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황해도 안악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 黄海道安岳方言的音系学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소연

Advisor
정승철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황해도 방언안악 지역어음운 목록단수 기저형복수 기저형쌍형어음운 현상대치탈락축약첨가 黄海道方言、安岳方言、音位目录、单数底层形式、复数底层形式、双形词、语音现象、替换、脱落、缩约、添音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0. 8. 정승철.
Abstract
본 연구는 재중(길림성 류하현) 안악군 출신 화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대상으로 황해도 서북부에 위치한 안악 지역어의 음운 목록을 확정하고 어간, 조사, 어미의 기저형을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공시적으로 일어나는 음운 현상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뚜렷한 방언 특징을 가진 평안도 방언권 및 서울 지역어를 중심으로 하는 경기도 방언권 사이에 있는 황해도 방언은 그 자체의 음운 현상이나 방언 접촉의 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방언 접촉 또는 방언 간의 대비 연구를 위해서는 우선 이 방언에서 일어나는 음운 과정을 엄밀히 살펴보아야 한다.
이 논문은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에서는 연구 목적, 연구사 개관, 조사 및 연구 방법 등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안악 지역어의 음운 목록을 제시하였는데 자음에는 19개 자음이 확인되었고 이 중에서 ㅈ, ㅉ, ㅊ은 치조음으로 발음된다. 활음에는 j와 w가 있고 모음에는 불안정한 ㅚ를 포함하여 총 9개 단모음이 확인되었다. 이중모음에는 ㅟ[wi]를 포함한 10개의 이중모음이 확인되었으며, ㅢ는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음장이 일부 단어 쌍의 의미를 변별하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어간, 조사, 어미의 기저형을 설정하는데 주로 단수 기저형 및 복수 기저형으로 분류하였다. 어간의 경우 각각 자음으로 끝나는 것, 자음군으로 끝나는 것, 단모음으로 끝나는 것, 이중모음으로 끝나는 것으로 나누어 단수 기저형, 복수 기저형을 가진 체언 어간 및 용언 어간을 살펴보았다. 단수 기저형을 가진 체언 어간 /빗/(責), /야듧/(八), /헤/(舌), /갸/(걔) 등이 관찰되었고, 복수 기저형을 가진 체언 어간 /ㄴ{ㅐ-ㅏ}/(1인칭 단수 대명사) 등이 확인되었다. 단수 기저형을 가진 용언 어간 /딛-/(聞), /맑-/(淸), /제리-/(麻), /꿰-/(貫) 등, 복수 기저형을 가진 용언 어간 /무{ㄷ-르}-/(問), /부{ㄷ-으}-/(脹), /고{ㅂ-우}-/(麗), /까ㄹ{ø-ㄹ}으-/(分), /바ㅃ{우-으}-/(忙), /그ㄹ{ᅟᅥᇂ-ㅐ-ㅓ}-/(然), /ㅎ{ㅏ-ㅐ}-/(爲), /가ㅌ{ø-ㅐ-ㅡ}-/(如), /ㄷ{ㅚ-ㅙ}-/(硬), /ㅅ{ㅟ-ㅞ}-/(休) 등이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쌍형어로 볼 수 있는 어간 꽃∼꼿(花), 나무∼낭구(木), 벼∼베(稻), 익-∼닉-(熟), 짧-∼짥-∼딹-(短), 아끼-∼애끼-(惜), 혀-∼헤-(點燈) 등이 관찰되었다. 조사와 어미의 경우 자음으로 시작되는 것, 모음으로 시작되는 것으로 나누어 단수 기저형, 복수 기저형을 가진 조사와 어미의 기저형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단수 기저형을 가진 조사 /-거티/, /-한데/, /-으루/, /-이랑/ 등, 복수 기저형을 가진 조사 /-{가-이}/, /-{ø-ㄹ}을/, /-{아-야}/ 등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드라/, /-간/, /-갓-/ 등,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어두/, /-어서/, /-으문/ 등 단수 기저형을 가진 어미들이 확인되었고 복수 기저형을 가진 어미에는 /-{은-는-ø}다/, /-{누나-구나}/ 등이 관찰되었다. 이 외에 쌍형어를 존재하는 조사 -까지∼-까장∼-꺼장, -에∼-이(처격 조사), 어미 -지∼-디, -엇-∼-댓-, -으니까∼-으니께 등이 포착되었다.
4장에서는 이 지역어의 음운 현상을 대치, 탈락, 축약, 첨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대치에서는 평파열음화, 경음화, 비음화, 유음화, 위치 동화, 모음조화, 모음의 완전 순행 동화, 활음화, 치조구개음화, 원순모음화 현상을 관찰하였다. 탈락에서는 후음 탈락, 유음 탈락, 자음군단순화, 으탈락, 이탈락, 동일 모음 탈락 현상을 살펴보았다. 축약에서는 유기음화 및 형태소 경계에서의 여축약을 다루었고 첨가에서는 활음 j와 w의 첨가를 논의하였다.
제5장에서는 논의를 정리하고 본고의 한계 및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
本文以早年间迁居至中国(吉林省柳河县)的朝鲜黄海道安岳郡发音合作人为调查对象,通过确定安岳方言的音位目录,设定词干、助词、词尾的底层形式等,探讨该方言内存在的共时语音现象。黄海道方言介于有着明显方言特征的平安道方言和以首尔方言为中心的京畿道方言之间,从其本身的语音现象或方言接触的角度来看,对黄海道方言的研究具有很重要的意义。若要进行方言接触或方言之间的对比研究,首要任务便是详尽观察该方言的语音系统及共时语音现象。
本文共五章,第一章介绍了研究目的、研究现状、调查及研究方法等。第二章确定了安岳方言的音位目录。安岳方言中有19个辅音,其中ㅈ,ㅉ,ㅊ为齿龈音。滑音有j和w。包括不太稳定的ㅚ[ö]在内,单元音共有9个。包括ㅟ[wi]在内,复元音共有10个,但其中不包括复元音ㅢ。此外,在安岳方言中发现了长音,它具有区分部分词汇意义的功能。
第三章对词干、助词、词尾的底层形式进行了探讨,设定的类型主要有单数底层形式和复数底层形式。首先,按照单辅音结尾、复辅音结尾、单元音结尾、复元音结尾的分类标准,依次对体词和谓词词干的单数、复数底层形式进行观察。其中,单数底层形式的体词有/빗/、/야듧/、/헤/、/갸/等,复数底层形式的体词有/ㄴ{ㅐ-ㅏ}/等,单数底层形式的谓词有/딛-/、/맑-/、/제리-/、/꿰-/等,复数底层形式的谓词有/무{ㄷ-르}-/、/부{ㄷ-으}-/、/고{ㅂ-우}-/、/까ㄹ{ø-ㄹ}으-/、/바ㅃ{우-으}-/、/그ㄹ{엏-ㅐ-ㅓ}-/、/ㅎ{ㅏ-ㅐ}-/、/가ㅌ{ø-ㅐ-ㅡ}-/、/ㄷ{ㅚ-ㅙ}-/、/ㅅ{ㅟ-ㅞ}-/等。此外还观察到一些具有双形词的体词和谓词,例如꽃~꼿、나무~낭구、벼~베、익-~닉-、짧-~짥-~딹-、아끼-~애끼-、혀-~헤-等。接着之后按照辅音开头、元音开头的分类标准,对助词和词尾的单数、复数底层形式进行考察。其中,单数底层形式的助词有/-거티/、/-한데/、/-으루/、/-이랑/等,复数底层形式的助词有/-{가-이}/、/-{ø-ㄹ}을/、/-{아-야}/等,单数底层形式的词尾有/-드라/、/-간/、/-갓-/、/-어두/、/-으문/等,复数底层形式的词尾有/-{은-는-ø}다/、/-{누나-구나}/等。同时还观察到一些可视为双形词的助词和词尾,例如-까지~-까장~-꺼장、-에~-이、-지~-디、-엇-~-댓-、-으니까~-으니께等。
第四章主要从音位的替换、脱落、缩约、添音等四个方面,探讨了安岳方言中的共时语音现象。替换现象中包括尾音中和现象、紧音化、鼻音化、流音化、发音位置同化、元音和谐、元音的完全顺行同化、滑音化、齿龈硬腭化、圆唇元音化现象等。脱落现象中有喉音脱落、流音脱落、复辅音单一化、으脱落、이脱落、相同元音的脱落等。缩约现象中主要探讨了送气音化和여变成에的现象,而添音现象中则考察了滑音j和w的添加。
第五章对本文主要内容进行了梳理、总结,并指出本文存在的问题和今后的研究方向等。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5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2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