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명말청초 강남지역 조원가의 조원이론 연구 : A Study on the Theory of Chinese Gardeners in Jiangnan Area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 Focusing on Wen Zhenhengs Zhangwuzhi and Li Yus Xiangqingouji –
문진형(文震亨)의 『장물지(長物志)』와 이어(李漁)의 『한정우기(閑情偶寄)』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ZHANG LIN

Advisor
성종상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명말청초중국원림문인사대부공간구성원림요소조원사상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Chinese GardenLiteratiSpace CompositionGarden ElementsGardening Thought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2020. 8. 성종상.
Abstract
명말청초(明末清初)는 상업경제의 발달과 사회의 급변으로 중국 원림사의 전성기(全盛期)로 조원가들의 활약이 두드러진 시기로 인지되고 있다. 특히 소주(蘇州)와 양주(揚州)를 중심으로 한 강남 일대는 사가원림의 조영(造營)이 성행했던 지역으로 알려졌다. 이 시기에 활동한 대표적인 원림건축이자 조원가들은 장남원(張南垣; 1587-1673), 계성(計成; 1582-미상), 문진형(文震亨; 1585-1645), 이어(李漁; 1611-1680) 등이 있다. 이들은 강남지역의 번화한 도시에서 활동하며 수많은 명원(名園)을 조영하였고, 축적된 조원 경험을 바탕으로 후세에 참고 가치가 높은 저작을 남겼다. 이 중에서 널리 알려진 조원 저서는 계성의 『원야(園冶)』, 문진형의 『장물지(長物志)』와 이어의 『한정우기(閑情偶寄)』가 있다. 지금까지 중국 전통원림의 이론연구는 상기 저서의 분석과 활용에 치중되어 있으며, 전통원림 설계, 시공, 향유방식 등의 근거가 되는 이론적 논의 역시 명말청초에 정립된 개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 가운데 원림 분야의 전문적 저서인 『원야』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명청(明清) 두 시대의 변천을 반영하여 생활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는 문진형의 『장물지』와 이어의 『한정우기』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 두 저서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해석과 사상적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기 두 원림 저서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연구 질문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해 봤다.

첫째, 명말청초의 사회적 배경에서 문인 사대부 계층인 문진형과 일반 시정(市井)인 이어, 이들이 대표 저서인 『장물지』와 『한정우기』는 보여주는 이들의 조원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둘째, 두 조원가의 생애사, 가족사, 주요 활동사 등이 포함된 사회배경에서 이들은 『장물지』와 『한정우기』를 편집한 동기는 무엇인가? 이들 각자의 생활배경은 이들의 조원이론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가?
셋째, 전체 공간구성, 원림요소에 따라 이들은 추구하는 조원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넷째, 화론(畫論)과 조원이론의 상동(相同)적 전개 및 화(畵)·원(園)이 공통으로 지향하는 가치가 원림에 어떻게 구현되었는가?
다섯째, 문진형과 이어의 조원이론은 이들의 실제 조원 사례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본 연구는 총 다섯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장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대상 및 방법, 연구동향, 해석의 틀에 대해서 다루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 귀납분석, 비교연구, 강남 지역에 두 조원가들의 실제 조원 사례가 포함돼 있다. 이론적 고찰로 『장물지』와 『한정우기』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기타 저서와의 비교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 해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어서 제2장에서는 명말청초의 시대배경과 조원문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부분은 구체적으로 명말청초의 시대배경, 강남지역의 조원문화, 조원가, 작품과 조원활동 세 부분으로 나누어 요약했다. 명말청초 정치·경제·문화적 배경에서 강남지역에 많은 개인 소유 원림이 생겼다. 이는 문인사대부 계층을 비롯하여 부상(富商), 일반 시정(市井) 계층까지 조원활동의 열풍이 일어났다. 조원가들이 강남지역 원림 조영 과정에서 풍부한 실천 경험과 함께 많은 유적을 남겼다. 특히 인문수양을 지닌 문인 조원가들은 이러한 조원 경험을 저서를 통해 체계화하고 이론화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 시기에 원림 조영에 관한 다수의 이론저서가 나온 것은 그러한 배경에 기인한다.
제3장에서는 대표 조원가인 문진형(文震亨)과 이어(李漁)의 생애와 작품 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부분은 구체적으로 문진형의 생애와 작품, 이어의 생애와 작품, 대표작 『장물지(長物志)』와 『한정우기(閑情偶寄)』 이해 세 부분으로 나누어 요약했다. 명말청초 교체의 시대배경이 그들에게 미치는 큰 영향은 정치적 추구에서 문화적 창조로 전환하게 되었다. 하지만 두 조원가가 완전히 다른 계층에서 출신하여 문화적 창조를 추구하는 데 있어서 다르게 표현되었고, 이들의 『장물지』와 『한정우기』의 격이 다르게 나올 수밖에 없었다. 『장물지』는 세속에 속된 문화에 대해 비판하고 사대부 계층이 따라야 하는 고상하고 우아한 문화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다. 한마디로 그가 겨냥한 독자층은 문인사대부 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정우기』의 서술 내용은 간명하고 이해하기 쉬우며, 내용상 단조롭고 무미건조한 장자(莊子) 이론을 알기 쉽게 풀이하였다. 그의 저서를 구독한 독자들은 대부분 문인시정 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방법론 고찰을 바탕으로 전체 공간구성, 원림요소 두 가지 차원에 따라 해석의 틀을 설정했다. 전체 공간구성 차원에서는 입지 및 공간배치, 전체 구조 및 공간 척도의 중요성, 공간 원림요소의 조합, 공간 분할로, 원림요소 차원에서는 건축물, 수 요소, 석물(石物), 식물로 상세하게 나누어 두 조원가의 조원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봤다. 이를 바탕으로 두 저서에 나타나는 그들의 철학사상, 생활태도와 가치지향을 포괄하는 조원이론을 종합하였다. 주요 조원이론은 은일(隱逸), 산번거사(刪繁去奢), 개입화도[皆入畫圖: 장면마다 한 폭의 그림과 같다], 이소견대(以小見大), 아(雅)의 추구, 혁신성의 추구로 요약되었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이다. 중국 원림 역사에서 명말청초는 원림의 통속화(通俗化) 현상이 가속화 되고 대중적인 문화지식에 의한 원림의 조영 또는 재건이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던 시기로 규정된다. 이 시기 대중문화를 선도했던 각 계층의 대표적인 문인들은 원림 저작을 통해 당대 원림건설의 이론적 틀을 정립하였다. 동시에, 시대적 발상이 투영된 문인원림의 풍격을 제시하였다. 그들의 폭넓은 지식과 경험으로 체득한 이상적인 공간을 원림과 실내 장식으로 세부적인 부분까지 풀어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두 원림 저서를 중심으로 그들의 조원이론을 탐색하고, 이를 명말청초의 원림문화를 해석하는 작은 참조점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로 출발했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점은 문진형의 『장물지』, 이어의 『한정우기』에 대해 비교연구에 집중하여 구체적으로 해석하였고 같은 시대의 다른 조원가들의 조원이론에 대하여 언급만 하였다. 추후 명말청초의 다른 조원가들의 조원이론에 대해 추가적인 내용을 보완할 것이다. 또, 광범위한 현지조사 및 추가적인 문헌연구가 필요한 부분으로 향후 후속연구를 통해 밝혀내고자 한다.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is regarded as the prosperous period of Chinese garden history and the active period of gardening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economy and the great changes of society. In particular, the Jiangnan area with Suzhou and Yangzhou as the center is a popular area for private gardens. A large number of excellent gardeners such as Zhang Nanyuan, Ji Cheng, Wen Zhenheng and Li Yu, etc. appeared in this period. They were active in the prosperous cities in the south of the Yangtze River, and built many famous gardens. Based on their accumulated experience in gardening, they left behind works of high reference value for later generations. Among them, the well-known gardening works are Yuanye by Ji Cheng, Changwuzhi by Wen Zhenheng and Xianqingouji by Li Yu, etc. So far, the theoretical research of Chinese traditional garden has focused on the analysis and utilization of the above works, and the theory as the basis of traditional garden design and construction has not deviated from the theory established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Among them,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monograph Yuanye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However, the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representative works of Wen Zhenhengs Changwuzhi and Li Yus Xianqingouji, has not yet systematically comparison analyzed their gardening theory in combination with their social background and their respective living backgroun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five research questions with the above two works.

1.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Wen Zhenheng, who represents the literati and officialdom, and Li Yu, who represents the ordinary class, respectively.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ardening theories reflected in their representative works Changwuzhi and Xianqingouji?
2. In the social background including life, family and main activity history of the two gardeners, what are their motivations for editing Changwuzhi and Xianqingouji? How did their respective living backgrounds affect their gardening theories?
3.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overall space composition and garden elements,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garden theories reflected in the two works?
4. How can the value of the common orientation of painting and garden be reflected in the garden?
5. How did Wen Zhenhengs and Li Yus gardening theories be reflected in their actual gardening cases?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five chapters, and Chapter 1 cover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object and method of the study, the trend of research, and the framework of interpretation. Specific methods of research include literature research, inductive analysis, comparative studies, and their actual gardening cases by two gardeners in Jiangnan area. In this study, the previous research includes research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their representative works Changwuzhi and Xianqingouji and the comparison with other garden works. Through the above, to summarize the framework of this study.
Subsequently, Chapter 2 analyzed the background and culture of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This part was specifically summarized into three parts: 1) the background of the late Ming Dynasty and early Qing Dynasty, 2) the gardening culture of the Jiangnan area, 3) gardeners, their works and their gardening activities. Under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late Ming Dynasty and early Qing Dynasty, many private gardens appeared in Jiangnan area. From literati and rich merchants to ordinary class, there was a upsurge of gardening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gardening in Jiangnan area, the gardeners left rich practical experience and rich relics. In particular, the literati gardeners with humanistic accomplishment have systematized and theorized their gardening experience through their works. In this period, most of the gardening theoretical works emerge as the times require.
Chapter 3 focuses on the representative gardeners Wen Zhenheng, Li Yu and their two works Changwuzhi and Xianqingouji. This section was specifically summarized into three parts: 1) Wen Zhenhengs career and works, 2) Li Yus career and works, 3) comprehending of these two works Changwuzhi and Xianqingouji. At the end of Ming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Qing Dynasty, the great influence on them changed from political pursuit to cultural creation. However, the two gardeners came from completely different classes, and they are very different in the pursuit of cultural creation. And the styles of their works Changwuzhi and Xianqingouji are also different. Wen Zhenhengs Changwuzhi criticizes the secular culture and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on the noble and elegant culture that the literati should follow. In a word, it could be said that Changwuzhi target readers are literati. However, Xianqingouji is simple and easy to understand, and the content is monotonous, which explains Zhuangzi(莊子)s thought easily. Most of the readers who have subscribed to his works are of the ordinary class.
In Chapter 4, based on the methodology of previous research, the framework of interpretation is set up from two levels of overall space composition and garden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verall space composition, it is divided into site selection and spatial layout, the importance of overall structure and spatial scale, the combination of spatial garden elements and spatial segm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arden elements, it is divided into architecture, water element, stone, plant, and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garden theories in detail. On the basis of this, this study synthesizes the gardening theories which appears in these two works, including their philosophical thought, life attitude and value orientation. The main gardening theories are seclusion, getting rid of prosperity and luxury, pursuing every scene as a painting, with a small see big, pursuing elegance culture and pursuing innovative culture.
The last chapter i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the history of Chinese garden, the late Ming Dynasty and early Qing Dynasty was a period when the popularization of gardens accelerated and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extensively relying on popular culture. In this period, the representative literati who advocated popular culture establishe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garden construction in that era through garden works. At the same time, it also puts forward the style of literati garden which reflects the idea of the times. They use a wide range of knowledge and experience to explain the ideal garden space through specific garden elements and interior decoration etc. Focusing on this point, this study takes two works as the center to explore their gardening theory, as a small reference point to explain the garden culture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arative study, which specifically explains Wen Zhenhengs Changwuzhi and Li Yus Xianqingouji. However, there is no detailed introduction to other gardeners of the same era. It will supplement and perfect the gardening theories of other gardeners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In addition, future studies will identify areas requiring extensive field surveys and additional literature stud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102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1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