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김동인 문학의 전화(轉化)와 창조의 문제 : The Transition in Kim Dong-ins Literature and The Matter of Cre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나준성

Advisor
방민호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창조보편적 주관신문매체허구성장편소설분절연속독자대중전업소설가creationuniversal subjectivitynewspaper mediafictionalitynoveldiscontinuitycontinuityreading publicprofessional novelist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0. 8. 방민호.
Abstract
본고는 김동인 문학에서 복잡한 의미를 내포하면서 다양하게 구체화되어 있는 창조를 그 문학의 최대 문제로 판단하고, 그 창조란 어떤 것이었으며 어떠한 형상으로 재구성되어갔는가를 드러내고 그 의미를 탐색해보는 데 목적을 둔다.
김동인의 문학과 그 문학에서의 창조 둘 모두는 특정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크게 바뀌게 되는데, 이 변화를 이 글에서는 전화(轉化)라고 일컫는다. 이 양적·질적 전환은 김동인이 단편소설만을 쓰는 작가로부터 장편소설을 지속적으로 써내는 작가로 탈바꿈하는 현상에서부터 비롯된다. 또한 본래 그에게 소설이란 현대를 배경으로 하는 가상인물들의 허구적 이야기 이외의 것이 아니었으나, 이 시기 이후 김동인의 소설에는 실제 있었던 인물, 사건, 배경으로 주로 구성된 소설인 역사소설이 주를 이룬다. 이 글에서 이 시기는 1929년이다.
1929년 이후 김동인은 소설 96편 중 76편을, 평론 69편 중 58편을, 수필 147편 중 125편을 썼다. 김동인 문학의 과반은 수없이 연구되어온 단편소설들이 아니라 역사장편소설과 야담에 있고, 김동인의 문학이 가장 왕성했던 시기는 늘 주목되어온 1919년부터 1930년대 초반의 시기가 아니라 오히려 1930년대 이후였다.
발표매체의 경우 김동인은 1929년 이전 『창조』, 『영대』와 같은 동인지 위주에서, 1929년 이후 신문매체 위주로 지면을 옮겨갔다. 이것을 문학사의 차원에서 보면, 김동인의 문학적 자취는 동인지시대가 저물고 신문연재소설이 대두된 1930년대 이후의 문학장을 예증(例證)한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소설가로서의 김동인의 변화가, 그의 문학 및 문학론에 어떠한 파장을 발생시켰는가에 관한 것이다.
1920년 5월 『창조』에 발표한 최초기의 평론인 「자기의 창조한 세계」에서부터 김동인의 예술(문학)은 곧 창조였고, 이 사유는 김동인이 1920년대와는 전혀 다른 소설가가 된 그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었다. 그런데 문제적인 지점이 확보되는 것은 김동인의 창조가 단지 그의 문학적 생애 전반에 걸쳐 중요한 것이었다는 데에 있지 않다. 그것은 그의 창조가 그 창조의 요건으로서 요구하고 있었던 중요한 것들이, 종전과 같은 방식으로는 이뤄지지 못하게 된 상황에서, 김동인은 어떻게든 창조를 밀어붙여보려 했다는 데에 있다.
이 글은 김동인이 자신의 예술을 (전에 없던 것으로서의) 창조로 본다는 데서 비롯한 예술의 전위성에 대해 실현하려 했던 문학적 형상을 확인한다. 또한 창조의 조건에 대한 것으로서, 그 창조를 (불)가능하게 하는 약함에 대한 감각에 대해 살핀다. 김동인의 전기 단편소설들에서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는 죽음의 문제와 인간의 약함에 대한 문제였다. 다양한 인간군상이 드러내는 약함의 성격은 김동인의 소설들에서 동정(Sympathy)의 정동을 자아내는 것이자, 내포작가와 내포독자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연관이었다.
『창조』나 『영대』와 같은 동인지가 아닌, 신문에 소설을 쓰게 되면서 그 의도는 개인의 세계를 위협하는 한 도전에 직면하게 되고, 그 의도는 이전의 단편소설들과는 사뭇 다른 역사소설―10편의 역사장편소설과 『야담』에 발표한 야담(역사단편소설)들―을 쓰게 되면서, 자신이 창조한 하나의 이야기라는 정의는 어떤 위기에 직면하는 것처럼 보인다.
김동인 문학에서 신문이 한 전화의 계기로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이유는, 이 시기(1929년) 이전의 김동인 문학이 신문(연재소설)을 비판해왔으나 이후 그 문학이 신문에 연재되면서 발생하게 된 자기변호 또는 자기부정의 필요성 때문만이 아니다. 이 사건은 신문연재소설, 그리고 그것이 김동인에게 의미했던 대중성(상업성)의 문제가 그 종전의 김동인 문학이 기치로 내세우고 있었던 최대의 문제를 위협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위협은 소설가 김동인과 그 위협 이후 이뤄진 소설 창작 모두에서 위협에 의해 굴복하거나 위협에 저항하여 종전의 문학론을 밀어붙이는 이항대립적인 대응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그것은 김동인 문학에서 그간의 창조에 존재하던 ―예술지상주의로도 환언될 수 있는―예술 옹호론의 추상적인 성격을 쇄신하게 하는 계기로서 작동되어, 그의 문학은 전화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김동인 문학의 주체는 당당하고도 오만하게 여겨지는 창조자에서 끌어내려지면서, 독자대중과 신문편집자를 고려하는 전업소설가로 변화하게 된다. 김동인은 한 번도 전업소설가가 아닌 적이 없었지만, 종전의 창조에는 창조의 주체와 그 주체가 만들어낸 피조물만이 있었다면 이후의 창조에는 그 주체와 피조물을 승인하고, 그것에 재미나 감동을 느낄 독자들의 자리가 마련되어 있었다. 또한 1920년대 염상섭과의 논전을 비롯한 수많은 소설과 평론들에서 잘 드러나는 엄숙주의, 즉 소설가에게는 그 누구도 감히 소설에 대해 왈가왈부할 수 없다는 그의 태도는 자신의 문학이 독자에게 열리게 된 시기에, 비로소 자신의 소설에 대한 비평을 자연스레 승인하는 것이 되었다. 이러한 세속화 이후 김동인의 문학이 직업으로서의 문학의 차원에서 현대문학에 해당한다고 이 글은 판단한다. 최초 김동인이 창조의 요건으로 사유했던 모두가 즐길만한 한 세계란 역설적이게도 『창조』는 폐간된 지 오랜 후이자, 더는 문학을 전과 같이 위대한 것으로 주장하지 않게 되었을 때 달성되었다.
김동인 후기 소설에서의 창조는 그리하여 어떤 뒤틀림을 보여주면서도 동시에 그 창조가 그의 문학에 있어 끝내 지켜보고자 했던 것이었다는 지속적인 의지로 나타난다. 그것은 자신의 역사소설이 사실이 아닌 허구의 인물과 배경, 사건을 다루고 있음을 강조해왔던 여러 국면에서도 나타나고, 실제의 인물을 대상으로 할 때조차 그 인물을 전혀 새로운 인물로 고안함으로써 창조를 유지해나갔다.
그리고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문학을 창조라 보는 것이 단지 창작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한 것이 아닌, 한 인간이 예술을 통해 어떤 진실을 발견하려 했고 붙잡아보려 했던 것으로서의 개인의 영역에 있는 것이었으며, 그 개인의 영역은 가장 개인적이지 않은 환경에서 보편적인 데에로 나아갔다는 데 있다. 그리고 그 개인의 영역으로 고안된 창조는 다분히 동인지시대의 산물로서의 한 사유였지만, 개인의 순수한 창조를 와해시키려 드는 통속적인 지면으로 그에게 생각되던 신문매체에서 역설적이게도 그 구체성이 확보됐다.
그리하여 김동인 문학 그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는 창조라는 한 문제란 전기 문학과는 균질하지 않은 후기 문학에서 그 연속성이 드러나며, 창조에 대한 의지는 그가 창조를 전위적으로 밀어붙일 때보다 오히려 여전히 그것이 포기되지 않을 때의 문학에서 쉼없는 의지로서의 창조가 마침내 될 수 있었다.
This thesis takes the central issue of Kim Dong-ins literary work to be his concept of creation, with its complex impl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aims to reveal the nature of this creation and its restructuring into another form while exploring its meaning and significance.
Kim Dong-ins literature and its concept of creation both (were) transformed significantly at a certain moment during his career, and here I will refer to this change as a transition. This shift in both the quantity and qualities of his work begins with the changing face of Kim Dong-in from a writer of short stories only into a writer who continually wrote lengthy novels. In addition, while he originally conceived of fiction as nothing more than fictional stories written about imagined characters, set in the modern era, following this period of transition his primary literary work centers on people, events, and settings which really existed in the form of the historical novel. The transition I refer to here occurs in 1929.
Seventy-six of Kim Dong-ins ninety-six works of fiction, fifty-eight of his sixty-nine works of criticism, and one hundred twenty-five of his one hundred forty-seven essays were written after 1929. In other words, the vast majority of Kim Dong-ins literary output belongs not to the short stories which have been endlessly researched by scholars, but to his historical novels and yadam (unofficial or folk histories), and the most active period of his literary career was not the period of 1919 to 1930, which has received so much attention, but the period after 1930.
The media through which he presented his work also changed, from coterie magazines like Changjo (Creation) and Yeongdae (Altar) before 1929 to newspapers afterward. From a literary historical perspective, Kim Dong-ins literary path illustrates the close of the literary coterie era and the emergence of the newspaper serial novel that defines the literary world after 1930. However, the more important issue is how these changes to Kim Dong-in as a novelist rippled across his literature and literary theory.
Beginning with Jagiui Changjohan Segye (A World of Ones Own Creation), Kim Dong-ins first piece of literary criticism, published in Changjo in May of 1920, Kim Dong-in conceived of (literary) art as creation, and this conception continued even after he transformed into an utterly different novelist from the one he had been in the 1920s. But the salient point is not that creation remained important to Kim Dong-in throughout his literary life, but rather how he continued to push forward with creation even after the conditions demanded by that creation could no longer be fulfilled as they had been previously.
This thesis examines the literary form through which Kim Dong-in attempted to realize his avant-garde conception of art as creation (of the previously nonexistent), and identifies the sense for a certain weakness that makes creation (im)possible as one of the conditions for this creation. One of the most apparent characteristics of Kim Dong-ins earlier short stories is their concern with the problem of death and human weakness. The characteristic weakness displayed by the various peoples that populate Kim Dong-ins fiction constructs an affect of sympathy that forms the shared connection between implied author and implied reader.
Unlike in the coterie magazines Changjo and Yeongdae, when Kim Dong-in begins to write novels in the newspaper, he faces a direct challenge to the personal world, and he begins to write historical fiction―ten historical novels and the yadam published in the magazine Yadam―which contrasts significantly with his earlier short stories. Here his definition of fiction as a story created by the author appears to face a sort of crisis.
The reason that newspaper media holds an important position as an occasion of transition in Kim Dong-ins literature is not only that, having been critical of newspaper serial novels prior to 1929, he now faced a situation of self-defense or perhaps even self-denial as his own fiction began to be serialized. It is instead that newspaper serial novels, and the popular (or commercial) nature this signified for Kim Dong-in, threatened the most important issue that he had heretofore set forth as the banner of his literature. However, Kim Dong-in did not respond to this threat, either as a novelist or in his novels, in accordance with a binary opposition of either submitting to the threat or resisting the threat and insisting upon his former literary theory. Instead i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form the abstract character of the defense of art―an argument for the supremacy of art as found in Aestheticism―which was present in his previous literary creation. This rethinking is what constitutes the transition of his literature.
In stepping down from the pedestal of the confident or even arrogant creator, Kim Dong-in transformed into a professional novelist concerned with newspaper editors and the reading public. In fact, there was never a time when Kim Dong-in was not a professional writer, but while his previous conception of creation contained only the creative subject and that subjects creation, his later conception of creation acknowledged the subject and the creation but also provided a space for the readers who reacted with sympathy or interest to the creation. Moreover, the attitude of seriousness on display in his many debates with critics like Yom Sang-seop during the 1920s, which dictated that no one dare tell the author about their fiction, began to relax, and he naturally became able to accept criticism written about his fiction for the first time. I argue that after this secularization his work corresponds to modern literature as it occupies the realm of literature as a profession. Paradoxically, the world which everyone can enjoy, which Kim Dong-in had always thought of as a condition for creation, could only be achieved long after Changjo had ceased publication, when he no longer argued the greatness of literature as he had before.
The creation of Kim Dong-ins later fiction, though cycling through a number of contortions, appears as a continuous will that he sought to maintain throughout his literary works. This is evidenced in his emphasis in various situations that the events, settings, and people appearing in his historical novels are fictional rather than factual, and in the ways that he maintained his will to creation by reconceiving even true historical figures as entirely new people.
Even more importantly, Kim Dong-ins view of literature as creation was not merely an exaggera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act of composition, but a profoundly individual realm where the artist attempts to discover and seize some truth through art, and yet that individual realm only later reached the universal from within the least personal of environments. In other words creation conceived of as a personal, individual realm was in almost every way a product of the literary coterie era, but it could paradoxically only be realized concretely through what he had previously considered the popular pages set on destroying the pure creation of the individual, that is, the newspaper.
Thus the concept of creation which holds the central position in Kim Dong-ins literature, although his earlier and later work are not consistent, does display a continuity in his later work, and his will towards creation could only finally become an unceasing will not when he pushed creation to its limits, but in his later work when he continuously struggled not to give it up.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6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1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