centersalv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0. 8. 신범순.
Abstract
본 연구는 김춘수의 시에 나타나는 공간 인식, 특히 지명으로 표상된 공간 이미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김춘수의 시 여정을 관통하는 그의 시적 우주의 구조를 밝히려 한다. 김춘수 시세계는 공간 인식으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지명과 구체적인 공간 이미지는 김춘수가 문학을 통해 표현하는 자신의 내면 공간과 상상 세계를 안내하는 지도 역할을 하여, 그의 시를 새로운 관점에서 볼 수 있게 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공간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김춘수의 시세계가 끊임없이 다양한 형식적 실험 속에서도 일관되고 통일된 시적 우주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공간 인식을 검토함으로써 김춘수 시 세계의 발전 양상을 시세계의 일관성과 함께 살필 수 있다. 고독, 유토피아적 구원 세계에 대한 갈망, 역사에 대한 저항과 초극, 인각의 기본적이며 이원적인 본질, 생애의 비극 등과 같은 김춘수 시의 중요한 주제들이 공간적 이미지를 통해 연결되고, 주제들 간의 상호관계 또한 공간적 이미지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난다.
김춘수 시에서 확인된 공간에 대한 관심은 고향의 상실, 즉 유년에 대한 실낙원 의식으로 인해 자기가 이 세상에서 뿌리 뽑힌 느낌과 방향을 잃은 원초적 감정에서 비롯한다. 고향의 상실은 물리적인 장소를 잃은 것이 아니라, 그 유일한 공간에서 보냈던 유년의 생명력 가득한 경험을 잃어버린 것이다. 따라서 김춘수 시에 나타나는 공간은 경험적 공간이고, 그 공간에 거주하는 개인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생명의 공간이다. 이 공간은 인간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그 체험의 영향을 받는다.
김춘수 시에서 공간과 인간 사이에 보이는 이 복잡한 상호관계를 검토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스페인 사상가 오르테가 이 가세트(José Ortega y Gasset)의 시르쿤스탄시아 개념을 사용한다. 시르쿤스탄시아란 경험공간이 되는데, 그것은 주변 공간과 그것을 살아가는 나의 밀접한 관계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구체적 공간과 역사적 시간 속에서 태어나기 때문에 시공간적으로 한정되는 구체적 세대에 속하게 된다. 세대라는 개념을 통해 인생의 과거와 역사적 과거, 전통과 문화는 시르쿤스탄시아 개념에 포함된다. 따라서 자아-시르쿤스탄시아라는 이항식은 현재 순간 개인과 공간의 밀접한 관계에서부터 세대에 속하는 타자와 선조, 그리고 특정 지역의 문화와 전통까지 그 의미가 확대되며, 이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구성된 총체로 이해되어야 한다.
김춘수는 자기 문학에서 자신의 시르쿤스탄시아만 드러내는 것이 아니다. 그는 고향의 상실에 대한 정서와 그로 인한 이질감과 방향감각을 잃은 감정으로 공간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인간과 공간의 사이 상호관계를 검토하면서 자기 시에서 다양한 시르쿤스탄시아를 구성하게 된다. 그 시르쿤스탄시아들을 통해 진보의 역사에 의한 압박과 폭력을 보여주거나 그 역사를 극복할 수 있는 구원의 세계를 그린다. 시 속에서 시르쿤스탄시아를 드러내기 위한 시적 방편으로서의 지명(地名)을 자주 사용한다. 시적 방편으로서의 지명은 단 한 단어로 역사적, 문화적, 지리적, 경험적 다양한 의미를 압축하고 표현한다. 김춘수는 자기만의 시세계를 구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지명의 표현능력을 활용한다.
시르쿤스탄시아 개념과 지명 이미지를 통해 김춘수 시를 공간적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그의 시세계에는 세 가지 핵심적 양상이 드러난다. 첫째, 생명력의 중심을 상실한 느낌과 기원에 대한 그리움이다. 이러한 감정들은 나는 왜 여기서 이러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유발한다. 둘째, 역사=이데올로기=폭력이라는 공식을 바탕으로 본 현실과 역사의 압박에 저항하는 변증법적 운동이다. 셋째, 현실과 역사 세계를 초극하고 새로운 세계, 즉 구원의 세계를 창조하고픈 갈망이다. 이러한 양상은 형상이 변화될 뿐 김춘수 시세계를 전체적으로 관통한다. 이 양상은 세 가지 공간으로 구체화되는데, 그 양상의 지속과 동시에 발전을 보여준다. 그 공간들은 자연 공간, 상상 공간과 기억 공간이며, 각각 공간은 초기, 중기, 후기로 나뉘는 김춘수 시세계의 각 시기별 특징이 된다. 이러한 양상을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서 본 연구는 김춘수의 시를 주로 세 시기로 나누는 구분 방식에 따라 세 장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II장에서는 김춘수의 초기 시에 나타난 자연 풍경 이미지와 하늘 이미지, 그리고 지명으로 표상된 이미지를 분석한다. 초기 시에서는 특히 자연 풍경으로 구성된 공간이 두드러진다. 그 자연 풍경은 인간의 원시적 지리와 관계를 맺으면서 구체적인 역사 사건과 관련되는 지명을 통해 시에 드러난 진보 역사에 저항하려고 한다.
III장에서는 김춘수의 중기 시, 즉 무의미시의 시기에 자주 나타난 공간을 분석한다. 무의미시에 주로 나타나는 공간은 상상의 공간이며, 그것이 실제 여행이나 상상적 여행과 관련을 보이기 때문에, 그 공간을 통해 김춘수의 관심이 확인된다. 그 상상 공간들은 나선형 개념과 초역사의 세계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중심 이미지, 내부-외부의 공간 변증법과 신화적, 예술적 구원의 세계 이미지로 구체화된다.
마지막으로 IV장에는 김춘수가 생애를 통해 경험한 구체적인 공간과 지명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후기 시에 나타난 기억의 공간이 지닌 의미를 살펴본다. 유년의 추억과 생애 경험은 공간적으로 집 이미지, 고향과 관련된 지명과 세다가야 감옥 이미지로 구체화된다. 후기 시에서 폭력적 공간을 표상하는 감옥과 유년의 실낙원을 드러내는 고향은 서로 대립적인 관계를 지닌다. 역사가 강요하는 획일성 때문에 고향의 고유성이 사라지는 것을 걱정하는 김춘수는 예술적 창조를 통해 고향의 풍토를 되살리려는 의지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김춘수의 시세계 전반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간 인식과 지명 이미지를 통해 시인의 내면세계를 관통하면서, 시인의 주된 관심사로서 생명에 대한 고뇌와 예술에 대한 고민을 밝힐 수 있었다.
The main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space cognition in Kim Chunsu's poetry, or more specifically, the image of space as constituted by the name of a place. This analysis lays bare the spatial structure of his poetic universe that features throughout all of his work, and thereby reveals the poet's interior space.

The space presented in Kim Chunsu's works forms a kind of mental map of his imaginative world that can help us enter the poet's inner universe, opening up new perspectives on his poetry. The analysis of concrete spaces throughout his poems reveals a coherent and cohesive universe, whose main themes remain fixed over time despite the considerable amount of experimentation on form that characterizes his work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ssential themes in Kim Chunsu's works, such as loneliness, the longing for a utopic world of salvation, the overcoming of history, the fundamental duality of humanity, or the tragedy of human life, can all be clarified once we see how they are all connected by space and the name of places.

Kim Chunsu's interest in the spatial dimension of human life comes from the feeling of disorientation he had after the primordial loss of his native town, the paradise of his childhood. The loss was not necessarily the physical loss of the town so much as the loss of his childhood experiences within that specific and unique space. Thus, the space in Kim Chunsu's work is the space of experience, a vital space intimately related to the individual who inhabits it. This space transforms the human experience while being transformed by it at the same time.

To examine this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individual, the paper uses the concept of "circumstance," first formulated by the Spanish thinker Ortega y Gasset. Ortega's "circumstance" deals with the experiential space that comes from the intimate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the space around and the self that experiences it. Human beings are all born in a specific space at a particular historical moment, inextricably linking them to his or her specific generation, which is itself also spatially and historically defined. Thus, the duo of the "I and circumstance" actually forms an integral whole made up of various elements, ranging from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s immediate space in the present to the past of the concrete individual. The others who comprise the individual's current and past generations, the culture to which the individual belongs, and the traditions found in the individual's territory also form part of the individual and their "circumstance."

Kim Chunsu does not solely focus on exploring his own "circumstance". On the contrary, he uses his feelings of loss, strangeness, and disorientatio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the individual to build numerous "circumstances" into his poems, through which he tries to reflect the cruelty of history and aspires to transcend it by creating a new world of salvation. To introduce the "circumstance" in his poems, Kim Chunsu often uses the place's name as a poetic resource. The name of a place can encompass within itself a multitude of historical, cultural, geographical, and experiential meanings, all of which the poet uses to build his particular poetic world.

By interpreting Kim Chunsu's poetry through the concept of "circumstance" and the name of place, we can identify three critical aspects to his poetic universe: (1) The feeling of having lost the center of life and the nostalgia for the origin, where his existential question of "why I am doing this here?" takes root; (2) the dialectical movement opposing reality and history, based on his conviction that ideology, violence, and history are closely intertwined; and (3) the longing for the creation of a new world, a space of salvation able to overcome history. These three aspects appear through different images throughout his works. In particular, three different spaces reveal the continuity and evolution of these crucial aspects throughout his poetry: the natural space, the imagination space, and the space of memory. Each of them is predominant in one of the three periods into which Kim Chunsu's work is usually divided. For this reason, this dissertation is organized into three chapters, with each chapter being devoted to one of his three poetic periods.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poet's early period, and it analyses the natural landscape, the image of the sky, and the image represented by the name of place. In this early period, the space constituted by a natural landscape is connected to the primordial geography and stands against the world of the history of progress. The name of places in this period often refers to specific historical events that were full of violence.

The third chapter analyses the spaces that frequently appear in the "meaningless poetry" period. This period's differential space is the space of imagination; in other words, space constituted by real or imagined travels and from the poet's readings, all of which reflect his main interests. These spaces of the imagination are related to the concept of the spiral and the world of transcendent history. They become concrete in the center's image, in the dialectical relation between inner and outer space and the image of an artistic world of salvation.

Finally, the fourth chapter focuses on Kim Chunsu's late poems. The chapt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space of memory by analyzing particular spaces experienced by the poet and the name of places related to them. The poet's childhood memories and experiences are concretized spatially in the house's image, the names related to his hometown, and the Setagaya prison. In these poems, a confrontation emerges between the violent and oppressive space of the prison and the lost paradise of his native town, which appears as a longed space for salvation, and one which Kim Chunsu tried to "save" from oblivion through his artistic creations.

We hope the dissertation offers a fresh new perspective on Kim Chunsu's works. We believe that by approaching Kim Chunsu's poetry through the concept of space and his creative use of the name of places can allow us to penetrate into the poet's inner world and discover his true vital and aesthetic concer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4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1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