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housing support program on residential mobilit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순은-
dc.contributor.author김여정-
dc.date.accessioned2020-10-13T04:12:57Z-
dc.date.available2020-10-13T04:12:57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215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09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153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0. 8. 김순은.-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우리나라는 주택보급률이 100% 이상으로 지역별 차이는 있으나, 양적측면에서의 주택부족 문제는 다소 해결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내집마련을 원하는 서민이 82%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자가거주하는 가구가 57%에 불과한 것은 주택점유형태 측면에서 서민들의 주거안정성은 개선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주거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나 동 프로그램들이 실질적 정책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점유형태 측면의 주거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의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어떠한 정책효과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시행하여 각 프로그램별 바람직한 정책추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주거행동이론에 따르면 가구는 자신들이 처한 주거현실과 비교대상 가구 혹은 주거의식을 끊임없이 비교하는 과정에서 주거결함을 인식할 경우 주거이동 등 주거조절행동을 취하고, 경제적 여건 등의 제약이 있을 경우 일시적으로 주거의식을 낮추어 적응하는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또한 개인은 자신이 가진 선택 대안 중 자신의 효용을 가장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바 주거점유형태나 주택유형의 선택도 이러한 행동이론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주거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정부의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개인이나 가구가 주거점유형태를 선택하는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연구분석 하고자 하였다.

우선 주거지원 프로그램으로 주거안정월세대출지원, 전세자금대출지원, 주택구입자금대출지원, 공공임대주택지원, 주거급여지원 프로그램 이용 여부를 독립변수로 두었다. 종속변수인 주거이동을 주거점유형태의 선택이라는 측면에서 인식하여 월세에서 전세 및 자가로 이동하는 것을 상향이동으로, 자가에서 전세 및 월세로 이동하는 것을 하향이동으로 정의하여 각각의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상향, 평행, 하향으로 주거이동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거안정월세대출을 이용할수록 주거 평행이동하기 보다 주거하향이동 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전세자금대출 및 주택구입자금대출을 이용하는 가구는 주거평행이동하기보다 주거상향이동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공공임대주택을 이용하는 가구의 경우 주거평행이동하기 보다 주거하향이동할 가능성은 높은 반면, 주거상향 이동할 가능성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거급여는 주거평행이동 하기보다 주거하향이동 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은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안정월세대출의 정책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던 점을 감안할 때, 지역에 따른 대출한도 차이를 두거나, 사회초년생의 기준을 상향조정 하는 등의 정책보완을 통해 주거안정월세대출의 실질적 수요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전세자금대출과 주택구입자금의 대출은 주거상향이동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바 현재의 기조를 유지하거나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대출대상 및 대출한도의 과도한 확대는 전세가격이나 주택 가격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공공임대주택은 다양한 계층 및 세대의 주거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임대주택을 계속 공급하되, 소득 1~2분위의 주거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영구임대 등의 공급물량 확대를 통하여 이들 계층의 주거상향이동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주거급여프로그램은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장치이므로 지원대상의 확대와 함께 민간 임대 주택의 기준임대료 현실화 등의 정책적 조치가 필요하다.
-
dc.description.abstractCurrently, the housing supply rate in korea is more than 100%, despite regional differences, the housing shortage problem in terms of quantity has been resolved some what. However, the fact that only 57% of the households live on their own despite more than 82% of common people wanting to haver their own house means that the housing stability of common people is not improving in terms of tenure type.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housing support programs,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whether these programs have practical policy eff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mpirical analysis of What policy effects does the government's housing support program have to ease housing instability in terms of tenure type, thereby drawing suggestions for desirable policy implementation directions for each program

According to the theory of housing behavior, households take housing control actions such as housing movement if they recognize housing defects in the process of constantly comparing housing realities or housing consciousness with those they face, and if there are restrictions such as economic conditions, they temporarily lower their housing consciousness. It can also be said that the choice of tenure type is based on this theory of behavior, as individuals act in a way that maximizes their utility the most. Based on the theory of behavior above, how the Government's housing support programs affected the choice of tenure type for individuals or households was studied.

First of all, the use of housing support programs such as monthly rent loan support, jeonse(lump-sum housing lease) loan support, housing purchase loan support, public rental housing support, and housing benefit support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 dependent variable, housing transfer, was recognized in terms of the choice of tenure type, and the effect of each housing support program on upward, parallel and downward movement was analyzed by defining monthly rent to jeonse or as the upward movement, and moving from owning house to jeonse or and monthly rent as a downward m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ore monthly rent loans are used, the more likely it is to move downward than parallel, while households using jeonse loans and home purchase loans are more likely to move upward than parallel. Households using public rental housing were more likely to move downward than parallel, while those using public rental housing were less likely to move upward. Lastly, it was shown that housing benefits are less likely to move downward than parallel.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iven that the effect of monthly rent loan has not been derived, it is necessary to meet the actual demand for monthly rent loan through policy supplementation such as different loan limits depending on the region(capital area-locall area) or raising the standard for beginners in society. Second, it is desirable to maintain or expand the current stance as jeonse loans and housing purchase loa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upward movement. However, excessive expansion of loan targets and loan limits may result in a rise in jeonse prices or housing prices, so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Third, public rental housing needs to continue to supply rental housing that can meet the housing needs of various classes and generations, but it is necessary to induce upward movement of these classes by expanding the supply of permanent rental housing for the vulnerable in the first and second quarters of income. Fourth, the housing benefit program is a minimum device that can guarantee the housing stability of the vulnerable class of housing, so policy measures such as expanding the scope of support and realizing the standard rent of private rental housing are need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구성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과 구성 6

제 2 장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8
제 1 절 이론적 논의 8
1. 주거안정성이론 8
2. 주거이동이론 10
3. 주거행동이론 12
4. 주거점유형태 선택이론 13
5. 주거지원 프로그램 개념 및 추진현황 16
제 2 절 선행연구 검토 31
1. 주거안정성에 대한 연구 31
2. 주거점유형태 선택에 대한 연구 32
3. 주거점유형태 전환에 대한 연구 36
4. 주거지원정책에 대한 연구 38
제 3 절 본 연구의 차별성 40

제 3 장 연구방법 41
제 1 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의 설정 41
1. 연구모형 41
2. 연구가설의 설정 42
제 2 절 분석자료 43
제 3 절 분석방법 43
제 4 절 변수의 구성 44

제 4 장 분석결과 46
제 1 절 기술통계분석 46
1. 응답자 특성 46
2. 거주관련 특성 48
3. 주거지원 프로그램 이용현황 49
제 2 절 로지스틱 회귀분석 50
1.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50
2. 지역별(수도권-비수도권) 비교분석 55
제 3 절 가설의 기각 및 채택 58
제 4 절 결과의 해석 59

제 5 장 결론 및 시사점 60

제 6 장 제언 63

참고문헌 64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주거지원 프로그램-
dc.subject주거이동-
dc.subject주거점유형태 선택-
dc.subjectHousing Support Program-
dc.subjectResidential Mobility-
dc.subjectChoice of tenure type-
dc.subject.ddc352.266-
dc.title주거지원 프로그램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the effect of housing support program on residential mobilit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Yuh-jung-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2153-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215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