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관료나르시시즘이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경선

Advisor
이수영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관료나르시시즘자신감혁신행동직무성과the narcissism of the bureaucratsself-confidenceinnovation behaviorjob performanc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20. 8. 이수영.
Abstract
관 주도의 발전국가 이력과 공무원에 대한 높은 직업적 선호라는 한국행정의 특수한 맥락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관료 개인의 나르시시즘이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동안 나르시시즘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정신분석학적 개념에서 출발하여 민간CEO의 기질요인으로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행정학 분야에서는 생소한 편이다. 또한 공무원의 내적 요인과 관련하여 공공봉사동기·자기효능감과 같은 긍정적 심리기제에 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으나, 공무원의 자신감, 우월감, 과시성향과 같은 자칫 부정적일 수 있는 심리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인적관리 측면에서, 관료사회의 업무의욕을 높이기 위해 관료나르시시즘을 촉진하는 것이 적절한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민간대비 공무원이 갖는 업무능력 자신감, 타 공무원 대비 공무원이 갖는 업무능력 자신감, 공무원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만족감을 독립변수로, 혁신행동과 직무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46개 중앙부처 및 17개 광역자치단체에 속해있는 일반직 공무원 4,000명이며, 한국행정연구원의 2018년 「공직생활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에 대해서는 현직자 7명을 대상으로 부가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타 공무원 대비 업무능력 자신감은 혁신행동과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고, 특히 혁신행동에 대해 비교적 강한 영향력을 미쳤다. 이는 공무원 조직 내에서 돋보이고 타인에게 관심과 선망의 획득을 얻기 위한 나르시시즘 기제의 발현으로 혁신행동이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우수 직원에 대한 파격적 포상, 홍보를 통해 조직 내 경쟁을 유발하고 사기를 높여 공무원의 대내 자신감을 적극 고양시킨다면 혁신행동이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적극적 명예확보). 또한 적극행정에 대한 면책, 혁신직원에 대한 리더의 보호, 혁신행동으로 인한 업무부담 가중 해소 등 혁신으로 인한 불이익 혹은 불명예를 해소해주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도 혁신을 위해 필요할 것이다(소극적 명예확보). 다만, 타 공무원 대비 업무능력 자신감도 과도할 경우 조직 내 불협화음을 만들어내 혁신행동과 조직성과에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미침이 나타났으므로 적정수준의 나르시시즘 촉진이 필요하다.
둘째, 민간대비 업무능력 자신감은 개인성과·조직성과에 비교적 강한 긍정적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이는 민간대비 업무능력에 기반한 공무원의 주관적 자신감이 실제로 개인성과와 조직성과룰 증진시키는 기제로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민간부문과 비교해도 앞서나갈 수 있는 업무능력을 배양하여 공무원의 대외 자신감을 높이는 접근이 필요하다. 민간대비 강화할 학습 분야는 무엇인지에 대한 개인별 탐색과정과 후속교육, 민관 인사교류를 대폭 늘려 공무원의 정책전문성을 제고시키는 방법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지위 만족감은 혁신행동과 개인성과에 부정적 영향력을 보였다. 이는 사회적 지위에 대한 만족, 안도감으로 안정감을 느껴, 혁신 필요성을 과소평가하게 되고 위기극복을 위한 기업가정신이 민간과 달리 잘 발현되지 않아 혁신행동을 줄이고 개인성과 달성에 소홀하게 될 가능성을 말해준다. 다만 사회적 지위 만족감도 일정수준 이상 확보될 경우 혁신행동과 개인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이 나타났다. 사회적 지위 만족감의 경우 공무원 개인의 자존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등 다른 심리적 부분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공무원의 사회적 지위 만족감이 적정한 수준으로 만족 구간에서 머무르며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한계로는 특권의식, 착취성 등과 같은 나르시시즘의 다양한 측면을 연구에 모두 포괄하지 못했다는 점, 직급별 고르지 못한 표본 분포로 인해 관료나르시시즘에 있어 중요한 요인일 수 있는 직급과 관련하여 연구를 진행하지 못했다는 점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료나르시시즘의 세 요인이 공무원의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무원들에게 눈에 보이는 경제적 보상이나 지원 못지않게 대내외적으로 심리적인 인정과 존중도 중요하게 받아들여짐을 보여준다. 인적관리 시에 관료 개인의 나르시시즘 측면에도 관심을 기울여 공공 부문의 혁신과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the Korean context of bureaucratic developmental state and occupational preference for public official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Narcissism of bureaucrats on the innovation-behavior and job performance.
Until now, the academic approach to the narcissism has been based on the psychoanalytic theory and most of them are the study on the effect of CEO's personality trait on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approach to public administration is rather unfamiliar. In reference to inner factor of public officer,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about positive psychology such as self-efficacy, public service motivation. However, in the meantime, negative psychology such as superior self-confidence and a tendency of showing-off was not discussed well. Thus, in perspective of human management, this paper examines whether promoting the narcissism of the bureaucrats help public officers make their drive to work high.
This study estimated a model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the self-confidence of work ability in comparison to private sector', 'the self-confidence of work ability in comparison to other public officer', and 'the satisfaction with public officer's social status' are independent variables, and 'innovation-behavior' and 'job performance' are dependent variabl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4,000 public servants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s, using the 2018 survey data on public servant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is study carried out interviews with 7 incumbents about the result of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lf-confidence of work ability in comparison to other public officer' has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behavi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specially strong effect on innovation-behavior. This suggests that the narcissistic mechanism, enjoying becoming an object of attention and envy, could trigger off innovation-behavior in public organization. By providing a great reward for excellent staff and boosting competitiveness and morale, it could help public officer enhance their interior confidence and innovation-behavior.(securing "active" honor) And, to encourage innovation-behavior, it is essential that removing disadvantage or dishonor by supplying immunity about 'positive administration', protection for the staff who stand lead in innovation, and relieving overload of work due to innovation-behavior are offered.(securing "passive" honor) However, in the case of excessive self-confidence contrast to other public officers, it could foster conflict within an organization and degrade innovation-behavi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o optimum level of the narcissism is needed.
Second, 'the self-confidence of work ability in comparison to private sector' has positive effect o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subjective self-confidence based on work ability in comparison to private sector actually could be a mechanism to enhanc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inspiring external confidence, it is necessary to take an approach to develop work ability contrast to private sector. Public officers need to go through individual exploring process and follow-up education about learning field which they want to study more. Public-private personnel exchange also could be a good way to raise their specialty.
Third, 'the satisfaction with public officer's social status' has negative effect on innovation-behavior and personal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social status makes public officers feel content with their job, underestimate the necessity of innovation, and degrade entrepreneurship which help overcome a crisis. But, if satisfaction with social status reach a high standard, it has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behavior and personal performance. Satisfaction with social status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has an chain-effect on public officer's mentality such as self-esteem,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it is necessary to take a more cautious approach. Taking a long-term view, it is recommended to make 'satisfaction with social status' remain in 'satisfying section' and have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behavior and personal performance.
However, there are a few things to be complemented. This study doesn't embrace all characteristic of narcissism such as a sense of entitlement, exploitativeness, etc. And there was a limitation of data in high position, so this study doesn't identify the effect of position which could be a crucial factor to the narcissism of bureaucrats.
Above all, this study brought the spotlight onto the narcissism of the bureaucrats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on innovation-behavior and job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psychological part such as recognition and respect could be more valuable than financial reward.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begin to pay attention to the narcissism of bureaucrats in human manage system, and let the narcissism of bureaucrats lead to innovation and high performance in public sector.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101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27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