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어 발화양식의 음성학·음운론적 연구 : Phonetics and Phonology of Speech Styles in Kore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은

Advisor
김성규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발화양식언어 변이양식화사용역화낭독 발화자유 발화애교 발화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0. 8. 김성규.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발화양식(speech style)의 체계와 이에 따른 연구방법론을 정립하고 이를 구체적인 국어 발화양식 연구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발화양식의 개념을 정비하고, 이 정비된 개념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국어 발화양식을 선별, 총 세 차례의 실험을 통하여 음성학·음운론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발화양식과 언어의 관계, 발화양식과 방언의 관계, 발화양식과 사용역화의 관계를 밝힌다. 선별된 발화양식은 낭독 발화, 자유 발화, 애교 발화, 비애교 발화이다.

본고의 발화양식은 (음성 언어) 발화 맥락에 따라 발생한 화자 내 언어 변이 혹은 발화 맥락에 따라 발생하여 사용역화된 화자 내 언어 변이.로 정의되어 문자 언어가 아닌 음성 언어만을 대상으로 하다는 점에서 문체와 다르고, 화자의 속성이 아닌 발화 상황의 속성에 따라 분화된다는 점에서 방언과 다르며, 언어형식의 집합체라는 점에서 사회적 표지성이 중요한 사용역과는 다르다. 발화양식은 사용역화(Agha, 2005)와 양식화(Coupland, 2001)의 정도에 따라 속성이 달라지므로 이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방법론도 달라져야 한다. 이를테면, 사용역화가 전혀 진행되지 않은 발화양식의 연구는 화자의 발화양식에 대한 의식을 통제된 채 이루어져야 하는 반면, 사용역화가 완료되어 양식화의 대상이 된 발화양식의 연구는 화자의 발화양식에 대한 의식이 최대한 활성화된 채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연구방법론은 전자의 발화양식을 대표하여 선별된 낭독․자유 발화와, 후자의 발화양식을 대표하여 선별된 애교․비애교 발화의 두 쌍의 발화양식에 실제로 적용되었다.

낭독 발화와 자유 발화는 발화 활동(낭독하는가?)의 속성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발화양식의 쌍이다. 말뭉치의 수집을 위한 산출 실험은 청년층과 노년층의 서울 방언 남성 화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화자의 발화양식에 대한 의식을 통제하고자 본인의 자유 발화를 전사한 대본을 낭독 발화의 구현에 활용하고 최대한 자연스럽게 읽을 것을 지시하였다. 실험 결과, 두 발화양식은 음운론․음성학적으로 체계적인 차이를 보였다. 음운론적으로는 자유 발화가 낭독 발화보다 더 많은 음소의 탈락이 일어나고, 적어도 청년층 화자는 자유 발화에 낭독 발화에서보다 더 많은 휴지를 개입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음성학적으로는 모음 길이의 평균값‧표준편차, 발화 속도, 기본주파수의 폭‧평균‧표준편차, 억양구 단위로 측정한 강도의 폭, 지터의 평균값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다른 언어를 대상으로 진행된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에 언어보편적인 특성과 언어특수적인 특성이 공존한다고 토의되었다. 아울러, 일부 음운론․음성학적 변수에서는 연령 변수와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보여 사용역화가 진행되지 않은 발화양식도 사회 방언에 따라 달리 산출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낭독․자유 발화는 애교․비애교 발화와 비교하였을 때 개별 변수들의 효과 크기가 매우 작아 사용역화가 완료되지 않은 발화양식은 화자 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일관성이 떨어진다고 토의하였다.

애교 발화와 비애교 발화는 사회적 평가(애교스러운가?)의 속성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발화양식의 쌍이다. 말뭉치의 수집을 위한 산출 실험은 두 성별의 서울 방언 청년층 화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화자의 발화양식에 대한 의식을 균일하게 활성화하고자 직접적으로 최대한 애교스럽게 읽으라.(애교 발화) 혹은 절대 애교스럽지 않게 읽으라.(비애교 발화)라고 지시하였다. 아울러 애교 발화와 비애교 발화는 청자로서의 인식 측면에서의 사용역화 여부도 확인하기 위하여 지각 실험도 진행되었는데, 이 지각 실험에서는 애교 발화인가?를 직접적으로 물어 청자의 발화양식에 대한 지식을 활성화하였다. 실험 결과, 두 발화양식은 산출과 인지 양 측면에서 음운론․음성학적으로 체계적인 차이를 보였다. 음운론적 차이는 일부 애교 문체의 음운 현상이 애교 발화에서만 구현된 점과 단어 목록 발화에서 억양구말 성조의 실현이 다른 데에서 발견되었다. 음성학적 차이는 기본주파수의 표준편차․폭․최댓값․최솟값․평균값, 강도의 표준편차․폭, 모음길이의 표준편차․평균값, 발화속도, 단모음의 모음 공간, 지터의 평균값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목소리 매력성(voice-attractiveness)의 관점에서 언어유형론적 차이를 감지하는 토대가 된다고 토의되었다. 아울러, 일부 음운론․음성학적 변수에서는 성별 변수와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보여 발화양식의 사용역화 방식이 화자의 속성(사회 방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애교․비애교 발화는 낭독․자유 발화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한 변수들의 효과 크기가 커서 사용역화가 완료된 발화양식은 지식으로 자리 잡아 일관성이 커진다고 해석되었다.

본고는 다음의 세 가지 지점에서 선행 논의와 대별되는 연구 의의를 지닌다. 첫째, 최근까지 국어 음운론에서 발화양식에 대한 고려가 저조하였던 가운데 발화양식의 개념, 성격, 체계, 방법론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이론적 고찰에서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발화양식의 실험 연구를 통해 이론을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발화양식이 기존의 주류 언어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던 언어, 방언, 사용역과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이론과 실재의 양 측면에서 규명함으로써 발화양식의 언어학적 중요성을 찾아주었다는 점이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concept of speech style, builds the methodology to study speech styles in Korean, and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concept and methodology by studying two pairs of Korean speech styles based on the revised concept and methodology to analyze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the selected speech styles after three experiments. In doing so, this dissertation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style and its neighboring concepts: language, sociolect, and register. Selected pairs of Korean speech styles are read/spontaneous speech and Aegyo/Non-Aegyo speech.

The revised definition of speech style in this dissertation is '(spoken language) within-speaker language variation generated by the attributes of the speech context, which is distinct from style in literary stylistics that targets written languages, distinct from dialect or sociolect that refers to the between-speaker language variation influenced by the attributes of the speaker, and lastly, register that assumes the social indexicality. Also, given that the character of a speech style is varied by the degree of enregisterment(Agha, 2005) and stylisation(Coupland, 2001), the methodology to study speech styles needs to be determined with regard to how much the targeted speech style is enregistered or stylized. For instance, the study of speech style, where enregisterment has not started yet, should be conducted while controlling the speaker's consciousness on speech style, whereas the study of speech style, where enregisterment is accomplished already, should be conducted while fully activating the speakers consciousness on speech style. This dissertation applied these methodologies to two pairs of speech styles that were selected on behalf of the two extreme cases: the pair of read and spontaneous speech was selected to represent for the speech style which is not enregistered at all, while the pair of Aegyo and Non-Aegyo speech was selected to represent for the speech style of which enregisterment is completed.

Read speech and spontaneous speech are a pair of speech styles that differ only in the nature of speech activity (Is the speech produced by reading activity?). The production experiment for corpus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Seoul dialect male speakers of two age groups: the young adult group and the old adult group. To control the speakers consciousness on speech style, the script that transcribed their spontaneous speech was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read speech and speakers were instructed to read the transcription script as naturally as possibl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wo speech styles showed differences in phonology and phonetics. Phonologically, the difference was that the same speaker showed more omissions in spontaneous speech than in read speech, and at least the young adult speakers involved spontaneous speech with more pauses than read speech. Acoustic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fundamental frequency characteristics, intensity characteristics, temporal characteristics, and voice quality with between-age variability.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 that universal features and language-specific features coexist in read and spontaneous speech in Korean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earlier studies conducted in other languages. In addition, the fact that som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age reveals that the speech styles that are not yet enreigistered can also be varied by sociolects. Lastly, when the effect size (i.e. estimate, AIC) of the significant phonological/acoustic variables were compared, those of read/spontaneous speech were lower than those of Aegyo/Non-Aegyo speech, meaning the lack of enregisterment can be led to the less consistency of production of the speech style.

Aegyo speech and Non-Aegyo speech are a pair of speech styles that differ only in the attributes of social evaluation (Does the speech sound like Aegyo?). Here, Aegyo refers to speech or behavior that is intended to look cute to others. The production experiment for the corpus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male and female Seoul dialects young adult speakers. In order to stimulate the speakers consciousness on speech style, a pair of straightforward instructions were provided by using the socially-agreed label of the speech style – Aegyo: Read out the script using Aegyo to full (Aegyo speech) and Read out the script not using any Aegyo at all (Non-Aegyo speech). In addition, a percep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plore whether or not Aegyo/Non-Aegyo speech styles were also perceptually enregistered. In this perception experiment, the knowledge of the listener's speech style was activated by directly asked 'Is this Aegyo speech?'.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the two speech styles showed differences in phonology and phonetics in terms of both production and perception. Phonolog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P-final tonality in word list speech and a handful of instances in the difference in phonological processes. Acoustic differences were found in fundamental frequency characteristics, intensity characteristics, temporal characteristics, vowel space, and voice quality with between-gender variability. These acoustic differences between Aegyo and Non-Aegyo speech seem to be the potential cornerstone to understand the typology of voice-attractiveness, considering Aegyo is generally performed to attract the other party in intimate relationships. Also, some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gender imply that the way of enregister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aker's attributes. Lastly, enregisterment seems to increase the systematicity of the targeted speech style, given that the significant acoustic variables that differ Aegyo speech from Non-Aegyo speech had larger effect sizes, compared to those that differ read speech from spontaneous speech.

This dissertation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refore signific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is dissertation comprehensively studied the notion, characteristics, and methodology of speech style, while speech style has not been highly recognized in Korean Linguistics until recently. Second, this dissertation is not limited to theoretical issues, but its theories were verified by conducting experimental studies on two pairs of Korean speech styles. Last but not the least, this dissertation confirmed the linguistic importance of speech style by validating that speech style is closely related to important concepts in linguistics: language, sociolect, and register.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5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7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