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불안 개념의 인지적 구조에 대한 다중 관점에서의 고찰 : Exploring the cognitive structure of anxiety from multiple perspectiv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홍기-
dc.contributor.author오지현-
dc.date.accessioned2020-10-13T03:56:41Z-
dc.date.available2020-10-13T03:56:41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123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6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231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인지과학전공, 2020. 8. 김홍기.-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중 관점에서 불안 개념의 인지적 구조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불안은 인간의 출생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다. 21세기는 세계보건기구에서 전염병의 시대라고 규정 지은 바 있으며, 빠르게 확산되는 신종감염병에 대한 사람들의 불안과 공포는 점차 심해지고, 사회 경제 외교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불안 개념을 구성하는 다양한 관점들은 객관성(Objectivity)과 주관성(Subjectivity)의 정도(Degree)로 표현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객관과 주관의 축 위에서 연구의 관점을 서서히 이동시켜 가며 불안의 개념적 구성 요소를 살펴본다. 전체 학문 커뮤니티에서 특정 학문 집단의 지식 체계를 거쳐 연구자 개인의 차원으로 수렴해 나가고, 줌 인(Zoom-in)과 줌 아웃(Zoom-out) 전략을 교대로 사용하기도 하면서, 객관과 주관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다중 관점의 연구를 시도한다.

예컨대 2장에서는 심리학, 교육학, 의학 등 전체 학문 커뮤니티의 문헌을 총괄하여, 빈번히 사용되는 단어들을 벡터 공간상에 임베딩하고 시각화 함으로써 불안과 관련성이 높은 키워드를 추출한다. 이는 다양한 관점에서 서술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탈관점적이며 가장 객관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아, 애착, 심리, 효과, 교육, 만족도, 죽음 등으로 추출된 양적 정보는 질적으로 가치 있는 부분을 미처 포함하지 못하기도 한다. 3장에서는 지각된 대상을 강조하는 서양의학과 지각의 경험을 중시하는 동양의학의 의학적 지식에서의 관점을 살펴본다. 의학 지식에서 톱다운(Top-down) 방식으로 체계화되는 질병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불안 개념 분류의 관점을 다루고 있다. 4장은 개인의 주관성이 가장 높은 관점에서의 연구로, 연구자는 에 나타난 불안과 현실의 불안을 연관지으며 내러티브 소설과 삶을 모두 적극적으로 경험한다. 이때 연구자는 불안을 직접 느끼기도 하고, 불안을 느끼는 자신이나 타인 혹은 불안한 환경을 메타적인 시선에서 관찰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불안과 공포의 농도적인 차이, 불안에 대한 미래 전략의 중요성, 불안의 없음과 불안으로부터의 자유는 다르다는 것 등 불안의 숨겨진 개념을 유추할 수 있게 된다.
-
dc.description.abstractPeople are susceptible to anxiety across their lifespan. At this day and age, where it is defined as the era of epidemics, peoples vulnerability to feel anxiety and fear continues to escalate at an alarming rate. To further understand the concept of anxie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gnitive structure of anxiety from multiple perspectives.

Multiple perspectives about anxiety can be examined through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research methodologies. From Chapter 2 to 4, I will discuss the conceptual structure of anxiety by gradually shifting the perspectives of research along the axis of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Each chapter deals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of anxiety along this axis. Chapter 2 examines anxiety through an objective aggregation of literature from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Data-driven). Chapter 3 explains anx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 single academic group (Knowledge-driven). Finally, Chapter 4 explores anxiety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 researcher (Experience-based). In this way, it attempts to understand anxiety from multi-convergent perspectives that liberally cross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In Chapter 2, literature from a wide variety of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Psychology, Pedagogy, and Medicine, is aggregated. Keywords are then extracted by embedding and visualizing frequently used words in a vector space. Aggregating text from such a wide variety of disciplines facilitates an objective data-driven analysis, unbiased by the perspective of any single academic discipline. However, this quantitative information (Self, Attachment, Psychology, Effectiveness, Education, Satisfaction, and Death) comes at the expense of qualitatively valuable information. Chapter 3 examines the perspectives of diagnostic classification from two perspectives; Western medicine which emphasizes perceived objects, and Korean medicine which emphasizes the experience of perception. This chapter examines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cept of anxiety based on a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organized through a Top-down approach grounded in medical knowledge. Chapter 4 explores anxiet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subjectivity. I actively experience both narrative novels and life by relating the anxiety expressed in to the anxiety of reality. In this chapter, I tried to feel anxiety directly, observe patients anxiety, and reflect on situations that make us anxious from the third-person point of view. This allows insight into the hidden concept of anxiety, such as the degree difference of intensity between anxiety and fear, the importance of future coping strategies for anxie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a lack of anxiety and freedom from anxiet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1
제 2 절 문제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2
제 3 절 논문의 구성 4

제 2 장 텍스트에서 추출되는 불안 개념의 인지적 구조 6
제 1 절 자료수집 7
제 2 절 워드 임베딩 9
제 3 절 데이터 시각화 13
제 4 절 각 분과 연구에서 추출되는 불안 개념의 인지적 구조 15

제 3 장 지식에서 도출되는 불안 개념의 인지적 구조 21
제 1 절 서양의학과 동양의학의 질병 인식 차이 22
제 2 절 동양의학의 불안 24
제 3 절 서양의학의 불안 32
제 4 절 의학적 지식에서 도출되는 불안 개념의 인지적 구조 41

제 4 장 내러티브로 유추할 수 있는 불안 개념의 인지적 구조 45
제 1 절 내러티브 소설과 삶의 상관관계 46
제 2 절 알베르 카뮈의 에 나타난 불안 47
제 3 절 경험에서 유추 가능한 불안 개념의 인지적 구조 54

제 5 장 결 론 60

참고문헌 65

Abstract 74

감사의 글 77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불안-
dc.subject인지적 구조-
dc.subject다중 관점 연구-
dc.subject주관과 객관-
dc.subject신종감염병-
dc.subject내러티브-
dc.subjectAnxiety-
dc.subjectCognitive Structure-
dc.subjectMultiple Perspective-
dc.subjectObjectivity-
dc.subjectSubjectivity-
dc.subjectEmerging Infectious Disease-
dc.subjectNarrative-
dc.subject.ddc153-
dc.title불안 개념의 인지적 구조에 대한 다중 관점에서의 고찰-
dc.title.alternativeExploring the cognitive structure of anxiety from multiple perspective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OH JIHYEON-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협동과정 인지과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contributor.major인지과학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123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123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