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포항시를 사례로 한 크롬과 니켈의 다매체 동태모형 개발과 평가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ulti- compartment & multi-media model for chromium and nickel in the Pohang city a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동수-
dc.contributor.author백승혜-
dc.date.accessioned2020-10-13T04:19:53Z-
dc.date.available2020-10-13T04:19:53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307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10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07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0. 8. 이동수.-
dc.description.abstract중금속은 제조, 사용 중 환경 중에 배출되면 분해가 거의 되지 않고
생물권을 순환하고 축적된다. 이들은 낮은 농도에도 장기간 노출될 경우
암, 유전적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산업단지 인근 지역은 중금
속 오염도가 높기 때문에 국내 산단 지역의 중금속에 의한 환경영향을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중금속의 환경 중 이동기작은 해당지역의 지리적, 기후 특성에 따라
다양하다. 대기매체에서는 풍속이 빠를수록 시간당 이류되는 양이 많아
지고, 연간 강우량이 클수록 대기에서 토양으로 침적되는 양이 많아진다.
또한 토양 및 수체 내에서 중금속은 용존상과 흡착상으로 존재하는데 용
존상의 중금속은 이동성이 커서 강우유출, 용출과 같은 환경기작에 따라
더 활발히 이동한다. 따라서 환경 위해성이 큰 지역은 해당지역의 지리
적, 기후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규모 산업단지 시설이 위치한 포항시를 대상으로
한 중금속 다매체 동태모형을 구축하고 평가하였다. 이번 연구는 중금속
의 환경 위해성이 큰 지역의 기상과 지리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고려한
사례모형으로서의 의의가 있다. 또한, 대상 중금속은 종분화(Speciation)
가 단순한 니켈과 종분화가 복잡한 크롬 두가지를 선정, 평가하여 중금
속특성에 따라 종분화를 고려한 중금속 모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니켈, 크롬의 시·공간적 변화를 예측하는 다구
획 비정상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포항시 내의 오염원에서의 니켈,
크롬 배출로 인한 환경 오염도를 각 환경매체 별로 제시하여 포항시의
모니터링 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Heavy metal circulates and accumulates in the biosphere with little
degradation when released to the environment during manufacture and
use of products. They can cause cancer and genetic mutations when
exposed to low concentrations for long periods of time. In particular,
the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industrial complex area is high,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valuat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heavy metals in the industrial area in Korea.
The movement mechanism among heavy metal environments varies
depending on the geographic and climatic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air media, the faster the wind speed, the greater the
amount of air flows per hour, and the larger the annual rainfall, the
greater the amount deposited from the atmosphere to the soil. In
addition, heavy metals exist as dissolved and adsorbed phases in the
soil and water bodies. It is highly mobile and moves more actively
according to environmental mechanisms such as rainfall outflow and
elution. Therefore, in areas with high environmental risks, stud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geographical and climatic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re needed.
In this study, a heavy metal multi-media dynamic model was
constructed and evaluated for Pohang City, where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 facilities are locat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case model considering concretely the weather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areas with high environmental risk.
In addition, two types of target metals were selected and evaluated:
nickel, which has a simple speciation, and chromium, which has a
complex speciation,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a heavy metal
model considering speci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As a result of the study, a multi-compartment abnormal model was
constructed to predict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nickel and
chromium.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level due to the
discharge of nickel and chromium from pollutants in Pohang was
presented for each environmental medium, and compared and
evaluated with the monitoring values in Pohang.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 2 장 기존연구의 고찰 3
제 3 장 중금속 다매체 동태모형 구축 5
제 1 절 모형의 구조 5
제 2 절 모형의 시공간적 범위 6
제 3 절 모형의 환경동태 기작 6
3.1. 매체별 환경동태 기작 6
3.2. 물질수지 방정식 10
제 4 절 모형의 입력변수 17
4.1. 매체별 면적산정 17
4.2. 토양 유달량 산정 18
4.3. 기상자료 22
4.4. 물질특성 자료 23
제 4 장 중금속 다매체 동태 모형 평가 24
제 1 절 모형의 신뢰성 평가 24
제 2 절 중금속 배출량 추정 25
2.1 중금속의 배출원 25
2.2 자연배경농도 추정 27
2.3 점오염원 배출량 추정 27
2.4 비점오염원 배출량 추정 28
제 3 절 환경동태기작 및 입력자료 평가 29
3.1 중금속의 입력자료의 민감도 분석 29
3.2 환경동태기작 별 이동량 분석 32
제 4 절 모형의 농도 예측평가 33
4.1. 대기오염도 예측결과 33
4.2. 토양오염도 예측결과 34
4.3. 수체오염도 예측결과 37
제 5 절 결론 및 고찰 38
참고문헌 41
부록 48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니켈-
dc.subject크롬-
dc.subject환경모형-
dc.subject예측-
dc.subjectMulti-media dynamic model-
dc.subjectnickel-
dc.subjectchromium-
dc.subjectenvironmental model-
dc.subjectprediction-
dc.subject다매체동태모형-
dc.subject.ddc711-
dc.title포항시를 사례로 한 크롬과 니켈의 다매체 동태모형 개발과 평가-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ulti- compartment & multi-media model for chromium and nickel in the Pohang city area-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aek, Seung hye-
dc.contributor.department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8-
dc.contributor.major환경관리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307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3▲000000000048▲00000016307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