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성대표성이 공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주섭

Advisor
구민교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여성대표성여성관리자비율공기업경영성과Female RepresentationRatio of Female ManagersPublic EnterpriseManagement Performanc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0. 8. 구민교.
Abstract
정치, 경제, 사회 등 각 분야에 걸쳐 여성인력의 참여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의 경우 적극적으로 여성을 채용하고 활용함으로써 고용률을 높이고 경제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증가하는 여성인력에 대한 각 기관의 채용 및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2019년 현재 우리나라 경제시장에서 여성근로자 비율은 37.38%, 여성관리자 비율은 19.76%에 불과하며, 특히 339개 공공기관의 여성관리자 비율은 18.79%로 산업평균을 밑도는 수준이다. 또한 대한민국은 2018년 유리천장지수 조사에서 OECD 29개국 중 5년 연속 최하위에 그쳤다.
일찍이 정부는 남녀고용평등법을 기반으로 적극적 조치를 통하여 여성인력 확충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박근혜정부와 문재인정부는 연속된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계획」추진으로 공공부문에게 여성대표성 제고의 마중물 역할을 맡기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여성대표성 제고가 정치적 올바름에만 경도된 구호성 정책에 그치지 않고 기관의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35개 공기업을 대상으로 독립변수인 여성대표성을 여성관리자 비율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는 대표적 경영성과 지표인 노동생산성, 매출액순이익률 및 청렴도 평가결과로 설정하였다. 통제변수로 여성근로자 비율을 설정하여 여성관리자 비율만의 효과성을 정밀히 분석하고자 하였고, 그밖에 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 익히 알려진 기관연령, 기관규모, 직원평균보수, 부채비율 등의 통제변수를 추가하였으며, 시장형/준시장형의 공기업 유형, 에너지공기업 여부, SOC공기업 여부를 더미변수로 추가하였다.
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여성대표성은 종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종속변수인 노동생산성과 매출액순이익률에 독립변수인 여성대표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에 통제변수인 여성근로자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의 의도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분석 결과 여성대표성의 증가는 공기업의 경영성과(노동생산성, 매출액순이익률, 종합청렴도, 외부청렴도, 내부청렴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분석 결과의 해석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낮은 여성관리자 및 여성근로자의 비율, 유리천장과 유리장벽이 결합된 보직 차별, 남성 위주의 조직에 대한 과잉동조화 현상, 여전히 높은 가사노동과 출산 및 육아의 부담,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양성을 수용하지 못하는 조직문화 등을 여성대표성 제고가 경영성과의 견인으로 이어지지 못한 잠재적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한계로는 연구 대상의 협소한 공간적 범위, 경영공시․경영평가․정보공개 등에서 입수한 2차 계량지표의 단조로움, 일부 중앙부처와 공기업의 정보공개에 대한 폐쇄적 태도 등을 들 수 있다.
공기업뿐만 아니라 준정부기관도 포함하여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여 분석의 폭을 넓히는 것과, 여성대표성이 기획재정부의 고객만족도 평가 결과나 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등 경영성과 지표 전반에 걸친 종합적 분석을 시도하는 것은 대단히 흥미롭고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후속연구의 몫으로 남기고자 한다.
The participation of female worker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is gradually increasing. It is true that major advanced countries have actively hired and utilized women to increase employment rates and drive economic growth, and that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overall attitude of each institution's recruitment and management of the growing number of female workers is being changed.
However, as of 2019, only 37.38 percent of female workers and 19.76 percent of female managers in the nation's economic market, with the ratio of female managers in 339 public institutions in particular standing below the industrial average at 18.79 percent.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ranked the lowest in the 2018 Glass-ceiling index among 29 OECD countries for the fifth consecutive year.
Earlier, the government had made continuous efforts to expand the number of female workers through the affirmative action based on the Gender Equality Act. In particular government led by Park Geun-hye and Moon Jae-in, the government planning female delegate of public sector to serve as the necessity of priming of the promotion of female representation to the public sector.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f whether the enhancement of female representation in the public sector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institution, not just on political correctness.
From 2015 to 2019, through 35 public enterpris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the ratio of female managers, while its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the result of evaluation of labor productivity, ratio of net income to net sales, and transparency,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indicators of management performance. By setting the ratio of female workers as a control variable, the effectiveness of the ratio of female managers was to be analyzed in detail, and other control variables such as the age of institutions, size of institutions, average remuneration of employees, and debt to equity ratio, which are well known as factors that a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companies, were added to the types of public enterprises of market and quasi-market types, whether energy or non-energy enterprises, and whether SOC or non-SOC enterprises as dummy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emale representation, an independent variable,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ny of the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female representation was analyz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labor productivity and the ratio of net income to net sales(even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control variable, the ratio of female workers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me independent variables, showing a different pattern from the study's intention.
The analysis rejected all the hypotheses that Increasing female representation of public enterprise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labor productivity, the ratio of net income to net sales, overall transparency, external transparency, and internal transparency)."
In interpret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absolute low proportion of female managers and female workers, position discrimination combining glass ceiling and glass wall, the phenomenon of over-coordination with male-oriented organizations, the still high household labor, the burden of childbirth and childcare, and finally,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does not accommodate diversity were suggested as potential factors that the increasement of female representation did not lead to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public enterprises.
Limits of research include the narrow range of space of research subjects, the monotony of secondary metric indices obtained from management disclosure, management evaluation, and information disclosure, and the closed attitude of some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s and public enterprises to information disclosure.
Expanding the scope of analysis by expanding the space span of research not only for public enterprises but also quasi-government agencies, attempting a comprehensive analysis across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s, such as analyzing the impact of female representation on the results of the customer satisfaction assessment or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will be very interesting and will be left as follow-related research.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953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2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