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공단별 지정폐기물 관리의 평가 :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Specified Waste Management of Industrial Complexes using A 6-Indicator System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동수-
dc.contributor.author권유선-
dc.date.accessioned2020-10-13T04:19:10Z-
dc.date.available2020-10-13T04:19:1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192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10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92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0. 8. 이동수.-
dc.description.abstract대량 생산과 소비 패턴으로 폐기물이 대규모 발생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폐기물 관리의 지속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유해폐기물은 그 유해성 때문에 별도 관리가 필요하나 이 부분에 지속가능한 관리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 유해폐기물인 지정폐기물에 대한 연구는 더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지정폐기물을 대상으로 하여 폐기물 관리가 지속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기 위해 지표 평가의 장점을 활용하여 지표적 접근을 취했다. 구체적으로 6가지 지정폐기물의 지속가능성 지표를 개발하여 12개 공단별 지정폐기물이 2009~2018년 동안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관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원순환 관점에서 발생량이 억제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지표(자원순환1)와 재활용이 증가되는 지를 명백히 보여주는 지표(자원순환2)를 확립하였으며 환경관점에서 지정폐기물에 의한 온실가스가 주는 환경영향의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환경영향1)를 도입하였다. 온실가스 관리능력이 확보되고 있는 공단들을 분별하는 지표(환경영향2)와 재활용, 소각과 매립을 포괄하는 처리능력이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가는지를 판단하는 지표(환경영향3)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경제적 관점을 반영하는 지표(경제1)를 도입하여 지정폐기물의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판단하였다.
지표별로 시간에 따른 추세를 분석한 결과, 경향성이 없어서 지속가능성의 개선여부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지만 10개년도 회귀분석에서 환경영향1 지표가 대체적으로 악화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영향3 지표가 후반부 5개년도에서 개선되는 공단이 많은 편이다. 또한 경제적인 관점에서 역시 대체적으로 악화되어 12개 공단의 지정폐기물 관리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본 경제성지표의 개선이 필요한 것이 명백하다.
공단의 지표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10개년도 유형별로 파악하자면 자원순환1 지표가 높은 공단은 광양, 군산, 구미로 철강과 전자계열이었다. 환경영향3 지표와 자원순환2 지표가 낮은 공단은 남동과 온산공단으로 화학, 중공업 계열이었다. 경제 지표가 높고 환경영향1 지표가 낮은 공단은 여수, 울산으로 중화학 계열이었다. 환경영향1 지표가 높고 경제 지표가 낮은 공단은 녹산, 아산으로 중공업, 전자계열이었다. 환경영향1 지표가 높고 경제 지표가 높은 공단은 창원과 구미로 기계, 전자 계열이었다.
전체적으로 공단 간 평가 지표로 파악한 관리의 지속가능성은 일부 공단은 흡사했지만 전반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성 개선 목표를 확립하여 공단들이 지정폐기물 관리의 개선을 주도하도록 정책 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공단자체에서 지정폐기물 지속가능성을 제고하도록 유인정책과 강력한 규제 정책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로서 궁극적으로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dc.description.abstractBecause of huge increase in waste production, it is crucial to evaluate our waste management syste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pecially, hazardous wastes demand a special management system for their toxicity, despite the lack of public awareness. Moreover, there has been very little research conducted on specified wastes, which are in a special category of hazardous wastes. So,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whether the current specified waste management is sustainable by utilizing the merits of indicator assessment. Specifically, I established 6 indicators for sustainability to conduct a study on specified waste management in 12 industrial complexes in the country, from 2009 to 2018: An indicator showing whether generation rate of specified waste is repressed (Resource Circulation Indicator 1); an indicator showing whether recycling activity enhancement is underway (Resource Circulation Indicator 2); an indicator to assess the level of environmental impact created by the greenhouse gas emission (Environmental Impact Indicator 1); an indicator to distinguish industrial complexes that are procuring greenhouse gas emission management ability (Environmental Impact Indicator 2); an indicator to decide whether the waste treatment capability, comprised of recycling, incineration and landfill capacities, supports the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Impact Indicator 3); and an indicator reflecting economical perspective (Economic Indicator1).
It was challenging to assess improvement in sustainability due to the lack of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series analysis and the 6 indicators, but a 10-year ba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nvironmental Indicator 1 tended to deteriorate. For the latter half of the 10-year base, Environmental Indicator 3 generally improved in industrial complexes. Also, it was obvious that, in order to support the sustainability of waste management practices, industrial complexes had to be economically sustainable.
I conducted an indicator relationship analysis on each industrial complex by the type of industry it is in. Gwangyang, Gunsan and Gumi complexes, which are steel and electronic industry complexes, were high in terms of Resource Circulation Indicator 1. Namdong and Onsan, which are petrochemical and heavy industries complexes, were low in Environmental Impact Indicator 3 and Resource Circulation Indicator 2. Yeosu and Ulsan, which are heavy and chemicals industries, were high in Economic Indicator 1 and low in Environmental Impact Indicator 1. Noksan, Gumi and Asan, electronic and heavy industries complexes, were high in Environmental Impact Indicator 1 and low in Economic Indicator 1. Changwon and Gumi complexes, electronic and machinery complexes, were high in Environmental Impact Indicator 1 and Economic Indicator 1.
I also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industrial complex and each sustainability level indicator. Gwangyang, Onsan complexes were low in sustainability level in terms of resource circulation perspective. The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incineration and landfill of specified wastes is negative for Yeosu, Ulsan and Banweoul complexes. Complexes lacking greenhouse gas emission management are Yeosu, Ulsan and Asan. In terms of management capability, Gumi, Asan, Banweoul complexes need improvement. In terms of economic perspective, Noksan, Gunsan and Pohang complexes are in need of improvement. It is imperative for the industries to establish sustainability improvement goals and policies in order to finally address the sustainability issues related to specified waste managemen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 내용과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 대상 4
4. 연구의 방법 7
1) 자료 수집. 7
2) 자료 분석. 8
II.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10
1. 개념정의. 10
1) 지정폐기물 10
2) 지표의 개념설명. 12
2. 선행연구 고찰 17
1)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도출 선행 연구 17
2) 연구의 차별성. 22
Ⅲ.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체계 구성 24
1. 배경 24
2. 자원순환 평가지표. 27
1) 발생량감축률 27
2) 재활용량/소각매립량. 28
3. 환경영향 평가지표 30
1) 온실가스 총 배출량. 30
2) 처리량 당 온실가스 배출량. 36
3) 폐기물 처리능력 37
4. 경제성 평가지표 39
1) GDP당 폐기물 발생량 39
5. 선정된 지표 평가 41
Ⅳ결과. 43
1. 시계열 변화 추세 43
1) 시계열 공단별 회귀분석. 43
2) 소결 52
2. 공단별 지표 간의 비교 54
1) 공단의 지표 간 비교. 58
2) 소결 63
3. 공단 간 지표 비교 64
1) 발생량감축률. 66
2) 재활용량/소각매립량 69
3) 1/소각매립온실가스배출량 72
4) 소각매립량/소각매립온실가스배출량 75
5) 발생량/이월기타보관량 78
6) 총생산액/발생량 81
7) 소결 86
4. 공단 간 우선순위. 87
Ⅴ. 결론 92
1. 연구의 결과 92
2. 향후연구방향과 한계점 94
참고문헌. 95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지정폐기물 지속가능성 평가-
dc.subject지정폐기물-
dc.subject지속가능성 지표-
dc.subject지속가능성 평가-
dc.subject유해폐기물-
dc.subject지속가능성 지표 평가-
dc.subjectsustainable specified waste management assessment-
dc.subjectspecified waste management assessment indicator-
dc.subjectsustainable waste indicator-
dc.subjectspecified waste indicator-
dc.subject.ddc711-
dc.title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공단별 지정폐기물 관리의 평가-
dc.title.alternativeSustainability Evaluation of Specified Waste Management of Industrial Complexes using A 6-Indicator System-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u Sun Kwon-
dc.contributor.department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contributor.major환경관리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192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192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