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에밀 졸라의 『인간 짐승』에서 나타난 비이성적 인간: 고백을 중심으로 : Lhomme irrationnel dans La Bête humaine dÉmile Zola: Une étude sur le thème de laveu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인지

Advisor
정예영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19세기고백비이성욕망일탈결함(fêlure)서사dix-neuvième siècleaveuirrationneldésirtransgressionfêlurerécit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2020. 8. 정예영.
Abstract
본 논문은 에밀 졸라의 『인간 짐승』(1890)에서 나타난 고백의 분석을 통해 인간의 비이성적 본질에 접근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일반적으로 고백이 자유, 정화, 속죄 등 어떤 상황에 대한 해소나 해결을 목적으로 타인에게 의식적으로 죄를 털어놓는 이성적인 언술 행위를 일컫는다면, 작품에서 고백은 이와 같은 고백을 다양한 차원에서 위반한다. 고백은 반드시 언어적 형태로 나타나지도 않을뿐더러 주체와 청자 간 상호 관계의 차원, 주체의 내면적 차원, 고백의 외재적 효과 차원에서 이성을 구현하는 수단으로서의 고백, 해결책으로서의 고백을 위반하며 인간의 비이성을 드러내는 데 기여한다.
I장에서는 텍스트에서 나타난 고백의 구체적인 담론 분석을 통해 고백의 언어 및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먼저, 작품 전반부에서 세브린이 무의식적으로 루보와 카미라모트에게 비밀을 발설하는 장면을 중심으로, 상호 관계의 차원에서 발생하는 위반에 주목한다. 이후에는, 작품 후반부에서 세브린이 자크를 상대로 의식적인 고백을 이행하는 장면을 중심으로, 주체의 내면적 차원에서 일어나는 일탈에 집중한다. 세브린의 고백은 상대방을 범죄에 연루시키고 자신의 일탈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망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II장에서는 작품의 전체적인 서사에서 고백이 수행하는 역할을 중심으로 고백의 외재적 효과를 검토하고, 고백이 서사적 차원에서 일으키는 위반을 살펴본다. 살인 사건을 촉발하는 장치로서 세브린의 고백은 일정한 사건의 인과관계를 구성하며, 이는 작품에서 대표적으로 비이성적인 인물인 자크의 침묵과 상호 작용한다. 여기서 우리는 살인 사건을 발생시키는 세브린의 고백과 해소되지 않는 서사적 긴장감을 형성하는 자크의 침묵 ― 고백과 고백을 거부하는 힘 ― 이 만들어내는 서사적 구조에 주목하며, 서사적 특성을 논하기 위해 장 르누아르의 영화 『인간 짐승』(1938)를 함께 비교한다. 르누아르의 영화는 비언어적 요소인 시선을 통해 세브린의 고백 서사를 재구성할 뿐만 아니라, 자크의 침묵을 실패한 고백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졸라의 작품에 대해 새로운 서사적 가능성을 열어준다.
III장에서는 I장과 II장에서 살펴본 고백의 양상을 바탕으로, 고백이 지니는 궁극적인 의미를 도출한다. 『인간 짐승』에서 상황의 해결을 의미하지 않는 고백은 동시대에 성행하기 시작한 범죄 문학 장르에서 나타난 서사적 문법과 대비된다. 또한 작품에서 죄의식과 분리되어 나타나는 고백은 문명화된 인간 혹은 이성적 인간이 허상일 뿐임을 드러내며, 죽음 본능을 매개하는 언어로서 언어의 한계를 드러내는 데 기여한다.
『인간 짐승』에서 고백은 말하는, 이성적인 인간과 본능에 지배되는, 육체적인 인간의 경계를 해체한다. 본래 고백이 로고스, 즉 언어를 매개로 한 이성을 구현하는 것으로 간주된다면, 작품에서 고백은 오히려 인간의 비언어적, 비이성적 본질을 표면화한다. 고백은 작품에서 중요한 또 다른 주제인 결함(fêlure)과 연결되어, 단순한 논리나 이성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이 되며, 결함의 영향 아래 움직이는 인간의 삶을 구현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나타난다.
Cette étude vise à aborder la nature irrationnelle de lhomme, en se concentrant sur lanalyse de laveu dans La Bête humaine dÉmile Zola.

Si laveu, au sens général du terme, se réfère à un acte verbal où lon confesse consciemment ses pêchés à quelquun afin darriver à une résolution quelconque, quil sagisse de la délivrance, la purification ou lexpiation, laveu dans La Bête humaine sécarte dun tel acte rationnel. Non seulement laveu prend parfois une forme non verbale, mais, en outre, il savère être loin de représenter la raison ou la résolution. Laveu dans le roman transgresse laveu rationnel sous plusieurs aspects — au niveau interrelationnel, au niveau de la psychologie du sujet, et au niveau de leffet extérieur.

Dans la première partie de létude, nous examinons de près le discours de laveu dans le texte pour relever les caractéristiques de son langage et de son mécanisme. Dabord, nous traitons laspect inconscient de laveu qui surgit malgré lintention de Séverine, en analysant les interactions entre elle et ses interlocuteurs comme Roubaud et Camy-Lamotte. Ensuite, nous nous focalisons sur les aveux conscients de Séverine, vis-à-vis de Jacques. Ici, nous observons la transgression qui se produit au niveau du sujet, relative à la motivation de laveu. Les aveux de Séverine se démarquent de la confession pénitentielle par la manière dont ils sont utilisés comme moyen dimpliquer le destinataire dans le meurtre, de faire avancer le crime et de satisfaire les appétits déviants du sujet.

Dans la deuxième partie sont examinés les effets externes de laveu, cest-à-dire son rôle narratif. En tant quoutil narratif déclenchant une série de meurtres, les aveux de Séverine instaurent une certaine causalité narrative. Il est intéressant de voir comment ils interagissent avec lautre élément important du récit, le silence de Jacques. Nous constatons la structure narrative formée par laveu et le rejet de laveu — lun déchaînant les actions et lautre créant une tension narrative. Ici, en abordant des caractéristiques narratives, nous discutons également du film La Bête humaine (1938) de Jean Renoir, où le récit de laveu est reconstruit autour du thème du regard et le silence de Jacques réinterprété comme un aveu raté, ce qui ouvre une nouvelle possibilité narrative pour lœuvre de Zola.

Dans la troisième partie, en se fondant sur les divers aspects de laveu examinés dans la première et deuxième partie, nous tentons dexpliciter la signification de laveu dans ce roman. Laveu dans La Bête humaine, qui napporte aucune résolution, contraste avec la grammaire narrative générale du roman policier. En plus, complètement séparé du sentiment de culpabilité, il sert à mettre en lumière le mensonge de lhomme civilisé. Finalement, en tant que médiateur de linstinct de mort, laveu contribue à révéler les limites du langage.

Dans le roman, laveu fait disparaître la frontière entre lhomme parlant et rationnel et lhomme physique et instinctif. Si laveu est généralement considéré comme manifestation du logos, laveu dans le roman de Zola éclaire plutôt lessence non verbale et irrationnelle de lhomme. Laveu, lié à lautre thème important de la fêlure, dépasse la logique ou la raison, et devient lacte incompréhensible reflétant le mystère de lâme humain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8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9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