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세먼지 관리 정책 시행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호흡기 질환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흥철

Advisor
권일웅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세먼지미세먼지 관련 질병미세먼지 관리 정책서울시 미세먼지 관리 정책호흡기 질환미세먼지 매개역할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0. 8. 권일웅.
Abstract
Fine dust is seriously affecting the people's economic losses as well as national health. Therefore, we studied how the fine dust management policy affected the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and determined how much the medium effect of fine dust was.
The period of this study is between 2015 and 2019 and this study determined criteria of fine dust management policy as July. 2017. when fine dust define fine dust as disaster and fine dust reduction measures was implemented. The data were based on the number of days of patients who visits at the local clinic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implementation of fine dust control policies was made of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fine dust as parameter, weather conditions, years, and months as control variables. The parameter is PM10. The diseases of the dependent variables is respiratory disease such as acute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other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and asthma.
Parameters and control variables are monthly average values, and the number of days to visit hospital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s monthly sum.
The research model analyzed the self-governing district and month by Panel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zed the change in the number of days of visiting hospitals by disease as a medium effect of fine dust.
The respiratory disease that is analyzed in this study decreased the number of visiting days of hospital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PM10 decreased 5.14 μg/m3 after the fine dust management policy, and the number of visiting days decreased due to the 10 major policies of fine dust. PM10 served as an indirect medium of up to 18% for acute phase infection, 12% for other acute level infections, and 11% for asthma.
According to the overall ratio,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days visiting the country due to the fine dust management policy has more direct effects than the fine dust.
This actually indicates that fine dust does not affect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visiting days in the fine dust management policy, but rather has more effect on the policy itself.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itizens are more thorough in self-health care and prevention than before, such as the dailyization of wearing masks, going out and washing their hands, by denouncing practical policies such as fine dust reduction measures, which are more powerful than before, and considering fine dust as a national disaster.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respiratory diseases increases due to fine dust, medical prescriptions and medicines have developed accordingly, which may have reduced the number of days to visit the hospital.
The medium effect was highest in the month without applying the time lag. This showed that the effect of respiratory diseases gradually decreased after a month, and considering only the policy dummy variables, the regression coefficient was the highest when the time difference was applied after a month.
Due to the fine dust management policy, fine dust has improved a lot compared to the past,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days of visiting hospitals has decreased and fine dust affected decrease of visiting hospitals indirectly. However, the portion of it was not as much as we expected that fine dust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ne dust-related diseases due to fine dust policies.
Through this study, we can know that dust management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steadily and more active measures will be needed in Seoul in Korea.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that it proved statistically with health data, fine dust data, and weather data that PM10 plays an 11-18% role in respiratory diseases.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가 2020년부터 세계를 강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불편과 시련을 겪고 있지만, 미세먼지 측면에서는 그 어느 해보다 많이 좋아진 것 같다. 하지만 작년까지만 해도 매년, 특히 봄과 겨울은 미세먼지가 심각하여 외출 자제, 마스크 착용, 차량 2부제, 공해차량 운행제한 등 우리 생활에 많은 불편과 어려움을 가져다주었다. 정부에서도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미세먼지 관련 정책을 시행해 왔었고 작년에는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미세먼지 10대 정책을 세운 2017년도 7월 부터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서울시 미세먼지 관리 정책의 실효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의 방법은 정책의 직접적인 효과보다도 미세먼지가 영향을 주는 질병들의 내원일수 변화를 관찰하여 미세먼지 정책으로 미세먼지가 줄었다면 미세먼지의 관련 질병 역시 줄었을 거란 가정하에 미세먼지의 대표적인 관련 질병인 호흡기 질환의 급성상기도 감염, 기타 급성하기도 감염, 천식의 내원일수 변화를 추적하여 정책 시점을 전후하여 내월일수 감소에 미세먼지의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은 서울시 자치구 25개 지역을 기준으로 월별 기준으로 내원일수, 미세먼지 농도, 기상 요소 값의 평균 값을 취하였다. 해당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 변화로 그 지역의 의료기관 방문을 관찰하기 위해 요양기관은 의원으로 한정하였고 미세먼지는 PM10을 기준으로 관찰하였으며 통제변수는 기상 요소 온도, 습도, 풍속, 최대풍속, 강우량, 일조량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2017년 7월 이후부터 호흡기 질환의 내원일수는 실제로 감소하였고 미세먼지 또한 감소하였다. 하지만 내원일수 감소에 미세먼지의 영향은 기대만큼 크지 않았다. 월 시차 적용에도 미세먼지 영향은 별로 나타나지 않았고 미세먼지 발생 당월에 당월 내원일수를 분석했을 때 가장 많은 11~18%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정책 시점을 기준으로 호흡기 질환의 감소는 미세먼지의 간접적인 효과보다는 정책이 미세먼지를 재난으로 인식하여 외출을 자제하거나 마스크 쓰기를 생활화하는 등 건강관리와 예방에 철저하게 한 다른 정책의 직접적인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그것은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의료 기술과 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내원일수가 줄어들었거나 굳이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좋은 약으로 치료하였을 수 있다.
어쨌든 올해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미세먼지가 많이 줄겠지만, 과거 우리나라의 미세먼지는 OECD 다른 국가와 비교해도 수치 면에서 아직 많은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 정책을 미세먼지 관련 질병을 가지고 서울시 미세먼지 정책의 시점을 전후로 미세먼지 질병 감소에 미세먼지가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간접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예상보다는 질병 감소에 미세먼지의 영향이 적었지만 보건·의학적으로 측면에서 미세먼지 정책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87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9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