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Regional Leisure and Cultural Difference among the Youth Generation:Focused on Accessibility, Leisure Preference, SNS usage and Relative Deprivation
접근도, 여가선호도, SNS 이용도, 상대적 박탈감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하림

Advisor
박인권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년세대여가문화여가문화격차접근도여가 선호도SNS 이 용도상대적 박탈감Leisure Culture of the Youth GenerationLeisure Culture GapAccessibilityLeisure PreferenceSNS usageRelative Depriv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0. 8. 박인권.
Abstract
그동안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여가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있었으나, 오늘날 일반적으로 여가란 일에서 벗어난 자유시간에 건강의 회복, 휴식, 취미, 문화예술을 추구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단순한 휴식이나 재충전의 시간으로 인식되었던 여가의 의미와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현대인에게 여가는 삶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특히 높은 실업률과 주거 불안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 청년세대에게 여가는 더욱더 중요한 요소에 해당한다. 경기 침체와 높은 청년실업률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 청년세대에게 여가는 삶의 질 저하 문제로도 이어지는 만큼, 청년세대의 여가활동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청년세대에게 여가는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 해당하며 자신의 정체성 확립 및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청년세대에게 여가활동이 갖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이뿐만 아니라 청년세대는 유행의 흐름에 민감하게 변화하며 개성 있는 여가문화생활을 선호한다는 특징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세대와는 구별된다. 그러나 이처럼 청년세대들이 선호하는 다양하고 개성 있는 여가활동의 기회는 주로 수도권에 집중된 경향이 있어 상대적으로 여가문화 기회가 부족한 지역의 청년들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지금까지 정부 차원에서도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완화를 위해서 여러 정책을 시도했지만, 아직 청년세대의 여가문화 특징을 고려한 정책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여가문화 특징을 바탕으로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주요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문제 해결을 위한 실증적인 논의를 끌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접근도, 여가 선호도, SNS 이용도, 상대적 박탈감으로 선정하고 각각의 요인이 격차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크게 접근도, 여가 선호도, SNS 이용도, 상대적 박탈감, 지역 간 여가문화 격차 인식을 알아보는 5개의 유형과 기초응답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총 30문제로 20개의 응답질문과 10개의 응답자의 기초정보를 파악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위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여가 선호도는 접근도와 SNS 이용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도는 상대적 박탈감과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모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박탈감은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SNS 이용도는 상대적 박탈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객관적 접근도와 주관적 접근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모형에 여가문화시설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여가문화시설 변수는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며, 간접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접근도가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대조되는 것으로서, 물리적인 접근도보다 여가문화기회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이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더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접근도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지역 간 여가문화 격차 인식이 더 증가하고, 동적여가와 동반여가활동을 선호할수록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의 적극적인 이용은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가시설의 증가는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가소비 유형과 거주 지역, 개인 특성을 중심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적 여가문화를 소비하는 집단이 동적 여가문화를 소비하는 집단에 비해 접근도에 따른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과 상대적 박탈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수도권과 수도권의 집단 간 비교에서는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집단이 수도권에 거주하는 집단에 비해 SNS이용도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개인 특성의 경우 성별, 소득, 사회적 지위, 종사상의 지위를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성별과 종사상의 지위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과 사회적 지위에 따른 집단 비교에서는 상대적 박탈감이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청년세대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는 접근도, 여가선호도, SNS이용도, 상대적 박탈감이 직⋅간접적으로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접근도의 경우 여가문화격차 인식에 직⋅간접적으로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주요 요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들의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에는 여가기회에 대한 접근성이 가장 주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앞으로 청년세대의 여가 특성에 맞는 여가 기회의 공급이 더 필요함을 뜻한다. 또한 여가선호도가 지역 간 여가문화격차 인식을 감소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청년세대들이 타인과 함께 동적인 여가를 소비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re have been various definitions of leisure according to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but today leisure is generally an activity that seeks to restore health, rest, hobbies, and culture and arts in free time away from work. This differs greatly from the meaning of leisure, which was perceived as a time of simple rest or recharging in the past, and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life for modern people. In particular, leisure is an even more important factor for the current younger generation, who are suffering from high unemployment and unstable housing conditions. For the current young generation, who are suffering from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the economic downturn and high youth unemployment, leisure also leads to a problem of declining quality of life, so it is necessary to look at leisure activities of the younger generat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 leisure is a means of expressing themselves, and it can b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nd realize their self, so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ies is very great for the younger generation. In addition, the youth generation is distinguished from other generations in that they are sensitive to trends and prefer a unique leisure and cultural life. However, such diverse and unique opportunities for leisure activities favored by young people tend to be concentrated main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ausing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for young people in areas where leisure and culture opportunities are relatively scarce, as well as leading to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So far, the government has tried various policies to ease the leisure and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policies considering the leisur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generation.
Therefore, based on the leisure cultur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generation,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leisure culture gap between regions of the youth generation, and to draw empirical discussions to solve the problem of leisure culture gap between region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among major factors. To this en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among the youth generation were selected as access, leisure preference, SNS usage, and relative deprivation, and the survey and demonstr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and causal relationship of each factor on the recognition of gaps. The survey consisted of five types and basic response questions that recognized access, preference for leisure, SNS usage, relative deprivation, and awareness of leisure culture gaps between regions. The survey questions consisted of 20 questions and 10 questions to identify basic information of 10 respondents with a total of 30 questions. Based on the above survey,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confirmed factor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and a multi-group analysi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leisure preferenc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both access and SNS usage, and access level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both relative deprivation and awareness of leisure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Relative deprivation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leisure and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but SNS usage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relative deprivation.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addition of leisure and cultural facility variables to the research model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approaches showed that the leisure and cultural facility variable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and that there was an indirect significant wealth (-) effect. This contrasts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the significant impact of access levels on the recognition of leisure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a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leisure cultural opportunities rather than physical access can be seen as having a greater impact on the recognition of leisure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In conclusion, the more negative the perception of access level is, the more the perception of leisure culture gap between regions increases, and the more the preference for dynamic leisure and accompanying leisure activities, the less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decreases, and the active use of SNS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Also, the increase in leisure facilities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awareness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Next,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types of leisure consumption, residential area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groups consuming static leisure culture felt a greater sense of perception and relative deprivation of leisure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according to their approach compared to those consuming dynamic leisure culture. In addition, a comparison between groups in non-capital and metropolitan areas showed that groups living in non-capital areas were more affected by the relative deprivation of SNS usage than those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cas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groups based on gender, income, social status and status of work,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gender and work status. On the other hand, group comparisons based on income and social stat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relative deprivation on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Considering the abov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youth generation's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access, preference for leisure, SNS usage, and relative deprivation. In particular, the approach char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and was the biggest factor among the major factors. This means that the youth's access to leisure opportuniti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cognizing the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which means that more leisure opportunities are needed to suit the leisur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generation in the future. Also, considering that leisure preference reduces awareness of leisure and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it suggests that young people need policy support to spend dynamic leisure time with othe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102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3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